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11년 4월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여왔던 항공화물 수송량이 2월에는 전년 대비 7.2% 증가한 약 28만톤을 기록하여 회복세로 전환되었다고 밝혔다.
국제선에서는 수출입물량 증가로 전년대비 6.9% 증가한 25.8만톤을 수송하였고, 국내선에서는 제주노선 화물증가 등으로 전년 대비 11.5% 늘어난 2.3만톤을 수송하였다.
국제화물 수송량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역별로는 중동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화물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IT 제품 수요 회복, 對중국 수출 호조, 전년 대비 조업일수 증가(+4일) 등으로 화물량이 증가하였다.
(단위 : 톤, %)
구 분
|
일본
|
중국
|
미주
|
동남아
|
유럽
|
중동
|
대양주
|
`11년 2월
|
35,968
|
42,358
|
49,872
|
65,791
|
39,687
|
3,843
|
4,133
|
‘12년 2월
|
36,877
|
44,792
|
51,064
|
73,795
|
43,639
|
3,566
|
4,545
|
전년대비
|
2.5
|
5.7
|
2.4
|
12.2
|
10.0
|
-7.2
|
9.9
|
공항별로 보면, 인천공항은 전년대비 6.3% 증가한 24.5만톤을, 김해공항은 4.7% 증가한 5천톤, 김포공항은 29.7% 증가한 6천톤을 처리하였다.
- 인천공항은 수입화물이 3.5%(7.1→7.3만톤), 수출화물이 9.9%(7.4→8.2만톤), 환적화물이 5.5%(8.6→9.0만톤) 모두 증가하였다.
- 김포공항은 베이징노선 신설(+232편)로 일반화물(+554톤)과 수하물(+742톤)이 증가하면서 김해공항을 추월하였다.
국내화물의 경우 제주노선 화물량이 전년 대비 증가(14.4%, 2.0만톤)하였으나, 내륙노선은 운항편수가 줄면서 화물량이 감소(-5.8%, 0.28만톤)하였다.
국토해양부는 3월에는 태블릿 PC 등 IT제품 수출 호조, 농․축산물 수입 증가 추세와 함께 한․미 FTA 발효에 따른 추가적 영향으로 항공화물 물동량이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붙임> 2월 항공화물 수송실적 1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