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국제해사기구(IMO)에서 공식발표한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계획을 3월 20일 확인하고,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도 같은 계획이 제출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북측 발사계획에 따르면 발사일정은 4월 12일에서 16일 기간 중 오전 7시~12시 사이이고 발사장소는 평안북도 철산군 소재 서해 위성발사소이며,
1단계 추진체 낙하 예상위치는 우리나라 서해상으로 군산 서쪽 약 170㎞에서 홍도 북서쪽 약 65㎞ 지점의 가로 30㎞ 세로 80㎞ 사각형 해역이고,
2단계 추진체 낙하 예상위치는 필리핀 동쪽 약 140㎞ 지점의 해상으로 가로 100㎞ 세로 470㎞의 사각형 해역이라고 밝혔다.
* 세부 낙하위치(좌표), 선박 항로 및 항공로는 “참고자료” 참조
발사체 낙하가 예상되는 해역에 있어서 국적 선박과 항공기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선박의 경우
서해상 해역은 한-중 국제여객선 항로(15개 항로, 16척)와 겹치지는 않으나, 일평균 17여척(동 시간대 5척)의 국내․외 화물선이 통항하고 수 척의 우리 어선 조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해당기간․시간대에 동 해역을 피해 우회 항행하거나 조업을 금지하도록 조치하고,
2단계 낙하예상위치인 필리핀 동쪽 해상지역은 선박 항행이 빈번하지 않아 큰 영향이 없으나 필리핀, 호주 등지를 운항하는 일부 화물선이 통과할 수도 있으므로 발사기간 중 선박 항행 여부를 집중 감시하고 피항 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적 항공기의 경우
1단계 낙하 예상지역인 서해상 해역에는 전체 발사기간 중 대한항공 2편이 운항할 계획에 있어 약 180㎞ 떨어진 서울- 제주 항공로로 우회 비행시킬 예정이며,
* 대한항공 879편, 제주-북경, 4.12(목), 4.14(토) 08:20분 예정
필리핀 동쪽 해상지역은 해당시간대에 운항하는 국적 항공기가 없으나, 필요시 우회비행 등 안전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토해양부는 관련 선사와 항공사에 북측 발사계획을 전파하고 발사기간 중 운항선박과 항공기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이며, 유사시에 대비하여 관련기관과의 비상연락망을 긴밀하게 유지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번 사태가 종료될 때까지 북한의 동향을 예의주시하여 장거리 로켓 발사와 관련한 정보를 입수하는 즉시 항행통보, 항공고시보로 선사․항공사 등 관련 종사자에게 통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여러 가지 돌발 상황에 대비해 관계기관은 물론 중국․일본 등 주변국과 긴밀히 협조해 언제라도 필요한 추가 안전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대비하고, 선박과 항공기 안전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고 강조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