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 「미디어데이」 개최
기관
등록 2012/04/17 (화)
파일 120418(조간)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 미디어데이 개최(공간정보기획과).hwp
내용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단장 김병국)은 4월 18일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에서 주요 언론, 기업체, 공공기관, 정부 등 관계자 등을 초청하여 ‘미디어데이’ 행사를 개최한다.


  * 미디어데이 : 연구성과 언론 발표회


 ‘미디어데이’행사에는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R&D) 6년간의 ‘주요성과 발표회’, 지능형국토정보기술을 이용한 국토정보의 미래모습 소개, 우수 연구성과 전시 및 시연 등 연구 성과가 실제 생활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입체적으로 소개된다.

  또한, 미디어데이 행사 후 송기섭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박상우 국토해양부 주택토지실장, 신혜경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장, 진인주 인하대학교 부총장, 김병국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장 등이 참석하여 국토정보실험관리센터 현판식도 개최한다.

  국토해양부는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R&D)을 통하여 공간정보 관련 장비 국산화, 소프트웨어 개발 등 획기적인 기술개발 성과를 거두었다고 밝혔다.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은 ‘국토부 10대 R&D(VC-10) 사업’ 중 첫 번째 사업으로 공간정보기술을 유비쿼터스 IT기술과 융․복합하여 미래핵심 성장동력으로 키우기 위한 국토부의 핵심전략 사업이다.

  이 사업으로 “3차원 레이저 스캐너”, “실내공간정보 활용플랫폼” 등 33개 대표 성과물과 더불어 첨단 공간정보기술을 실험·검증 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를 세종시에 구축하였다.

  “3차원 레이저 스캐너”는 빌딩·교량·문화재 등의 3차원 공간정보를 획득하여 구조물 변화에 따른 원형 복원과 안전진단을 할 수 있는 최첨단 측량기기로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 국산화 하는데 성공하였다.

 - 이 제품은 측량속도, 정밀도, 작동온도 측면에서 수입제품과 대등한 성능을 갖춘 반면 수입제품(2~3억원)보다 저렴한 가격(1억원 내외)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 특히 영하권(-20°)의 날씨에도 현장에서 관측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건설, 시설물관리를 비롯하여 자동차 무인주행, 로봇분야까지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해 시장 확대 및 수입대체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실내공간정보 활용플랫폼”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주도하고 있는 신기술 분야로, 차량용 네비게이션(실외공간정보기술) 중심이던 시장을 실내공간까지 확장시켜 대형건물 긴급 대피로 안내 등 다양한 공간정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 이 기술은 기존 실외에 국한되어 서비스되던 위치정보를 실내로 확대한 것으로 현재 롯데백화점 u-Mall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 향후 대형 쇼핑몰, 병원, 백화점, 지하철, 공항 등 대중이용 시설물의 내부 공간정보 구축과 제공뿐만 아니라, 대형 건물의 재난 대피, 시각장애인의 실내 이동지원, 실내 로봇 네비게이션 등으로 적용영역을 확대하여 다양한 수익모델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 지난 3월 미국에서 개최된 국제표준화 조직인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 총회에서는 실내공간정보 표준화 그룹이 결성되고, 국내 연구진이 의장(이기준, 부산대)과 부의장(이지영, 서울시립대)에 선출되어 실내 공간정보 분야에서 국내 기술이 세계 최고의 기술임을 입증하였다.

  더불어, 세종시에 구축된 테스트베드는 R&D 성과를 실제와 동일한 환경에 설치·운영함으로써 기술의 완성도 및 활용성을 높이는 공동실험장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본 사업에서 개발된 기술을 통해 공간정보기술의 국가 경쟁력 향상은 물론 국토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처리·활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해양부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은 ‘차세대 국토해양 R&D사업’ 등을 통해 그간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의 연구 결과로 얻어진 성과물과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현재 민간기업에서 연구사업 성과물을 상용화하기 위해 61건(약 20억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였고 원천기술의 경우 10건을 국제표준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사업 종료 후에도 연구성과 활용을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

  또한 세종시에 설치된 테스트베드를 지속적으로 운영하여 장비의 성능검증, 안정성 시험 등 연구기관이 성과물을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붙임. 주요연구성과, 33개 연구성과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