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레이더보다 탐지시간이 짧고 정확성이 높은 차세대 항행시스템(ADS-B)을 도입하기 위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아태지역 회의가 24일부터 27일까지 제주도에서 개최된다.
* 차세대 항행시스템(ADS-B, Automatic Dependence Surveillance-Broadcast)은 기존 레이더와 달리 낮은 고도에서도, 또는 항공기 상호간에도 감시할 수 있다. 탐지시간(약 1초)도 레이더(약 5~10초)보다 단축되고 정확도 및 신뢰성이 향상되었다.
* 차세대 항행시스템(ADS-B)은 미국, 프랑스, 터키, 그리스,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영국, 스웨덴, 호주 등 세계 11개국에서 관제 업무의 항공기 감시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부터 인천공항에서 항공기 및 차량 이동 등 지상 감시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
기존 2차 감시레이더(SSR)와 ADS-B 비교
구 분
|
기존 레이더
|
ADS-B
|
이용범위
|
▪중․고고도 항공기 탐지
|
▪저․중․고고도 항공기 및 지상 이동물체 등 탐지
|
탐지 주기
|
▪5~12초 간격
|
▪1초
|
기능
|
▪항공기 탐지
|
▪항공기 탐지, 항공기에 기상 등 안전정보 제공
|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와 인천국제공항공사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이 회의에는 ICAO 아태지역 20여 개국 60여명의 정부대표와 국제기구, 국내 전문가 등 200여명이 참석한다.
회의가 시작되는 24일은 우리나라의 ADS-B 연구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AP 시스템(주)에서 ADS-B 개발 현황에 대한 발표를 하고 각국 전문가의 토론이 진행된다.
25일~26일은 ICAO가 주관하는 국제회의가 진행되며, 이 자리에서 각 국가의 ADS-B 적용정책을 논의하여 각 국가별 구축계획을 수립하고, 국가 간 협력방안과 절차를 마련한다.
이번 국제회의를 우리나라에서 개최함으로써 ICAO에서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이 한층 높아지게 되고 ICAO 이사국 상향 진출(Part III→Part II)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ICAO 이사국 현황)
ㆍ Part I(항공운송주요국가) :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 11개국
ㆍPart II(국제항공항행시설에 공헌한 주요국가) : 스페인, 인도, 중국, 이집트, 사우디 등 12개국
ㆍ Part III(지역대표국가) : 한국, UAE, 쿠바, 루마니아, 튀니지 등 13개국
우리나라는 2014년 국산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개발(R&D)에 주력하고 있으며, 8개 산․학․연에서 연구개발한 국산 항행장비 14종 전시회를 회의기간 중 개최하여 국산 장비의 우수성을 홍보할 계획이다. 국산 항행장비의 해외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 1. 회의 개요
2. 차세대 항행시스템(ADS-B) 개념도
3. 차세대 항행시스템(ADS-B) 국내 R&D 현황
4. 국산 항행장비 전시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