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는 2011년 11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물동량은 총 1억 730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800만 톤)에 비해 0.6%로 소폭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2011.11월까지 누적 항만물동량은 총 11억 8,541만 톤으로 전년 동기(11억 115만 톤)에 비해 7.7% 증가했다.
< 전국 무역항 항만물동량(단위:천톤,%) >
|
'09.11월 |
'10.11월 |
'11.11월 |
최근 3개월 |
'11.1~11월 |
'11.9월 |
'11.10월 |
'11.11월 |
총물동량 |
94,089 |
108,000 |
1,101,150 |
101,374 |
112,889 |
107,299 |
1,185,407 |
전년동기 대비 |
2.4 |
14.8 |
12.3 |
6.0 |
9.6 |
△0.6 |
7.7 |
수출입 |
74,325 |
85,988 |
883,747 |
84,257 |
92,026 |
86,944 |
968,778 |
연 안 |
19,764 |
22,012 |
217,403 |
17,117 |
20,863 |
20,355 |
216,629 |
항만별로 보면, 부산항과 평택․당진항은 목재와 섬유류 및 철재 등의 수출입 증가로 전년동기 대비 10.7%, 5.0% 증가하였고,
광양항과 인천항 및 포항항은 모래, 유류, 철재 등의 수출입 물량 감소로 인해 전년동기 대비 6.0%, 15.8%, 9.9%의 감소세를 보였다.
< '11. 11월 주요 항만별 물동량(단위 : 천톤, %) >
구분 |
부산항 |
광양항 |
울산항 |
인천항 |
평택 · 당진항 |
대산항 |
포항항 |
기타 |
총물동량 |
24,510 |
17,108 |
15,872 |
11,834 |
7,664 |
4,956 |
5,384 |
19,971 |
전년동기 대비 |
10.7 |
△6.0 |
△0.9 |
△15.8 |
5.0 |
△5.7 |
△9.9 |
4.76 |
품목별로는 광석과 유연탄 및 자동차는 수출입 물량 증가에 힘입어 전년동기 대비 5.6%, 5.2% 및 6.5% 각각 증가한 반면, 유류와 모래는 전년동기 대비 9.0%, 12.7% 각각 감소하였다.
< '11. 11월 주요 품목별 물동량(단위: 천톤, %) >
품목별 |
유류 |
광석 |
유연탄 |
철재 |
화공품 |
모래 |
자동차 |
시멘트 |
기타 |
총물동량 |
29,446 |
10,991 |
9,647 |
7,154 |
4,247 |
4,825 |
4,739 |
3,496 |
32,754 |
전년동기 대비 |
△9.0 |
5.6 |
5.2 |
△7.0 |
△5.0 |
△12.7 |
6.5 |
△4.4 |
3.6 |
‘11.11월 컨테이너 물동량은 181만9천TEU로 전년 동월(1,664천TEU)에 비해 9.3%(155천TEU) 증가하였다.
화물별로 보면, 수출입화물(1,102천TEU) 및 환적화물(672천TEU)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1%(23천TEU) 및 23.7%(129천TEU)증가하였다.
< '11. 11월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처리실적 (단위:천TEU) >
구분 |
'09년 11월 |
'10년 11월 |
‘10.1~11월 |
최근 3개월 |
'11.1~11월 |
'11.9월 |
'11.10월 |
'11.11월 |
총물동량 |
1,497 |
1,664 |
17,665 |
1,752 |
1,881 |
1,819 |
19,677 |
전년동기 대비 |
12.0% |
11.1% |
19.4% |
14.2% |
15.8% |
9.3% |
11.4% |
전체 물동량은 지난 10월보다 상승폭이 둔화(15.8%→9.3%)되었으나 증가세는 계속 유지하고 있으며,
수출입화물은 선진국 경기 둔화에 따라 소폭 증가하였으나, 환적화물은 글로벌 선사를 중심으로 미국과 중국의 환적화물이 크게 증가하면서 지난 3월부터 9개월 연속으로 두 자리수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부산항 물동량은 전년 동월보다 13.2% 증가한 137만TEU를 기록하였다. 특히, 환적화물은 글로벌 선사의 부산항 거점 비중 확대, 중국의 기상악화에 따른 대체환적 증가 지속에 따라 전년 동월보다 23.4% 증가한 64만7천TEU를 기록하면서 지난 9월 이후 3개월 연속 20%대 증가율을 보였으며,
수출입화물은 세계경기침체 우려에 따라 증가세가 둔화(11.7%→5.2%)되며, 71만3천TEU를 처리하였다.
