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2012년 1/4분기 건축허가면적은 ‘11년 1/4분기보다 5.5% 증가한 29,359천㎡(52,840동)이고, 착공면적은 14.5% 증가한 22,634천㎡(43,135동) 이라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의 허가와 착공면적이 각각 1,662천㎡(12.4%), 1,251천㎡(14.5%) 감소한 반면, 지방은 허가와 착공면적이 3,198천㎡(22.1%), 4,123천㎡(37.1%) 증가하였다.
< 분기별 건축허가 추이 >
(단위 : 1,000㎡)
(단위 : 1,000㎡, 동)
분기
|
’09년
|
’10년
|
’11년
|
’12년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허가
|
연면적
|
17,896
|
22,252
|
25,194
|
32,090
|
25,341
|
37,008
|
25,126
|
31,823
|
27,824
|
35,860
|
35,606
|
38,851
|
29,359
|
동수
|
38,999
|
53,897
|
51,938
|
54,747
|
45,894
|
64,430
|
51,502
|
57,762
|
49,153
|
68,319
|
57,408
|
62,542
|
52,840
|
< 분기별 건축물 착공 추이 >
(단위 : 1,000㎡)
(단위 : 1,000㎡, 동)
분기
|
’09년
|
’10년
|
’11년
|
’12년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착공
|
연면적
|
13,113
|
18,562
|
18,505
|
23,555
|
19,440
|
27,285
|
20,773
|
20,457
|
19,762
|
28,092
|
22,609
|
30,201
|
22,634
|
동수
|
30,374
|
46,954
|
42,931
|
45,711
|
36,151
|
56,613
|
44,685
|
49,306
|
39,826
|
59,351
|
47,990
|
50,895
|
43,135
|
그러나, 매년 하반기에 집중되는 건축허가 등의 신청으로 인해 전년 4/4분기와 비교하여 건축허가 및 착공 면적은 각각 24.4%, 25.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물 용도별 허가, 착공 현황을 살펴보면,
[용도별 건축물 분류(통계용)]
․ 주거용 : 주택
- 단독주택 : 단독, 다가구, 다중주택
- 공동주택 : 연립, 다세대, 아파트
․ 상업용 : 근린생활, 자동차관련, 판매, 운수, 숙박, 업무시설 등
․ 공업용 : 공장, 교육․사회용 : 의료시설, 문화시설(극장 등)
․ 기타 : 농수산용(축사, 온실), 공공용(공공청사, 방송국)
건축허가의 경우 주거용이 11,150천㎡(38.0%), 상업용이 7,600천㎡(25.9%), 공업용이 3,740천㎡(12.7%), 교육․사회용이 2,276천㎡(7.8%), 기타 4,593천㎡(15.6%) 이고,
착공은 주거용이 9,065천㎡(40.1%), 상업용이 5,061천㎡(22.4%), 공업용이 2,899천㎡(12,8%), 교육․사회용이 1,522(6.7%), 기타 4,088천㎡(18.1%)로 나타났다.
2012년 1/4분기 주요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허가면적의 경우 수도권의 주거용 건축물은 전년동기 대비 줄어든 반면, 지방은 크게 증가하였으며 소형주택 공급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주거용 건축물은 전년동기 대비 1,576천㎡(16.5%) 증가 하였으며, 수도권이 863천㎡(17.5%) 감소한 반면 지방은 2,438천㎡(56.2%)로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서울이 1,369천㎡(50%) 감소한 반면, 충남은 782천㎡(232.3%) 증가하였다.
