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성남고등 보금자리주택지구 사업계획 확정
기관
등록 2011/10/10 (월)
파일 111011(조간)_성남고등지구_지구계획_확정(공공택지기획과).hwp
내용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하여 서민주택 공급을 확대하고자 성남고등 보금자리주택지구 569천㎡에 대해 지구계획을 확정하였다고 밝혔다.


 성남고등지구는 분당∼내곡간 고속화도로, 국지도 23호선(대왕판교로), 용인∼서울 고속도로 등과 인접하여 광역교통체계가 양호하고 서울도심 접근성이 좋아 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계획에서는 주택수를 보금자리주택 3,006호를 포함하여 총 3,960호(10,692인)로 확정하였으며, 보금자리주택은 관계기관 협의 등을 거쳐 금년 12월 중 주택건설 사업승인을 받게 된다.


 보금자리주택으로 공공분양(60㎡이하, 60∼85㎡)은 1,304호, 10년임대·분납 또는 전세임대 등 공공임대는 761호, 국민임대 등 장기임대가 941호가 공급될 계획이다.


구 분

면 적 (㎡)

수용세대 (호)

수용인구 (인)

227,240

3,960

10,692

단 독 주 택

39,454

161

435

공 동 주 택

187,786

3,799

10,257

 

60㎡ 이하

89,275

2,200

5,939

 

60㎡∼85㎡

69,396

1,180

3,187

 

85㎡ 초과

29,115

419

1,131


 - 특히 공공임대, 장기임대 2개블럭은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하여 차별화된 디자인 특화단지로 개발된다.

 * 특별건축구역 : 건축법 등 관계법령 적용을 일부 완화하여 창의적인 건축물과 도시경관 창출을 목적으로 특별히 지정되는 일종의 ‘디자인 자유구역’


 아울러 민간분양(60㎡이하, 60∼85㎡ 혼합블럭) 1개블럭은 원형지 형태의 토지를 민간에게 미리 공급하는 방식(원형지 선수공급방식)을 시범사업으로 도입하여 택지를 공급할 계획이다.


 - 이에 따라 사업시행자(LH)는 택지매각을 통해 자금을 조기에 회수하고 민간업계도 신속하게 주택을 공급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되며, 시범사업결과 등을 감안하여 확대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또한, 다양한 주택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단독주택용지 일부에서는 듀플렉스 홈(Duplex, 일명 땅콩주택) 건축을 권장하였다.

 * 듀플렉스(Duplex) 홈 : 하나의 토지에 건물은 하나지만 좌우로 분리되는 독립된 구조를 가지고, 2가구 이상이 거주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주택


 - 일반적인 단독주택보다 적은 비용으로 입주하여 독립된 생활을 보장받으며 임대를 주거나, 마당(정원)을 확보하면서 부모님과 함께 살고 싶은 가족들의 관심을 끌 것으로 기대된다.


 성남고등지구는 사람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편하게 산책할 수 있는 “Nature Village”로 개발된다.


 대왕저수지부터 지구내의 상적천까지 산책로를 연결하고, 생태하천과 수변공원 등을 조성하여 주민의 쾌적한 휴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 녹색교통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도로계획으로 보행자 및 자전거 이용의 안전성을 최대한 배려하되, 학교진입도로에는 통과교통을 배제하여 보행우선지역으로 계획하여 주민공동체가 활성화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청계산∼검단산으로 이어지는 동서방향의 수도권 광역녹지축, 대모산∼청계산으로 연결되는 남북방향의 녹지축과 연계하여 인근 자연과 조화를 이루도록 공원·녹지율은 23.8%로 계획하였으며


 - 지구남측 외곽에는 훼손지 복구사업을 통해 녹지네트워크를 복원하는 대체녹지를 형성하여 도시민의 여가, 휴식 및 운동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성남고등지구에는 인근 청계산역, 판교역(신분당선) 등 인근의 지하철역과 연계하는 버스노선을 신설하고, 지구내 버스정류장 8개소도 배치하는 등 대중교통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다.


 ※ 붙임

 1. 위치도 2. 토지이용계획 3. 주택건설용지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