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에 따르면, 2012년 1/4분기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물동량은 총 3억 3,134만 톤으로 전년동기(3억 1,718만 톤) 대비 4.5%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2012년 3월 당월 물동량은 1억 1,354만 톤으로 전년동월(1억 1,412만 톤) 대비 0.5% 감소하였다.
< ‘12년 1/4분기 전국 무역항 항만물동량(단위:천톤,%) >
|
‘09년
1/4분기
|
‘10년
1/4분기
|
‘11년
1/4분기
|
최근 3개월
|
‘12년
1/4분기
|
‘12.1월
|
‘12.2월
|
‘12.3월
|
총물동량
|
250,650
|
288,519
|
317,183
|
111,816
|
101,959
|
113,539
|
331,342
|
전년동기 대비
|
△12.2
|
15.1
|
9.9
|
3.8
|
7.6
|
△0.5
|
4.5
|
|
수 출 입
|
197,192
|
232,783
|
260,297
|
93,155
|
84,897
|
94,614
|
275,342
|
|
연 안
|
53,458
|
55,736
|
56,886
|
18,661
|
17,062
|
18,925
|
56,000
|
‘12년 1/4분기 전체 항만물동량을 항만별로 살펴보면, 부산항은 목재 수출 및 섬유류 등 수입 증가로 전년동기 대비 8.7% 증가했고 울산항은 유류와 자동차 등 수출 증가로 전년동기 대비 5.7% 증가하였다.
인천항은 유류 등 수출입 감소로 전년동기 대비 2.2% 감소했고 포항항은 유연탄 등 수입 감소로 전년동기 대비 2.5% 감소하였다.
< '12년 1/4분기 주요 항만별 물동량(단위 : 천톤, %) >
구 분
|
부산항
|
광양항
|
울산항
|
인천항
|
평택․당진항
|
대산항
|
포항항
|
기타
|
총물동량
|
74,216
|
53,935
|
48,346
|
38,085
|
26,870
|
17,898
|
15,938
|
56,054
|
전년동기 대비
|
8.7
|
1.3
|
5.7
|
△2.2
|
10.3
|
5.0
|
△2.5
|
5.3
|
품목별로는 유류와 광석 및 자동차는 수출입 물량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3.4%, 12.1% 및 17.5% 각각 증가한 반면, 유연탄과 철재는 전년 대비 5.4%, 4.1% 각각 감소하였다.
< '12년 1/4분기 주요 품목별 물동량(단위: 천톤, %) >
품목별
|
유류
|
광석
|
유연탄
|
철재
|
기계류
|
자동차
|
화공품
|
모래
|
시멘트
|
기타
|
총물동량
|
101,403
|
30,654
|
29,368
|
22,749
|
19,355
|
15,288
|
13,600
|
11,486
|
9,016
|
78,423
|
전년동기 대비
|
3.4
|
12.1
|
△5.4
|
△4.1
|
11.8
|
17,5
|
5.1
|
0.2
|
1,6
|
6.8
|
한편, 전국 항만의 1/4분기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한 539만 1천TEU*를 기록하였다.
* 수출입화물 3,265천(1.5%↑), 환적화물 2,000천(16.5%↑), 연안화물 126천TEU(14.2%↑)
이는 세계경기 침체 및 중국의 성장률 둔화로 수출입 물동량이 낮은 증가세(15.1%→1.5%)를 보임에 따라 전체 증가세도 추춤(13.0%→6.9%)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3월 물동량은 지속적인 환적화물 처리 확대에 힘입어 지난해 같은 달 대비 3.5% 증가한 195만 9천TEU를 기록하면서 역대 월간 최대 처리실적을 기록하였다.
<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처리실적 (1/4분기) >
(단위 : 천TEU, %)
구 분
|
연도별 1/4분기 실적
|
최근 3개월
|
‘12년.