- 또한, 주거용 건축물 중 아파트는 허가면적이 520천㎡(9.4%) 감소한 반면 허가동수는 50동(5.5%)이 늘어났으며, 오피스텔, 고시원 등준주택의 경우 전체 허가면적은 증가하였으나, 오피스텔은 전년동기 대비 175%가 늘고, 고시원은 65% 감소하였다
< 연도별 오피스텔, 고시원 허가현황(천㎡) >
구 분
|
'10년 1/4분기
|
'11년 1/4분기
|
'12년 1/4분기
|
오피스텔
|
153
|
327
|
899
|
고시원
|
236
|
331
|
116
|
합 계
|
389
|
658
|
1,015
|
< 주거용 건축물 건축허가 현황 >
(단위 : 1,000㎡, 동)
구분
|
합계
|
단독주택
|
다가구주택
|
아파트
|
연립주택
|
다세대주택
|
기타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11년 1/4
분기
|
전국
|
20,012
|
9,574
|
10,817
|
1,050
|
5,244
|
1,736
|
914
|
5,559
|
99
|
136
|
1,581
|
795
|
1,357
|
297
|
수도권
|
전체
|
6,047
|
4,936
|
2,304
|
271
|
1,285
|
372
|
453
|
2,632
|
40
|
46
|
1,230
|
609
|
735
|
105
|
서울
|
1,877
|
2,716
|
162
|
19
|
236
|
54
|
390
|
2,276
|
8
|
9
|
683
|
305
|
398
|
54
|
지방
|
전체
|
13,965
|
4,638
|
8,513
|
779
|
3,959
|
1,364
|
461
|
2,927
|
59
|
91
|
351
|
186
|
622
|
192
|
충남
|
1,359
|
336
|
998
|
109
|
302
|
117
|
2
|
2
|
1
|
3
|
28
|
16
|
28
|
90
|
’12년 1/4
분기
|
전국
|
23,348
|
11,150
|
12,436
|
1,163
|
6,070
|
2,031
|
964
|
5,039
|
210
|
298
|
2,367
|
1,224
|
1,301
|
1,393
|
수도권
|
전체
|
6,838
|
4,073
|
2,715
|
291
|
1,520
|
443
|
389
|
1,763
|
48
|
70
|
1,717
|
869
|
449
|
638
|
서울
|
1,631
|
1,347
|
113
|
12
|
259
|
61
|
161
|
725
|
10
|
16
|
823
|
377
|
265
|
156
|
지방
|
전체
|
16,510
|
7,076
|
9,721
|
872
|
4,550
|
1,589
|
575
|
3,677
|
162
|
228
|
650
|
355
|
852
|
756
|
충남
|
2,072
|
1,118
|
1,357
|
131
|
450
|
191
|
113
|
720
|
8
|
10
|
54
|
30
|
90
|
36
|
전년동기대비
|
전국
|
차이
|
3,336
|
1,576
|
1,619
|
113
|
826
|
296
|
50
|
△520
|
111
|
162
|
786
|
429
|
△56
|
1,096
|
증감율(%)
|
16.7
|
16.5
|
15.0
|
10.7
|
15.8
|
17.0
|
5.5
|
△9.4
|
112.1
|
119.0
|
49.7
|
54.0
|
△4.1
|
369.2
|
수도권
|
차이
|
791
|
△863
|
411
|
20
|
235
|
71
|
△64
|
△870
|
8
|
25
|
487
|
260
|
△286
|
532
|
증감율(%)
|
13.1
|
△17.5
|
17.8
|
7.2
|
18.3
|
19.1
|
△14.1
|
△33.0
|
20.0
|
53.7
|
39.6
|
42.6
|
△38.9
|
505.7
|
지방
|
차이
|
2,545
|
2,438
|
1,208
|
93
|
591
|
225
|
114
|
349
|
103
|
138
|
299
|
170
|
230
|
564
|
증감율(%)
|
18.2
|
52.6
|
14.2
|
11.9
|
14.9
|
16.5
|
24.7
|
11.9
|
174.6
|
152.0
|
85.2
|
91.3
|
37.0
|
294.2
|
둘째, 건축물 허가현황을 볼 때 건축물의 고층화 대형화 추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건축물 고층화, 대형화 현황(건축허가 동수) >
구 분
|
'09년 1/4분기
|
'10년 1/4분기
|
'11년 1/4분기
|
'12년 1/4분기
|
30층 이상 건축물
|
16
|
51
|
34
|
60
|
1만㎡ 이상 건축물
|
165
|
256
|
293
|
310
|
합 계
|
181
|
307
|
327
|
370
|
셋째, 착공면적의 경우도 상업용 건축물중 상업시설의 착공면적이 수도권은 감소한 반면, 지방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 상업시설의 착공면적은 전년동기 대비 수도권이 302천㎡(22%) 감소한 반면, 지방이 733천㎡(50.2%)로 증가하였다.
