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미국 기항 한국 외항선 집중점검에서 벗어나
기관
등록 2012/05/20 (일)
파일 120521(조간) 한국, 미국 안전관리 불량국가 탈피(해사안전정책과).hwp
내용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우리나라가 미국이 특별 관리하는 선박안전관리 불량국가 명단에서 제외되어 5월부터는 집중점검을 받지 않게 되었다고 밝혔다.

  미국 국토안보부 해안경비대(USCG)가 지난 16일 배포한 ‘2011년 항만국통제*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외항선이 2010년과 2011년에 미국에서 단 1척도 출항정지를 당하지 않아 우리나라의 선박안전등급이 상향되었다. 미국은 유럽이나 아태지역보다 까다로운 안전등급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 항만국통제(Port State Control) : 자국 항만에 입항한 외국선박의 국제안전․환경․선원 관련 협약 규정의 적합여부를 점검하는 제도

 ** 지역별 선박안전등급 분류 : 점검선박 척수 대비 출항정지된 선박(%)

구 분

불량국가

중간국가

우수국가

‘12년 우리나라 지위

미 국

1.53%*초과

1.0~1.53%이하

1.0%이하

중간국가(1.48%)

유럽지역

10.2%초과

3.8~10.2%이하

3.8%미만

우수국가(2.99%)

아태지역

10.2%초과

6.3~10.2%이하

6.3%미만

우수국가(1.41%)

 - 미국이 분류하는 불량국가는 미국 기항선박 중 점검한 모든 국가 선박의3년간 평균 출항정지율을 기준으로 산정(매년 변동)


 우리나라는 2009년부터 안전관리 불량국가에서 탈피하기 위하여 국적 외항선에 대한 중점관리선박 지정 제도, 선원 교육 강화 등 검사와 점검 등을 집중적으로 시행해오고 있다.

  그간 국토해양부는 외국항 항만국통제로 출항정지된 선박에 대해서는 분기별로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미국 등 주요지역 입항 전에 자체 사전점검을 실시토록 하는 등 노력을 다해 왔다.

  국토해양부는 이번 안전관리 불량국가 탈피를 시작으로 내년에는 미국에서 안전관리 최우수국가(Qualship 21, 출항정지율 1%이하)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해운선사와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우리나라는 아․태지역(Tokyo MOU)에서는 2003년부터, 유럽지역(Paris MOU)에서는 2011년 7월부터 선박안전관리 최우수국가 지위를 유지해 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