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12. 1월, 항만물동량 역대 1월 최고실적 달성
기관
등록 2012/02/27 (월)
파일 120228(조간) 항만 물동량 역대 1월 최고실적 달성(항만운영과,물류기획과).hwp
내용




 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에 따르면, 2012년 1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물동량은 총 1억 1,182만 톤으로 역대 사상 최고치를 달성하였다. 전년 동월(1억 768만 톤) 대비 3.8% 증가한 실적이다. 
 

 < ‘12. 1월 전국 무역항 항만물동량(단위 : 천톤, %) >

 

‘09.1월

‘10.1월

‘11.1월

최근 3개월

‘12.1월

‘11.10월

‘11.11월

‘11.12월

총물동량

82,539

98,354

107,675

112,889

107,299

116,783

111,816

전년동기 대비

△14.6

19.2

9.5

9.6

△0.6

13.5

3.8

 

수 출 입

65,373

79,496

89,299

92,026

86,944

96,315

93,155

 

연 안

17,166

18,858

18,376

20,863

20,355

20,468

18,661


 항만별로 살펴보면, 부산항과 광양항은 섬유류와 유류 등의 수출입 증가로 전년대비 9.6%, 8.7% 각각 증가하였고,


 인천항과 평택․당진항 및 포항항은 유연탄, 철광석, 섬유류 등의 수출입 물량 감소로 인해 전년대비 2.1%, 0.3%, 17.7% 각각 감소하였다.

 

  < '12. 1월 주요 항만별 물동량(단위 : 천톤, %) >

구 분

부산항

광양항

울산항

인천항

평택․
당진항

대산항

포항항

기타

총물동량

25,005

18,527

16,427

13,051

8,443

6,381

4,560

19,422

전년동기 대비

9.6

8.7

0.4

△2.1

△0.3

2.2

△17.7

8.7

 
 품목별로는 유류와 광석 및 모래는 수출입 물량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8.2%, 5.9% 및 22.5% 각각 증가한 반면, 유연탄과 철재 및 자동차는 전년 대비 2.4%, 12.4% 및 12.7% 각각 감소하였다. 
  

  < '12. 1월 주요 품목별 물동량(단위 : 천톤, %) >

품목별

유류

광석

유연탄

철재

화공품

모래

자동차

시멘트

기타

총물동량

35,842

10,549

10,021

6,803

4,755

3,695

4,220

2,904

33,027

전년동기 대비

8.2

5.9

2.4

△12.4

4.2

22.5

△12.7

8.5

5.0


 한편 전국 항만의 1월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환적화물 증가에 힘입어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5.0% 증가한 177만 3천TEU을 기록하였다. 이는 역대 1월 물동량 중 사상 최고실적이다. 
  

 < 1월중(‘07~'12) 전국 컨테이너 물동량 추이 >

 (단위 : 천TEU, %)

구 분

‘07. 1

‘08. 1

‘09. 1

‘10. 1

‘11. 1

‘12. 1

합계

1,382

1,459

1,172

1,477

1,688

1,773

증가율

8.7

5.6

△19.7

26.1

14.2

5.0


 화물별로는 수출입화물은 103만 5천TEU(3.3% 감소), 환적화물 69만 1천TEU(21.3% 증가), 연안화물 4만 7천TEU(1.7% 감소)를 처리하였다.


 - 수출입화물은 유럽 재정위기 우려 등 경기적 요인, 중국 춘절연휴로 인한 조업단축 등 계절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3.3% 감소하였으며,


 - 환적화물은 벙커C유 가격상승* 등으로 인해 글로벌 선사들이 환적거점 항만으로 부산항 기항을 확대하면서 ‘11.3월 이후 11개월 연속 두 자리 수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 톤당 ‘10. 7월 $440 → ‘12. 2월 현재 $760 수준, 북중국 직기항시 연료비 지출 증가

 

 <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처리실적 (1월) >

 (단위 : 천TEU, %)

