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승용차 주행거리가 선진국 수준으로 감소하다''
기관
등록 2011/12/21 (수)
파일 111222(조간)_2010년_교통부문_에너지소비_분석결과(종합교통정책과).hwp
내용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한국교통연구원에 의뢰하여 수행하고 있는 2011년 “국가교통DB 구축사업”을 토대로 2010년 기준 교통부문 에너지소비 특성 및 주행거리 변화 특성을 발표하였다.


 자가용 승용차 주행거리는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


 (대중 교통정책 및 유가상승 등으로 주행거리 감소) 자동차 주행거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가 상승으로 인한 자가용 이용의 감소 측면도 있지만, 대중교통의 서비스수준 및 편의 등이 지속적으로 개선된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표> 자가용 승용차 주행거리 추이

연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주행거리(km/일) 44.3 45.9 40.9 35.5 35.7


 <표> 주요 선진국 자가용 승용차 주행거리

주요국가 일본 프랑스 독일 미국
주행거리(km/일) 26.3('08년) 36.2('05년) 34.9('95년) 36.6('06년)


 차량 증가와 함께 자동차 수송효율 향상


 (자동차 등록대수 증가에 비해 적은 에너지소비 증가) 지난 10년간('00년 ~ '10년) 자동차 등록대수는 48.4%로 크게 증가하였으나, 에너지 소비는 23.7% 증가하였다. 이는 자동차 주행거리의 지속적인 감소와연비상승 등 자동차 성능 개선의 효과로 판단된다.


 < 자동차 등록대수 및 에너지 소비량('00년~'10년) >

구 분 2000년 2010년 증감율('00년~'10년)
자동차 등록대수(대) 12,059,182 17,893,373 48.4%
에너지 소비량(천bbl) 175,116 216,601 23.7%

 * 2010년 도로부문의 에너지 소비


 (휘발유 차량이 가장 큰 비중) 지난 10년간 유종별 등록대수를 보면 휘발유 차량이 60%에서 50%로 줄었으나 여전히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경유 및 LPG 차량은 각각 30%에서 36.2%, 10%에서 14%로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유종별 자동차 등록대수 비중('00년~'10년) >

구분 2000년 등록대수 비율(%) 2010년 등록대수 비율(%) 증가율(%)
휘발유 7,214,028 60% 8,907,069 50% 23.5%
경유 3,594,065 30% 6,483,423 36% 80.4%
LPG 1,214,079 10% 2,443,575 14% 101.3%


 (경유가 가장 큰 소비 비중) 유종별 에너지 소비량을 보면 차량 등록대수 비중과는 달리 화물차 및 버스가 주로 사용하는 경유의 에너지소비량이 약 47%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다. LPG는 18.2%에서 22.5%로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휘발유는 34.1%에서 30.9%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PG 소비가 가장 크게 증가) 지난 10년간 유종별 증가율을 보면, LPG(52.7%)가 다른 유종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으며, 경유(20.9%), 휘발유(11.8%)의 순으로 증가하였다. 차량등록대수 역시 LPG 차량이 2배 이상 큰 증가율(101.3%)을 보였으며, 경유(80.4%), 휘발유(23.5%)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동차 제작사들이 ‘99년부터 타 유종에 비해 저렴한 LPG를 사용하는 다양한 차량(대우 레조, 현대 트라제, 기아 카렌스, 모닝, 카니발 등)을 공급한 결과로 보인다.


 < 유종별 에너지 소비 비중 및 증가율('00년~'10년) >

구분 2000년 에너지
소비량(천bbl)
점유율(%) 2010년 에너지
소비량(천bbl)
점유율(%) 증가율
휘발유 59,744 34.1 66,815 30.9 11.8
경유 83,462 47.7 100,913 46.6 20.9
LPG 31,835 18.2 48,601 22.5 52.7


 국토해양부는 이번 분석 결과를 기초로 대중교통시스템 및 서비스 개선을 통해 자가용 이용대신 대중교통 이용 확대를 유도함으로써 교통부문 에너지 절약 및 수송효율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