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제주도 해안에서 국내 미기록 아열대성 와편모류* 4개속(genus)을 발견했으며, 이 중 2개 속의 구성생물 중에는 아열대성 어독중 맹독인 팰리톡신**류를 생산하는 종류가 포함되어 있음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 와편모류 : 운동방향이 다른 두 개의 편모를 가진 단세포 생물로 온대해역의 돌말류 다음으로 많이 출현하는 종. 약 2,000종이 알려져 있으며 이중 40-60%가 광합성을 하고 적조를 일으키는 원인생물로 작용함
** 팰리톡신 : 자연계에 존재하는 비단백질성 독소가운데 맹독성을 나타내며, 25ng의 극소량은 1kg의 토끼를 즉사시킬 수 있는 치사량임
이번 미기록종 발견은 국토해양부가 추진하는 해양생명공학기술개발사업의 ‘해양독성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군산대 이원호)과 해양생태계 교란생물 제어기술개발 연구(서울대 정해진)를 통하여 이루어진 쾌거이다.
대형해조류에 부착하는 국내 미기록 아열대성 와편모류 4개 속(genus)을 학술지 (Ocean Science Journal 2011년 제3호, 9월 30일)에 게재하고, 확보된 종주에서 나타난 아열대성 어독에 관한 연구결과를 2012 여수엑스포를 기념하여 개최된 제6회 아시아태평양 해조류 포럼에서 발표하였다.
이들 4 개 속을 포함한 총 5개 속의 아열대성 와편모류 클론종주*를 확립하여 ‘해양독성생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에서 관리 중이며, 이 가운데 2개 속의 구성생물 중에는 아열대성 어독중 맹독인 팰리톡신류를 생산하는 종류가 포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아열대성 어독성분인 팰리톡신(palytoxin, PLTX)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비단백질(非蛋白質)성 생물독소 가운데 최고의 맹독으로 알려진 것으로, 이러한 생물독소는 항암제 등 의약품 개발에 활용 가능하다.
또한 아열대성 미기록 와편모류(渦鞭毛類)들이 부착하여 살아가는 대형해조류(海藻類)의 종류(생물학적 환경)에 따라 그리고 연구지역인 제주연안의 조사지역(비생물적 환경)에 따라 이들의 분포 밀도가 달라짐을 보고하여, 이들 와편모류의 분포성향을 결정하는 요인을 일부 규명하였다.
이와 같은 아열대성 생물은 우리나라 해역의 지속적인 수온상승 추세에 따라 출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아열대성 생물종의 북방한계가 점차 북상하고 있다는 생물학적 증거일 뿐만 아니라, 열대해역 와편모류 지표종의 출현분포를 통하여 한반도의 해양생태계의 온난화의 진행을 간접적으로 추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해양 영토 내에 새롭게 출현하기 시작한 유해 생물종에 대한 면밀한 감시체계를 수립하고, 기후변화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맹독생산 아열대성 와편모류 먹이를 섭식한 어류를 섭취한 사람들의 독화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선행적인 정책수단 수립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붙임 1. 대형해조류에 부착하는 아열대성 와편모류
2. 와편모조류 2개 속 배양체의 독성
3. 와편모류 기원 식중독 발생지역 분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