(1/4분기)
|
'09년
|
'10년
|
'11년
|
'12.1월
|
'12.2월
|
'12.3월
|
총 물 동 량
|
3,580
|
4,465
|
5,044
|
1,788
|
1,645
|
1,959
|
5,391
|
전년동기 대비
|
△19.7
|
24.7
|
13.0
|
5.8
|
12.5
|
3.5
|
6.9
|
|
수출입
|
2,222
|
2,795
|
3,217
|
1,049
|
1,037
|
1,179
|
3,265
|
|
환 적
|
1,309
|
1,579
|
1,717
|
691
|
570
|
739
|
2,000
|
|
연 안
|
49
|
91
|
111
|
48
|
38
|
41
|
126
|
한편 부산항은 꾸준한 환적화물의 증가로 개항 이래 처음으로 월별 환적화물 70만 8천TEU를 처리함에 힘입어 전년 동기(1/4분기) 대비 9.6% 증가한 408만 9천TEU를 처리하였으며,
광양항은 수출입화물(△0.7%) 및 환적화물(△17.9%)이 모두 감소하여 전년 동기보다 3.4% 감소한 52만 6천TEU, 인천항은 대중국 교역량 감소에 따라 전년 동기보다 △0.7% 감소한 45만 2천TEU를 처리하였다.
< 주요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 현황(1/4분기) >
(단위 : 천TEU, %)
구 분
|
연도별 1/4분기 실적
|
최근 3개월
|
‘12년.
(1/4분기)
|
'09년
|
'10년
|
'11년
|
'12.1월
|
'12.2월
|
'12.3월
|
부산항
|
2,687
|
3,272
|
3,730
|
1,364
|
1,238
|
1,486
|
4,089 (9.6)
|
광양항
|
387
|
495
|
545
|
168
|
175
|
183
|
526 (△3.4)
|
인천항
|
297
|
427
|
456
|
149
|
131
|
173
|
452 (△0.7)
|
세계 10대 항만 1/4분기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동기대비(4,294만TEU) 6.1% 증가한 4,555만TEU를 처리하였으며,
부산항은 전년 동기대비 0.2% 감소한(503만TEU 처리) 선전항과의 격차(130.5만TEU→93.7만TEU)를 좁히며, 세계 5위를 유지하였으며, 상하이항은 758만TEU를 처리하여 세계 1위 자리를 회복하였다.
중국 상위 7개 항만은 최근 유럽 재정위기 악화에 따른 수출부진과 내수침체로 1/4분기 성장률이 3년 만에 최저치(8.1%)를 기록하면서, 세계 10대 항만 평균(6.1%)보다 낮은 증가세를 기록(5.6%)하였다.
< ‘12년 1/4분기 세계 10대 항만 컨테이너 처리실적 >
(단위 : 천TEU,%)
순위
|
항 만
|
‘11년
|
‘11.3월
|
‘11.1-3월
|
‘12.3월
|
‘12.1-3월
|
전년대비
|
‘12.1-3월
|
’11년
|
동월
|
누계
|
합 계
|
188,059
|
15,211
|
42,942
|
16,172
|
45,554
|
6.3
|
6.1
|
1
|
1
|
상하이(中)
|
31,740
|
2,630
|
7,271
|
2,770
|
7,576
|
5.3
|
4.2
|
2
|
2
|
싱가폴
|
29,938
|
2,504
|
7,067
|
2,649
|
7,537
|
5.8
|
6.7
|
3
|
3
|
홍 콩(中)
|
24,384
|
1,840
|
5,466
|
1,970
|
5,616
|
7.1
|
2.7
|
4
|
4
|
선 전(中)
|
22,570
|
1,658
|
5,035
|
1,691
|
5,026
|
2.0
|
△0.2
|
5
|
5
|
부 산
|
16,185
|
1,402
|
3,730
|
1,486
|
4,089
|
6.0
|
9.6
|
6
|
6
|
닝보-저우산(中)
|
14,686
|
1,183
|
3,371
|
1,293
|
3,787
|
9.3
|
12.3
|
7
|
8
|
칭다오(中)
|
13,020
|
1,104
|
3,206
|
1,227
|
3,513
|
11.1
|
9.6
|
8
|
7
|
광저우(中)
|
14,400
|
1,124
|
2,876
|
1,259
|
3,247
|
12.0
|
12.9
|
9
|
9
|
텐 진(中)
|
11,500
|
956
|
2,641
|
1,003
|
2,775
|
4.9
|
5.1
|
10
|
10
|
카오슝
|
9,636
|
810
|
2,279
|
824
|
2,388
|
1.7
|
4.8
|
중국계(홍콩 포함)
|
132,300
|
10,495
|
29,866
|
11,213
|
31,540
|
6.8
|
5.6
|
* 항만당국 홈페이지 참조 (두바이항, 로테르담항은 공식통계 미발표)
- ‘11년 기준, 두바이 9위(13,000천TEU) 로테르담 10위(11,900천TEU) 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