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는 전국 항만의 2월 컨테이너 물동량(추정)이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4.1%(2월 누계 9.2%) 증가한 1,667천TEU*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 수출입화물 1,039천(11.0%↑), 환적화물 583천(16.8%↑), 연안화물 45천TEU(24.3%↑)
ㅇ 이는 2월 물동량 중 사상 최대치로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작업일수 증가(윤달 및 설 연휴기간) 등 계절적인 요인과 함께 환적화물의 꾸준한 증가와 수출입 물동량의 증가세 전환*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 수출입화물 증가율 : 10.4(‘11.9)→8.6(’11.10)→2.1(‘11.11)→3.4(’11.12)→▵3.3(‘12.1)→11.0%(’12.2)
< 2월중(‘07~'12) 전국 컨테이너 물동량 추이 >
(단위 : 천TEU, %)
구 분
|
‘07. 2
|
‘08. 2
|
‘09. 2
|
‘10. 2
|
‘11. 2
|
‘12. 2
|
합계
|
1.314
|
1,344
|
1,080
|
1,370
|
1,461
|
1,667
|
증가율(누계)
|
10.9
|
4.0
|
△19.7
|
26.4
|
10.6
|
9.2
|
- 특히, 환적화물은 부산항의 거미줄 같은 피더네트워크와 비용경쟁력과 같은 내부요인과 함께 벙커C유 가격상승 등 외부 요인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면서 ‘11.3월 이후 12개월 연속 두 자리 수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런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처리실적 (2월) >
(단위 : 천TEU, %)
구 분
|
'09. 2월
|
'10. 2월
|
'11. 2월
|
최근 3개월
|
‘12. 2월
|
'11.11월
|
'11.12월
|
'12.1월
|
총 물 동 량
|
1,080
|
1,370
|
1,461
|
1,819
|
1,875
|
1,773
|
1,667
|
전년동기 대비
|
△19.7
|
26.4
|
10.6
|
9.3
|
10.0
|
5.0
|
14.1
|
|
수출입
|
686
|
854
|
936
|
1,102
|
1,141
|
1,035
|
1,039
|
|
환 적
|
380
|
489
|
499
|
672
|
681
|
691
|
583
|
|
연 안
|
15
|
26
|
26
|
45
|
52
|
47
|
45
|
또한, 국내 최대 항만인 부산항은 꾸준한 환적화물의 증가와 더불어 중국(19.5%↑) 및 유럽지역(31.5%↑) 수출입 물동량의 동반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14.5% 증가한 1,250천TEU를 처리하였으며,
ㅇ 광양항 및 인천항도 지난해 대비 작업일수 증가, 중국(광양 25.8%, 인천 19.7%) 등 주요 교역국과의 수출입화물 증가 등에 따라 수출입 물량이 증가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6.6%, 11.2% 증가하였다.
< 주요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 현황(2월) >
(단위 : 천TEU)
구 분
|
'09. 2월
|
'10. 2월
|
'11. 2월
|
최근 3개월
|
'12.2월
(증가율 %)
|
'11.11월
|
'11.12월
|
'12. 1월
|
부산항
|
810
|
1,013
|
1,092
|
1,370
|
1,396
|
1,359
|
1,250 (14.5)
|
광양항
|
122
|
149
|
168
|
157
|
173
|
167
|
179 (6.6)
|
인천항
|
85
|
127
|
116
|
170
|
174
|
142
|
129 (11.2)
|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세계경기가 완만하게 회복하고, 환적화물 증가 추세가 지속된다면, 2012년 목표인 2,330만TEU(8.0% 증가)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