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은 전국 항만의 2월 컨테이너 처리실적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2.4%(2월까지 누계 8.4%) 증가한 164만TEU*을 기록하였다고 밝혔다.
* 수출입화물 1,029천(9.9%↑), 환적화물 575천(15.2%↑), 연안화물 38천TEU(46.1%↑)
이는 2월 물동량 중 사상 최대치로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작업일수 증가(윤달 및 설 연휴기간) 등 계절적인 요인과 함께 환적화물의 꾸준한 증가와 수출입 물동량의 증가세 전환*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 수출입화물 증가율 : 10.4(‘11.9)→8.6(’11.10)→2.1(‘11.11)→3.4(’11.12)→▵3.3(‘12.1)→9.9%(’12.2)
< 2월중(‘07~'12) 전국 컨테이너 물동량 추이 >
(단위 : 천TEU, %)
구 분
|
‘07. 2
|
‘08. 2
|
‘09. 2
|
‘10. 2
|
‘11. 2
|
‘12. 2
|
합계
|
1.314
|
1,344
|
1,080
|
1,370
|
1,461
|
1,641
|
증가율(누계)
|
10.9
|
4.0
|
△19.7
|
26.4
|
10.6
|
8.4
|
- 특히, 환적화물은 부산항의 거미줄 같은 피더네트워크와 비용경쟁력과 같은 내부요인과 함께 벙커C유 가격상승 등 외부 요인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면서 ‘11.3월 이후 12개월 연속 두 자리 수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런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처리실적 (2월) >
(단위 : 천TEU, %)
구 분
|
'09. 2월
|
'10. 2월
|
'11. 2월
|
최근 3개월
|
‘12. 2월
|
'11.11월
|
'11.12월
|
'12.1월
|
총 물 동 량
|
1,080
|
1,370
|
1,461
|
1,819
|
1,875
|
1,773
|
1,641
|
전년동기 대비
|
△19.7
|
26.4
|
10.6
|
9.3
|
10.0
|
5.0
|
12.4
|
|
수출입
|
686
|
854
|
936
|
1,102
|
1,141
|
1,035
|
1,029
|
|
환 적
|
380
|
489
|
499
|
672
|
681
|
691
|
575
|
|
연 안
|
15
|
26
|
26
|
45
|
52
|
47
|
38
|
또한, 국내 최대 항만인 부산항은 꾸준한 환적화물의 증가와 더불어 중국(11.0%↑) 및 유럽지역(24.3%↑) 수출입 물동량의 동반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13.8% 증가한 124만TEU를 처리하였으며,
광양항 및 인천항도 지난해 대비 작업일수 증가, 중국(광양 11.9%, 인천 18.2%) 등 주요 교역국과의 수출입화물 증가 등에 따라 수출입 물량이 증가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2%, 11.3% 증가하였다.
< 주요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 현황(2월) >
(단위 : 천TEU)
구 분
|
'09. 2월
|
'10. 2월
|
'11. 2월
|
최근 3개월
|
'12.2월
(증가율 %)
|
'11.11월
|
'11.12월
|
'12. 1월
|
부산항
|
810
|
1,013
|
1,092
|
1,370
|
1,396
|
1,359
|
1,242 (13.8)
|
광양항
|
122
|
149
|
168
|
157
|
173
|
167
|
172 (2.2)
|
인천항
|
85
|
127
|
116
|
170
|
174
|
142
|
129 (11.3)
|
한편, 세계 10대 항만은 전년 동월대비(1,203만TEU) 12.8% 증가한 1,357만TEU를 처리하였으며,
부산항은 닝보-저우산항을 제치고 다시 세계 5위를 차지하였으며, 싱가폴항이 235만TEU를 처리하여 지난 해 2월에 이어 다시 한번 1위를 차지하였다.
세계 10대 항만에 포함된 7개 중국항만은 ‘11년 춘절연휴가 2월에 있음에 따른 기저효과*와 2월 작업일수 증가에 따라 높은 증가율(13.6%)을 기록하면서 922만TEU를 처리하였다.
* 특히 광저우항은 101만TEU를 처리, 이는 지난해 월평균(110~120만TEU)에는 못 미치는 수준이지만, 지난 해 2월(71만TEU) 처리 실적 대비 높은 증가율(42.4%)을 기록
< ‘12년 2월 세계 10대 항만 컨테이너 처리실적 >
(단위 : 천TEU)
순위
|
항 만
|
‘11년
|
‘11.2월
|
‘11.1-2월
|
‘12.2월
|
‘12.1-2월
|
전년대비(%)
|
‘12.2월
|
’11년
|
동월
|
누계
|
1
|
2
|
싱가폴
|
29,938
|
2,147
|
4,563
|
2,345
|
4,888
|
9.2
|
7.1
|
2
|
1
|
상하이(中)
|
31,500
|
1,940
|
4,648
|
2,180
|
4,799
|
12.4
|
3.3
|
3
|
3
|
홍 콩(中)
|
24,365
|
1,529
|
3,626
|
1,646
|
3,617
|
7.7
|
△0.3
|
4
|
4
|
선 전(中)
|
22,570
|
1,293
|
3,389
|
1,375
|
3,308
|
6.3
|
△2.4
|
5
|
5
|
부 산
|
16,175
|
1,091
|
2,327
|
1,242
|
2,602
|
13.8
|
11.8
|
6
|
6
|
닝보-저우산(中)
|
14,686
|
912
|
2,185
|
1,055
|
2,480
|
15.7
|
13.5
|
7
|
8
|
칭다오(中)
|
13,020
|
975
|
2,102
|
1,067
|
2,287
|
9.4
|
8.8
|
8
|
7
|
광저우(中)
|
14,400
|
707
|
1,723
|
1,007
|
1,974
|
42.4
|
14.6
|
9
|
9
|
텐 진(中)
|
11,500
|
758
|
1,685
|
890
|
1,772
|
17.4
|
5.2
|
10
|
10
|
카오슝
|
9,636
|
677
|
1,469
|
760
|
1,565
|
12.3
|
6.5
|
계
|
187,790
|
12,029
|
27,717
|
13,567
|
29,292
|
12.8
|
5.7
|
* 항만당국 홈페이지 참조 (두바이항, 로테르담항은 공식통계 미발표)
(‘10년 기준, 두바이 9위, 로테르담 10위 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