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와 기능지구를 지정․고시 하였다.
* 거점지구 : 대전시 유성구 신동, 둔곡동 / 총 면적 3,699,359㎡
기능지구 : 천안시, 연기군(‘12.7.1일자로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 청원군
※ 과학벨트 입지는 ‘11.5.16일 과학벨트위원회에서 선정
<과학벨트 거점․기능 지구>
< 거점․기능 지구란? >
• 거점지구 : 기초연구분야의 거점 기능을 수행,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 등 핵심 시설 입지
• 기능지구 : 거점지구와 연계하여 응용 연구, 개발연구 및 사업화 등을 수행
금번 지구 지정․고시는 공간조성계획 및 개발계획 수립을 위해 거점․기능 지구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토대로 시행계획이 수립(‘12.3월)되고 사업시행자가 지정되면, 향후 개발절차에도 더욱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국토부는 과학벨트의 효율적 공간조성과 국내외 접근성 강화를 위한 추진과제 수립에 힘쓰는 한편,
기능지구인 세종시와의 연계 개발을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에도 주목, 양 국책사업을 더욱 성공적으로 이끌 계획이라고 밝혔다.
뛰어난 정주환경을 기반으로 한 세종시는 외국인 생활권 조성, 외국대학 유치 등 향후 거점지구 지원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한편, 과학벨트 조성사업은 추후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견인차가 될 기초과학역량의 획기적 진흥에 목적을 둔 핵심 국책사업으로,
과학과 비즈니스, 정주환경이 어우러지는 세계적 수준의 연구거점 조성과 과학기반 비즈니스 환경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12년부터 ’17년까지 6년간 총 5조 1,700억원*이 투자될 계획이다.
* 기초연구지원(3조 5,400억원), 연구기반 조성(8,700억원),
중이온가속기 구축(4,560억원), 기능지구 지원(3,040억원)
◈ 관계 도서 비치ㆍ열람
•국토해양부 기업복합도시과(02-2110-6186)
•교육과학기술부 기반조성과(02-2100-8673)
•대전시 과학특구과(042-600-3811) •청원군 경제투자과(043-251-3201)
•천안시 기업지원과(041-521-2365) •연기군 도시기획과(041-860-9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