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3.19(월)에 ’12.2월 주택 매매거래 동향 및 아파트 실거래가 자료를 공개하였다.
’12.2월 전체주택 매매거래량은 전국 55.1천건, 수도권 19.2천건, (서울 6.1천건), 지방 35.9천건으로 각각 집계되어,
전월대비 전국 92.2%, 수도권 101.1%(서울 84.5%), 지방 87.7% 각각 증가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로는 전국 28.4%, 수도권 36.8%(서울 38.1%), 지방 22.9%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12.2월 주택매매거래량 (신고일기준, 건) >
구 분
|
’12.2월
|
’12.1월
|
’11.2월
|
3년
(’09~’11)
2월 평균
|
증감률(’12.2월, %)
|
전월比
|
전년동월比
|
3년 2월
평균比
|
전 국
|
55,141
|
28,694
|
77,003
|
63,801
|
92.2%
|
△28.4%
|
△13.6%
|
수도권
|
19,195
|
9,547
|
30,385
|
24,857
|
101.1%
|
△36.8%
|
△22.8%
|
(서울)
|
6,060
|
3,284
|
9,787
|
8,090
|
84.5%
|
△38.1%
|
△25.1%
|
(인천)
|
2,364
|
1,196
|
3,567
|
3,042
|
97.7%
|
△33.7%
|
△22.3%
|
(경기)
|
10,771
|
5,067
|
17,031
|
13,725
|
112.6%
|
△36.8%
|
△21.5%
|
지 방
|
35,946
|
19,147
|
46,618
|
38,944
|
87.7%
|
△22.9%
|
△7.7%
|
’12.2월 주택 거래량은 취득세 감면혜택 종료 등 영향으로 거래량이 급감한 1월에 비해서는 실적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매수심리 위축이 지속됨에 따라 예년 대비로는 거래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09.1~12.2월 중 주택 거래량 (신고일기준, 건) >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거래량의 전년동월대비 감소폭(△36.2%)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의 경우 단독․다가구(+13.8%), 다세대․연립(+15.9%) 주택의거래량은 전년동월대비 증가하였다.
< ’12.2월 주택 유형별 매매거래량 (신고일기준, 건) >
구 분
|
단독․다가구
|
다세대․연립
|
아파트
|
전 국
|
7,077
|
(+6.8%)
|
9,370
|
(△4.0%)
|
38,694
|
(△36.2%)
|
수도권
|
1,561
|
(△12.1%)
|
4,937
|
(△16.8%)
|
12,697
|
(△44.0%)
|
지 방
|
5,516
|
(+13.8%)
|
4,433
|
(+15.9%)
|
25,997
|
(△31.5%)
|
※ ( ) :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주택 거래량 및 실거래가에 대한 세부자료는 온나라 부동산정보 통합포털
(www.onnara.go.kr) 또는 공개 홈페이지(rt.mltm.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