국토해양부(장관:권도엽)는 전국 항만에서 처리한 7월 컨테이너 물동량(추정)은 1,892천TEU로 지난해 같은달(1,671천TEU)에 비해 13.2%(221천TEU)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수출입화물(1,151천TEU)은 지난해 동월(1,062천TEU)보다 8.4% 증가, 환적화물(702천TEU)은 지난해 동월(579천TEU)보다 21.1% 증가하였다.
전체 물동량은 지난 3월(187만)에 이어 역대 월별 최고실적을 경신하며 189만TEU를 처리하였다. 화물별로 살펴보면, 수출입화물은 지난 5월(4.9%증가)·6월(1.6%증가)의 부진을 털어내며 재도약하였고, 환적화물도 대폭 증가하면서 5개월 연속 두 자리수 증가율을 보였다.
< 7월중(‘06∼’11) 전국 컨테이너 물동량 추이 >
(단위 : 천TEU)
구 분
|
‘06. 7
|
‘07. 7
|
‘08. 7
|
‘09. 7
|
‘10. 7
|
‘11. 7
|
합계
(증가율)
|
1,318
|
1,523
(15.5%)
|
1,586
(4.2%)
|
1,390
(△12.4%)
|
1,671
(20.3%)
|
1,892
(13.2%)
|
수출입
(증가율)
|
838
|
926
(10.4%)
|
1,061
(14.6%)
|
902
(△15.1%)
|
1,062
(17.7%)
|
1,151
(8.4%)
|
환적
(증가율)
|
475
|
588
(23.8%)
|
517
(△12.1%)
|
468
(△9.5%)
|
579
(23.8%)
|
702
(21.1%)
|
연안
(증가율)
|
6
|
9
(57.7%)
|
8
(△8.7%)
|
20
(148.8%)
|
31
(50.8%)
|
40
(29.9%)
|
부산항 7월 물동량은 전년 동월보다 17.0% 증가한 1,446천TEU를 기록하였다. 수출입화물은 중국 및 러시아·유럽국가와의 교역량 확대에 힘입어 전년 동월보다 12.2% 증가한 758천TEU를 처리하였다.
특히, 환적화물은 주요선사의 부산항 거점 비중확대에 힘입어 전년 동월보다 22.3% 증가한 676천TEU를 기록하면서 역대 월별 최고 기록을 경신(종전 최고는 ‘11.5월 645천TEU)하였다.
광양항 7월 물동량은 전년 동월보다 2.2% 감소한 175천TEU를 기록하였으나, 지난 6월보다 17.6%(26천TEU) 증가하였다.
수출입화물은 러시아 등 수출물량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월대비 0.2% 증가한 151천TEU를 기록하였으며, 하반기에는 여수화학단지 등의 수출물량 중심으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인천항 7월 물동량은 중국 및 베트남의 수출입화물 증가에 힙입어 전년 동월 대비 3.1% 증가한 162천TEU를 기록하면서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전환하였다.
< ‘11. 7월 주요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 >
(단위 : 천TEU)
구 분
|
부산항
|
광양항
|
인천항
|
처리량
|
증가율
|
처리량
|
증가율
|
처리량
|
증가율
|
전월대비
|
전년대비
|
전월대비
|
전년대비
|
전월대비
|
전년대비
|
전체
|
1,446
|
6.5%
|
17.0%
|
175
|
17.6%
|
△2.2%
|
162
|
1.6%
|
3.1%
|
수입화물
|
371
|
△0.2%
|
11.0%
|
71
|
7.2%
|
△5.0%
|
84
|
2.8%
|
6.2%
|
수출화물
|
387
|
9.9%
|
13.3%
|
80
|
36.5%
|
2.8%
|
73
|
0.2%
|
0.0%
|
환적화물
|
676
|
8.5%
|
22.3%
|
22
|
2.5%
|
△6.0%
|
1.2
|
27.7%
|
△19.3%
|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미국의 더블딥 우려, 유럽재정위기 확산 등에 따라 수출입화물 감소가 우려되었으나, 중국 및 러시아 등 신흥경제국과의 수출입화물이 증가추세에 있고, 환적화물도 5개월 연속 두 자리수 증가를 보이고 있어, 하반기에도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밝혔다.
붙임 : ‘11년 7월 주요항만 컨테이너 물동량(추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