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국토해양부, 북극해를 뚫었다!
기관
등록 2012/05/15 (화)
파일 120515(10시이후 보도) 아라온호, 캐나다 북극 보퍼트해 탐사(해양신성장개발과).hwp
내용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를 이용하여, 캐나다, 미국과 함께 북극 보퍼트(Beaufort)해1)의 캐나다 EEZ2)내에서 환경, 에너지 등 전 지구적 문제의 해답을 찾기 위한 대형 국제 공동연구 프로그램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1) 보퍼트(Beaufort)해 : 미 알래스카 북쪽 연안과 캐나다 벤쿠버 부근에 있는 바다로, ‘68년 알래스카에서 처음 석유가 발견되고 현재는 인근 메켄지 삼각주에서 석유 개발 중

 2) EEZ(Exclusive Economic Zone) : 영해기선(통상적으로 해안의 저조선)으로부터 200해리(1해리=1,852m) 범위 내에서 연안국의 경제주권이 인정되는 수역


 극지연구소(소장: 이홍금) 강성호 박사 및 진영근 박사 연구팀이 진행하는 이번 연구는 국토해양부가 추진하는 ‘양극해 환경변화 이해 및 활용연구(K-PORT)’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다.

  이번 연구는 국내 최초로 우리나라 연구선을 이용하여 북극권 국가의 EEZ내에서 탐사활동을 수행하게 된 것으로,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빙으로 자원개발 및 물류수송 등 전략적 가치가 급증하고 있는 북극해를 대상1)으로 하여 그 의미가 더욱 크다.

  국토해양부는 캐나다와의 EEZ내 공동연구를 위해 2008년부터 준비를 시작하여 5년 만에 드디어 그 결실을 맺었다.

  다른 나라 EEZ 내 조사는 탐사허가를 받기가 어려울 뿐더러, 최근 북극해 연안국들이 비연안국의 북극해 진출에 비협조적이어서 쉽지 않았으나, 국토해양부가 ‘09년 건조한 쇄빙연구선 아라온호가 결정적 역할2)을 했다.


 1) (남극) 남극조약에 의해 2048년까지 개발이 동결된 반면,
    (북극해) 자원확보를 위한 경쟁이 진행 중으로, 북극해 EEZ내 자원탐사 참여, 해양플랜트 및 조선산업 발전, 북동항로 개척 등 전략적 가치가 높은 지역 
    미 지질연구소에 의하면 북극해에 전세계 미개발 석유 및 천연가스의 25% 부존 추정

 2) 캐나다의 쇄빙선은 연구목적에 특화되어 있지 않아, 본 연구를 위해 바다 위의 종합해양연구선인 아라온호를 꼭 필요로 했음


 지난 4월 중국 원자바오 총리의 북극해 연안국 방문에서 보듯, 북극해는 해빙이 진행되면서 풍부한 자원과 개발에 필요한 해양플랜트 및 조선 수요, 물류 시간을 크게 단축 가능한 북극항로 등 그 전략적 가치가 급증하고 있어 세계 각국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국토해양부는 남극뿐만이 아니라 현재 전략적 가치가 급증하고 있는 북극해도 적극 연구․탐사함으로써 남북극을 아우르는 종합적 극지정책을 추진 중이며 동 연구 역시 그 일환이다.

  본 연구를 통해 북극해 연안국인 캐나다와의 긴밀한 협조를 강화하여 향후 북극해권 진출의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공동연구에서는 자원개발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해당 해역에서의 본격적인 에너지개발에 앞서 환경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해저시추 조사 등 기초과학연구를 우선 추진할 예정이다.

  최근 북극해에서는 지구온난화로 얼어있던 영구동토층과 가스하이드레이트층이 녹으면서 메탄가스가 대량으로 방출되는데,

  이 가스하이드레이트에서 발생한 메탄가스는 천연가스의 주성분으로 연소시 이산화탄소와 물만 생성하는 청정에너지*이기도 하나, 동시에 그 자체로 강력한 온실가스여서,


 * 북극권 지역의 가스하이드레이트는 매장량은 약 400GtC(giga ton CO2)로 추정되며, 알래스카 북극지역 매장량만 1억 이상의 가구에 10년 이상 난방이 가능한 양으로, 미 에너지성은 ‘11년 세계에서 가장 경제성과 개발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 사암층 내 가스하이드레이트가 대량으로 부존하는 북극 영구동토층 지역이라고 제시함


 경제성 있게 개발될 경우 미래의 에너지원이 될 수 있으나,북극해 전역에서 자연적으로 대기 중에 대량 방출될 경우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동 연구에서는 아라온호가 해저심부시추 지점을 선정하고(‘13년), 선정된 지역에서 시추를 통해(이르면 ’15년) 영구동토층 및 가스하이드레이트의 분포와 메탄가스 방출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할 계획이다.

  특히 공동연구 대상지역인 캐나다 보퍼트해는 북극해 중에서도 가장 안정되게 가스하이드레이트 등 에너지자원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어 석유․가스개발 기업들의 주목을 받는 지역이다.

  막대한 비용이 필요한 북극 해양심부시추사업의 수행을 위해 북극해 에너지자원에 관심이 있는 산업체들과의 협력이 필요하며, 향후 이 지역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산이 이루어질 경우 우리나라 에너지 기업들이 참여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공동연구의 한국측 책임자인 진영근 박사는 “한국-캐나다-미국 국제공동연구팀은 올해 2013년 아라온 탐사계획을 확정하고 장기협력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며,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 국적 연구선이 북극해 국가의 배타적 해역에서 처음으로 수행하는 연구탐사활동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적극적인 북극진출의 교두보가 될 것이다.”라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붙임 1. 용어설명
        2. 사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