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가까운 거리 이동시 보행보다 택시 많이 이용’
기관
등록 2012/03/30 (금)
파일 120330(석간) 서울시 택시 데이터 분석 결과(종합교통정책과).hwp
내용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한국교통연구원에 의뢰하여 서울 콜택시 자료를 분석하여 서울 택시의 운행 특성에 대해 발표하였다.

  택시 탑승 거리가 기본거리(2km) 미만인 경우가 34.9%

  GPS 좌표를 기반으로 택시의 출·도착지간 거리 및 경로를 분석한 결과 기본요금 거리(2km)내 이동이 34.9%, 5km 미만인 경우가 67.3%를 차지하는 등 단거리 이동의 비중이 높았다.


 

이동 거리

빈도

누적 빈도(%)

2km 미만

76,676

34.9%

2km~3km

33,304

50.0%

3km~4km

22,237

60.1%

4km~5km

15,683

67.3%

5km 이상

72,000

100.0%

  <일주일간 서울 택시의 탑승 거리 건수>


 대중교통이 이용가능한 퇴근시간 대(18~21시)에는 단거리(1~3km) 이동이 높은 반면, 심야 시간대(21~다음날 1시)에는 중장거리 (4km 이상)의 이동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행정구 내 이동은 강남구 내 이동이 가장 많아

  택시의 출·도착지를 연계하여 비교해 본 결과 단거리 이동(같은 구 내부 이동)이 전체 통행의 42%를 차지하였으며, 그중 16.0%가 강남구 내 이동이었다. 은평구는 거주인원에 비해 보유 차량 대수가 낮고(강북구, 관악구, 성북구, 은평구 순) 대중교통 연계 등의 문제가 겹쳐, 택시 이용 빈도수가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순위

출발지

도착지

승하차횟수

1

강남구

강남구

   14,976

2

송파구

송파구

    6,440

3

은평구

은평구

    5,660

4

서초구

서초구

 5,055

5

영등포구

영등포구

 4,379

 < 택시를 이용한 행정구 간 이동 횟수 (최다 5개 지역)>


 택시 승하차가 가장 많은 심야시간대(저녁 9시부터 새벽 1시까지)에도 강남구 내에서 택시 이용이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였다.

 

 <저녁시간대 택시를 이용한 행정구 간 이동 횟수 (최다 10개 지역)>


 중·장거리 이동도 인접구로의 이동이 대부분

  택시를 이용하여 구를 넘나드는 통행의 경우에도 대부분 구 경계를 공유하는 인접한 구로의 이동이 대부분(상위 20개 통행중 19개)을 차지하였다. 이는 서울 도심 내 통행에서 택시의 이용 패턴이 중·단거리 위주임을 보여주고 있다.

 

 <택시를 이용한 타 행정구로의 이동 횟수 (최다 10개 지역)>


 택시를 이용한 서울 외곽으로의 이동

  서울 택시의 하차지역을 분석한 결과 전체 도착지의 4%정도(9,034회)가 시계외로 이동하였다. 본 자료에 사용한 택시자료의 수집기간인 2010년 11월을 기준으로 보면, 택시의 시계외 할증 면제구간인 11개 시(의정부 고양 김포 부천 광명 안양 과천 성남 하남 구리 남양주)에 상위 10개 도착 장소 모두 포함되었다.

 

 <택시를 이용하여 서울 시계외로의 이동 횟수 (최다 10개 지역)>


 국토해양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택시의 이용 패턴 및 도심내 택시 이용 수요 분석을 통해 앞으로 경차 택시 활성화 등 단거리 이동 교통수단을 다양화해 나가는 한편, 광역급행버스(M버스) 운행을 확대하고 정기이용권 버스를 새로 운행하는 등 수도권 광역교통대책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