광양항 물동량은 주요 화주 생산물량 감소로 전년 동월보다 2.0% 감소한 15만7천TEU를 기록하였으며, 인천항 물동량은 주요 교역국인 중국(△5천TEU, △4.2%)과 태국(△2천TEU, △23.8%)의 교역량 감소로 전년 동월보다 4.0% 감소한 17만TEU를 기록하였다.
< '11.11월 주요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 현황(단위:천TEU) >
구분 |
'09.11월 |
'10.11월 |
'10.1~11월 |
최근 3개월 |
‘11.1~11월 |
'11.9월 |
'11.10월 |
'11.11월 |
부산항 |
1,083 |
1,210 |
12,956 |
1,320 |
1,411 |
1,370 |
14,780 |
광양항 |
163 |
161 |
1,901 |
159 |
184 |
157 |
1,891 |
인천항 |
159 |
177 |
1,738 |
169 |
176 |
170 |
1,811 |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세계 경기 침체로 인해 수출입화물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으나, 지난 12월초, 환적화물 증가에 힘입은 부산항 1,500만TEU, 전국 항만 2천만TEU 돌파에 이어, 연말까지 역대 최고 물동량인 부산항은 1,615만TEU, 전국 항만은 2,150만TEU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밝혔다.
한편, 11월 세계 10대 항만은 전년 동월 대비 2.3% 증가한 1,569만 4천TEU를 처리하였다.
부산항은 전년동월대비 13.2% 증가한 137만TEU를 처리하여 세계 10대 항만 중 광저우항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성장율을 기록하였으며,
이에 따라 전년 동월 대비 3.8% 감소한 닝보-저우산항(1,154천TEU)과의 격차(799천(9월)→1,007천(10월)→1,212천TEU(11월))를 벌리며 세계 5위 자리를 확고히 하였다.
상하이항은 전년 동월 대비 같은 수준인 262만TEU를 처리하며, 세계 1위를 유지하였으며, 환적 비중이 높은 싱가폴항(2.3%증가, 2,472천TEU), 홍콩항(4.6%감소, 1,994천TEU)도 각각 2, 3위를 유지하였다
광저우항(8위, 1,276천TEU), 텐진항(9위, 1,015천TEU)은 전년동월 대비 각각 14.7%, 12.9%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갔으나, 선전항(4위, 1,891천TEU) 및 칭다오항(7위, 1,088천TEU)은 전년동월 대비 각각 1.5%감소, 0.8% 증가하는데 그쳤다.
< ‘11. 11월 세계 10대 항만 컨테이너 처리실적 >
(단위:천TEU)
`11.11월 순위 |
항만 |
'10.11월 |
'10년 1~11월 |
'11.11월 |
'11년 1~11월 |
전년대비 |
동월 |
누계 |
1 |
상하이(中) |
2,620 |
26,588 |
2,650 |
29,077 |
- |
9.4% |
2 |
싱가폴 |
2,416 |
26,053 |
2,472 |
27,295 |
2.3% |
4.8% |
3 |
홍콩 |
2,091 |
21,539 |
1,994 |
22,283 |
△4.6% |
3.5% |
4 |
선전(中) |
1,920 |
20,651 |
1,891 |
20,698 |
△1.5% |
0.2% |
5 |
부산 |
1,210 |
12,956 |
1,370 |
14,780 |
13.2% |
14.1% |
6 |
닝보-저우신(中) |
1,200 |
12,153 |
1,154 |
13,568 |
△3.8% |
11.7% |
7 |
칭다오(中) |
1,079 |
10,991 |
1,088 |
12,540 |
0.8% |
14.1% |
8 |
광저우(中) |
1,113 |
11,317 |
1,276 |
12,338 |
14.7% |
9.0% |
9 |
텐진(中) |
899 |
9,166 |
1,015 |
10,604 |
12.9% |
15.7% |
10 |
카오슝 |
797 |
8,355 |
814 |
8,806 |
2.1% |
5.4% |
계 |
|
15,345 |
159,769 |
15,694 |
171,989 |
2.3% |
7.7% |
* 각 항만 홈페이지 등 참조(두바이항, 로테르담항은 공식통계 미발표)
- ‘10년 기준, 두바이 8위, 로테르담 10위 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