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분당에서 16분 만에 강남까지”
기관
등록 2011/10/26 (수)
파일 111026(즉시)_신분당선_개통(광역도시철도과).hwp
내용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신분당선 강남~정자 구간(18.5km)이 완공됨에 따라 10월 29일 5시 30분부터 운행을 개시한다고 밝혔다.


 10월 28일 13시 30분, 판교역 광장에서 개최할 개통식에는 권도엽 국토해양부장관, 김문수 경기도지사 등 정․관계 인사와 지역주민 등 약 1,000여명이 참석하여 신분당선의 개통을 축하할 예정이다.


 신분당선(강남~정자) 복선전철은 민간에서 제안하여 추진된 민자사업(BTO)으로서, 2005년 7월 착공 후 6년 3개월의 공사기간을 거쳤으며, 민간자본 8,407억원, 판교신도시 개발부담금 4,850억원, 국비 1,913억원 등 총 1조 5,808억원이 투입되었다.


 신분당선의 운영은 민간 사업시행자인 신분당선 주식회사가 개통 후 2041년까지 30년간 담당하게 된다.


 신분당선은 당초 금년 12월 개통예정이었으나,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2개월 앞당겨 개통하는 것으로, 신분당선을 통해 성남시 정자동에서 서울 강남까지 16분만에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강남․판교․분당 등 수도권 남동부 지역의 대표적인 광역교통망으로서 역할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신분당선 강남~정자 구간에 들어서는 역은 강남, 양재, 양재시민의 숲, 청계산입구, 판교, 정자 등 총 6개역이며, 4개역에서 서울 지하철 등과 환승이 가능하여 수도권 전철 이용객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 강남역 : 2호선 환승 / 양재역 : 3호선 환승 / 정자역 : 분당선 환승

   판교역 : 성남~여주 복선전철('15년 개통 예정) 환승  




 신분당선은 총 12편성(1편성 당 6량)의 열차 운영을 통해 1일 최대 43만명 수송이 가능하다.


 출퇴근시 5분, 평상시 8분의 운행시격으로 1일 320회(주말 및 공휴일 272회) 운행할 예정이며, 운행시간은 05:30부터 다음날 01:00까지 1일 총 19시간 30분이다.


 요금제는 수도권 통합환승 할인제를 적용하여 서울시․경기도․인천시 지하철 및 버스와 환승할 경우 기본운임의 할인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운임은 민간투자비 및 운영비, 광역버스 기본요금 등을 감안하여 1,600원(10km이내, 10km 초과시 매 5km당 100원)으로 결정하였다.


 어린이․청소년 등 운임할인과 노인․장애인․국가유공자 등에 대한 무임운송은 수도권 전철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신분당선은 최고속도 90km/h(표정속도 : 시속 62km)로서 정자~강남 구간의 운행 소요시간이 16분에 불과해 동일한 목적지라도 기존 분당선이나 광역버스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신분당선과 분당선 ․ 광역버스 이용요금 비교

주요구간 통행거리(km) 소요시간(분) 통행요금(원, 교통카드)
분당선 광역버스 신분당선 분당선 광역버스 신분당선 분당선 광역버스 신분당선
정자-강남 24.2 21.7 17.3 45 34 16 1,200 1,700 1,800
정자-삼성 23.5 20.1 20.6 44 45 27 1,200 1,700 1,900
정자-사당 29.4 22.7 22.5 54 46 31 1,300 1,700 1,900
정자-서울역 33.6 32.4 29.5 73 52 52 1,400 1,800 2,000


  * 소요시간 : (분당선) 서울메트로 게시 자료, (광역버스) 인터넷에 게시된 빠른 시간


 (참고 1) 분당선에 비하여 ‘정자~서울역’은 21분(73→52분), ‘정자~사당역’은 23분(54→31분), ‘정자~강남’은 29분(45→16분) 단축효과가 있으나, 요금은 600원 차이


 (참고 2) 광역버스에 비해서는 신분당선 주요구간(정자→사당, 정자→서울역 등) 요금이 100~200원 비싸나, 정시성 확보 및 시간단축 가능


 한편, 신분당선은 국내 최초의 무인운전 시스템이 적용된 중(重)전철로서, 종합관제실의 원격시스템에 의해 차량 출발, 정지 등 열차 운행과 차량 출입문 및 스크린도어 등이 자동으로 조정․제어된다.


 이와 함께 개통 초기 무인운전에 따른 승객의 불안감을 해소시키고 장애 발생시 신속․정확한 조치를 위해 열차에 기관사를 안전요원으로 배치하여 안전운행에 차질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신분당선은 무인운전 시스템을 적용함에 따라 운전실과 객실을 통합하여 운행중 열차전방을 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객실간 연결통로를 개방하여 차내 개방감을 확대하였다. 그리고 전동차 앞뒤에 비상탈출문을 설치하여 비상상황 발생시 승객의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를 가능하게 하였다.


전동차 전방부 전동차 내부
전동차 비상탈출문


 신분당선 강남~정자 구간 개통 이후 연계노선인 정자~광교 구간이 개통되면, 수원(광교)에서 서울 강남까지 직결 운행(30분 내외 소요)이 가능하다.


 정자~광교 구간(12.8km)은 금년 2월 착공하여 공사중이며, 2016년 2월 개통 예정이다.


  ※ 【신분당선 정자~광교 구간】

  - 시설규모 : 정거장 5개소, 광교차량기지 1개소

 - 사업시행자 : 경기철도 주식회사

 - 총사업비 : 15,343억원(민자 7,522억원, 건설보조금 7,821억원)


 또한, 용산~강남 구간(8km)은 2019년 개통을 목표로 민간 우선협상대상자와 협상 중이며, 광교~호매실 구간(11.1km)에 대해서는 2012년 설계를 착수할 예정이다.


 신분당선은 10월 29일 5시 30분부터 영업운전을 개시하나, 주민 서비스 제공 및 홍보 차원에서 개통식 후 14시부터 무료로 운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