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차세대 위성항법보정시스템, 우리나라 개발․구축
기관
등록 2012/04/30 (월)
파일 120430(석간) 차세대 위성항법보정시스템 개발 구축 공청회(항행시설과).hwp
내용




 기존 GPS 위성보다 정확성이 높고 오류가 거의 없는 차세대 위성항법보정시스템(SBAS)을 개발․구축하기 위한 공청회가 4월 30일 김포공항 스카이시티에서 개최된다.


 * 차세대 위성항법보정시스템(SBAS,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은 GPS 신호의 위치오차를 보정하여 현재 위치를 실시간 1m 이내로 알 수 있도록 한다.


 * 차세대 위성항법보정시스템(SBAS)은 미국, 유럽, 일본에서는 개발되었고, 인도, 러시아 등은 개발을 추진중이다. 우리나라는 2021년까지 개발․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GPS와 SBAS 비교

구분

GPS

SBAS

정확도

37M이내

1M이내

오류발생

위성교란 가능

41년에 한번 오류
(오류 시 6초 이내 자동차단)

기능

위치탐지

위치탐지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가 주최하고 한국교통연구원이 주관하는 이 공청회는 산․학․연․정 관계자와 관련단체 등 100명 이상이 참석한다.

  이번에 개최되는 공청회는 SBAS 개발․구축 기획연구를 담당하고 있는 한국교통연구원의 기획연구 결과가 발표된다.

  전문가 패널로는 항행안전시설기술협회, 한국민간항공조종사협회, 교통문화운동본부, 파인디지털(주) 등에서 참석하여 사업의 타당성, 추진체계, 활용방안 등에 대한 토론이 진행된다.

  SBAS는 항공기 항법을 지원하기 위한 국제표준시스템으로 정확성이 매우 높아 항공, 육상, 해양, 물류, 레저, 응급구조 등 다목적으로 운영하게 된다.

  우리나라는 2021년까지 국산 상용화를 목표로 2014년부터 연구․개발(R&D)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며, SBAS를 비롯한 위치기반서비스분야 해외시장은 연간 약 9조원 규모로 IT가 발전한 우리나라가 적극개척이 가능한 경쟁력이 있는 분야이다. 


  <붙임> 1. 공청회 일정
             2. SBAS 동작 및 활용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