구 분

'09. 1월

'10. 1월

'11. 1월

최근 3개월

‘12. 1월

'11.10월

'11.11월

'11.12월

총 물 동 량

1,172

1,477

1,688

1,881

1,819

1,875

1,773

전년동기 대비

△19.7

26.1

14.3

15.8

9.3

10.0

5.0

 

수출입

695

914

1,070

1,161

1,102

1,141

1,035

 

환 적

457

527

569

682

672

681

691

 

연 안

20

37

48

39

45

52

47


 또한, 국내 최대 항만인 부산항은 꾸준한 환적화물의 증가에 힘입어 지난 해 같은 달 대비 10.1% 증가한 135만 9천TEU를 처리하였으며, 광양항 및 인천항은 중국의 춘절 연휴에 따른 생산중단에 따라 각각 전년 동월 대비 3.1%, 14.2%의 감소 추세를 보였다.

 

  < 주요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 현황(1월) >

 (단위 : 천TEU, %)

구 분

'09. 1월

'10. 1월

'11. 1월

최근 3개월

'12.1월

(증가율)

'11.10월

'11.11월

'11.12월

부산항

895

1,063

1,236

1,411

1,370

1,396

1,359 (10.1)

광양항

115

173

173

184

157

173

167 (△3.1)

인천항

93

146

165

176

170

174

142 (14.2)


 한편 세계 10대 항만은 유럽 재정위기 및 중국의 성장율 둔화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15,688천TEU) 0.6% 증가한 1,577만 8천TEU를 처리하였다.


 부산항은 전년 동월대비 10.1% 증가하여 세계 5대 항만중 닝보-저우산항 다음으로 높은 성장율을 기록하는 등 양호한 실적을 보였으나,


 - 닝보-저우산항이 전년 동월대비 11.3% 증가*한 141만 7천TEU를 처리하여 1월말 기준 세계 5위를 차지하였으나, 과거실적(‘10.1월 광저우항>부산항, ’11.1월 닝보-저우산항>부산항)을 고려시, 계절적 요인에 의한 일시적 현상으로 분석된다.


 * 춘절연휴에 따른 닝보항 주변지역 화주들의 수출화물 밀어내기 처리 등에 따라 증가한 것으로 추정


 상하이항은 전년 동월대비 3.6% 감소한 261만TEU를 처리, 월별 최고 실적을 기록한 ’11.7월(2,900천TEU) 이후 6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하였으며,


 환적 비중이 높은 싱가폴항은 254만 3천TEU로 전년 동월대비 5.3%증가한 반면, 홍콩항은 197만 2천TEU를 처리하여 6.0% 감소하였다.
  

 < ‘12년 1월 세계 10대 항만 컨테이너 처리실적 >

 (단위 : 천TEU)

순위

항 만

‘10년

‘11년

‘11.1월

‘12.1월

전년대비(%)

‘12.1월

’11년

동월

누계

1

1

상하이(中)

29,069

31,500

2,708

2,610

△3.6

△3.6

2

2

싱가폴

28,431

29,938

2,416

2,543

5.3

5.3

4

3

홍 콩(中)

23,699

24,365

2,097

1,972

△6.0

△6.0

3

4

선 전(中)

22,510

22,570

2,096

2,005

△4.4

△4.4

5

6

닝보-저우산(中)

13,144

14,686

1,273

1,417

11.3

11.3

6

5

부 산

14,194

16,175

1,236

1,359

10.1

10.1

7

8

칭다오(中)

12,012

13,020

1,127

1,219

8.2

8.2

8

7

광저우(中)

12,550

14,400

1,016

972

△4.3

△4.3

9

9

텐 진(中)

10,080

11,500

927

876

△5.5

△5.5

10

10

카오슝

9,181

9,636

792

805

1.6

1.6

174,869

187,829

15,688

15,778

0.6

0.6


 * 항만당국 홈페이지 참조 (두바이항, 로테르담항은 공식통계 미발표)
   (‘10년 기준, 두바이 9위, 로테르담 10위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