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는 2011년도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추정)이 2010년(19,369천TEU)에 비해 11.2% 증가한 21,540천TEU를 기록하여 사상 처음으로 2천만TEU 시대를 열게 되었다고 발표했다. 아울러 부산항도 지난해 12월 7일 세계 다섯 번째로 1,500만TEU를 돌파한데 이어, 연말에 1,614만TEU를 달성하였다.
수출입화물(13,340천TEU)과 환적화물(7,733천TEU)이 각각 전년도에 비해 8.0%, 16.4% 증가하였으며, 특히, 연안화물(468천TEU)은 지난해 이어 전환보조금 지급 등 녹색성장을 위한 연안해운 활성화 노력에 힘입어 23.9%의 괄목할 만한 증가세를 기록하였다.
< ‘11년 월별 전국 컨테이너 물동량 추이(전년 동월대비) >
구 분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1.10
|
‘11.11
|
‘11.12
|
누계
|
합계
(증가율)
|
1,688
(14.2)
|
1,461
(6.7)
|
1,891
(16.9)
|
1,848
(11.8)
|
1,864
(8.4)
|
1,780
(6.8)
|
1,895
(13.4)
|
1,797
(7.8)
|
1,752
(14.2)
|
1,881
(15.8)
|
1,819
(9.3)
|
1,864
(9.4)
|
21,540
(11.2)
|
수출입
(증가율)
|
1,070
(17.1)
|
936
(9.6)
|
1,206
(17.5)
|
1,169
(11.6)
|
1,152
(5.8)
|
1,095
(3.0)
|
1,164
(9.7)
|
1,076
(1.8)
|
1,087
(10.4)
|
1,161
(8.6)
|
1,102
(2.1)
|
1,122
(1.6)
|
13,340
(8.0)
|
환적
(증가율)
|
569
(8.1)
|
499
(1.9)
|
650
(15.4)
|
640
(11.4)
|
671
(11.5)
|
644
(11.5)
|
695
(20.0)
|
684
(17.4)
|
632
(20.5)
|
682
(30.5)
|
672
(23.7)
|
695
(24.8)
|
7,733
(16.4)
|
연안
(증가율)
|
48
(30.3)
|
26
(△0.1)
|
35
(23.5)
|
39
(27.5)
|
41
(47.2)
|
42
(54.2)
|
36
(17.7)
|
37
(36.1)
|
34
(27.0)
|
39
(17.0)
|
48
(8.0)
|
48
(17.1)
|
468
(23.9)
|
국내 최대 항만인 부산항의 물동량은 2010년에 비해 13.7% 증가한 16,143천TEU를 기록하였다. 이는 글로벌 선사의 부산항 거점비중 확대(항로 : ‘10년 주 323항차 → ’11년 주 368항차), 중국의 기상악화에 따른 북중국 화물의 대체 환적 등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 중 부산항의 점유율은 2010년(73.6%)에 비해 소폭 증가한 74.9%를 기록하였다.
광양항은 배후권역 주요 화주의 수출입 물량이 감소하면서 전년도(2,088천TEU)에 비해 1.1% 감소한 2,064천TEU를 기록하였으나, 광양항 기항항로 확대(‘10년 주 73항차 → ’11년 주 78항차) 등에 힘입어1998년 개장 이후 2년 연속 200만TEU를 달성, 국내외 선․화주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인천항은 전년 대비 4.2% 증가한 1,983천TEU를 기록하였으며, 전체 물동량 대비 수출입화물(1,917천TEU)의 비중이 96.7%를 차지하는 등 수도권 관문항으로서 위상을 확고하게 다져나가고 있으며, 2012년에는 부산항, 광양항에 이어 세 번째로 200만TEU 달성을 눈 앞에 두고 있다.
한편, 2011년 12월 전국 항만물동량은 전년 동월에 비해 9.4% 증가한 1,864천TEU를 기록하였으며, 환적화물(695천TEU)은 전년 동월 대비 24.8% 증가하여 지난 3월 이후 10개월 연속으로 두 자리수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전반적인 세계 경기침체로 수출입 증가세는 둔화(’10년, 19.1% → ’11년, 8.0%)되었으나, 수출입 물동량의 지속적인 증가와 함께 부산항 환적화물(17.0%)이 크게 증가하면서 세계에서 네 번째(중국→미국→싱가포르)로 2천만TEU 달성이라는 큰 성과를 거두게 되었으며,
2012년에는 피더항로 확대, 볼륨인센티브 개선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환적화물을 유치하고, 항만배후단지 활성화를 통해 고부가가치 화물을 창출하는 선진형 항만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붙임 : ‘11년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실적(추정) 현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