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항공여건의 급격한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국내 항공로 중 교통량(일평균 1,408편)이 가장 집중(37%)되어 있는 서울-제주 구간을 복선화한다.
서울-제주 항공로는 인천공항 개항 이후부터 항공로 복선화 필요성이 제기되어 국방부, 주한미공군 등과 항공로 주변에 위치한 군용 항공기 훈련공역 조정방안을 지속적으로 협의한 결과,
군 훈련공역의 조정을 최소화하고 민간항공기의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상 항행시설이 아닌 위성과 항공기 탑재장비의 성능만을 이용한 기법(PBN)*으로 항공로를 설계하기로 합의하였다.
* PBN(Performance Based Navigation)은 관성항법시스템, GPS 수신기 등을 활용하여 재래식 방식에 비해 정확도를 크게 개선한 비행 방식
그 동안 짧은 서울-제주 구간(약400km)에서 많은 항공기가 상승/강하함으로써 항공안전 저해요인이 상존하였으나, 복선항공로 운영으로 입․출항 비행경로가 분리되어 항공안전에 크게 기여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항공로 수용량도 시간당 56대에서 83대까지 약48% 확대되어 지상/공중지연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연간 133억원의 연료비와 38.6천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효과가 예상된다.
서울-제주 항공로 운영은 안전성 확보를 위한 비행점검, 항공종사자에 대한 교육과 항공지도 수정 등 항공로 운영에 필요한 조치를 마치고 국방부와 최종 협의하여 금년 상반기 중에 시행할 예정이며,
앞으로도 국토해양부에서는 민간항공기가 보다 경제적이면서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도록 관련부처와 협의하여 교통량이 혼잡한 항공로에 대해서는 복선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붙임) 서울↔제주 복선 항공로 도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