- 특히, 경기도의 상업시설 착공면적은 294천㎡(30.3%) 감소한 반면 충남은 501천㎡(435.3%)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세종시 영향으로 보인다.
< 상업용 건축물중 상업시설 착공 현황 >
(단위 : 1,000㎡, 동)
구분
|
합계
|
제1종근린생활시설
|
제2종근린생활시설
|
업무시설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11년 1/4분기
|
전국
|
8,316
|
2,834
|
3,065
|
943
|
5,102
|
1,403
|
149
|
488
|
수도권
|
전체
|
3,123
|
1,375
|
1,222
|
404
|
1,832
|
647
|
69
|
324
|
경기
|
2,453
|
971
|
1,105
|
333
|
1,319
|
420
|
29
|
218
|
지방
|
전체
|
5,193
|
328
|
1,843
|
50
|
3,270
|
174
|
80
|
104
|
충남
|
499
|
115
|
193
|
36
|
299
|
66
|
7
|
13
|
’12년 1/4분기
|
전국
|
8,607
|
3,265
|
3,173
|
965
|
5,239
|
1,282
|
195
|
1,017
|
수도권
|
전체
|
2,920
|
1,072
|
1,096
|
379
|
1,763
|
506
|
61
|
187
|
경기
|
2,374
|
677
|
974
|
294
|
1,375
|
338
|
25
|
45
|
지방
|
전체
|
5,687
|
2,192
|
2,077
|
586
|
3,476
|
776
|
134
|
831
|
충남
|
689
|
616
|
260
|
61
|
393
|
94
|
36
|
460
|
전년 동기 대비
|
전국
|
차이
|
291
|
430
|
108
|
22
|
137
|
△120
|
46
|
529
|
증감율(%)
|
3.5
|
15.2
|
3.5
|
2.3
|
2.7
|
△8.6
|
30.9
|
108.4
|
수도권
|
차이
|
△203
|
△302
|
△126
|
△25
|
△69
|
△141
|
△8
|
△137
|
증감율(%)
|
△6.5
|
△22.0
|
△10.3
|
△6.1
|
△3.8
|
△21.8
|
△11.6
|
△42.3
|
지방
|
차이
|
494
|
733
|
234
|
46
|
206
|
20
|
54
|
666
|
증감율(%)
|
9.5
|
50.2
|
12.7
|
8.6
|
6.3
|
2.7
|
67.5
|
404.5
|
그 외, 1/4분기 기타 건축현황은 다음과 같다.
규모별, 소유주체별 변동현황 및 멸실 현황을 보면
먼저 규모별 건축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0.5%인 21,412동, 100~200㎡ 건축물이 10,109동(19.1%), 300~500㎡ 건축물이 8,192 동(15.5%) 순이며,
- 건축물 착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17,609동으로 전체의 40.8%, 100~200㎡ 건축물이 7,974동(18.5%), 300~500㎡ 건축물이 7,174동(16.6%) 순이었다.
소유주체별 건축허가는 개인이 전체의 36.0%인 10,578천㎡, 법인이 16,005천㎡(54.5%), 국․공유 및 기타가 1,642천㎡(5.6%)이고,
- 착공은 개인이 전체의 38.2%인 8,654천㎡, 법인이 11,645천㎡(51.4%), 국․공유 및 기타 1,358천㎡(6.0%) 순이다.
멸실현황을 용도별로 보면 주거용이 전체의 36.9%인 1,064천㎡(8,980동)이 멸실되었으며, 상업용이 26.2%인 756천㎡(2,721동), 기타가 14.3%인 414천㎡(1,138동) 순으로 멸실되었고,
- 주거용 건축물의 멸실현황을 세분화해보면 단독주택이 주거용 전체의 70.0%인 746천㎡(7,866동) 멸실되었으며, 다가구주택 13.4%인 143천㎡(716동), 아파트가 7.2%인 76천㎡(29동) 순으로 멸실되었다.
<참고자료> '12년 1/4분기 건축허가 및 착공 현황 통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