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12. 4월 전국지가는 전월 대비 0.12% 상승으로 조사되었다고 밝혔다.
현재 지가는 금융위기 발생전 고점('08.10월)에 비해서는 0.65% 낮은 수준이다.
지역별 지가변동률
(단위:%)
구분
|
전국
|
수도권
|
서울
|
인천
|
경기
|
지방
|
'12. 4월 지변율
|
0.12
|
0.11
|
0.10
|
0.05
|
0.12
|
0.14
|
'12년 누적
|
0.42
|
0.36
|
0.28
|
0.26
|
0.46
|
0.52
|
고점대비(’08.10)
|
-0.65
|
-1.49
|
-3.34
|
0.09
|
0.06
|
0.89
|
토지거래량은 총 182,381필지, 184,232천㎡로서 전년동월과 비교하여 필지수 기준 13.8% 감소, 면적 기준 0.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3년간 동월 평균 토지거래량(197천필지)대비 7.5% 감소하였으며, 전월대비 필지수 기준 2.3% 감소, 면적 기준 2.6% 감소하였다.
순수토지거래량은 총 81,896필지*, 174,907천㎡로서 전년동월과 비교하여 필지수 기준 4.4% 감소, 면적 기준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3년간 동월 평균 순수토지거래량(85천필지)대비 4.1% 감소하였으며, 전월대비 필지수 기준 4.3% 감소, 면적 기준 1.9% 감소
《 '12.4월 지가변동률(전월비 기준) 》
지역별로는 서울 0.10%, 인천 0.05%, 경기 0.12%이며, 지방은 0.09~0.16%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군․구별로는 충남 연기군, 경기 하남시, 전남 여수시, 충남 공주시 등의 순으로 지가상승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률 상위 5개 지역
순위
|
행정구역명
|
변동률 (%)
|
변 동 사 유
|
1
|
충청남도 연기군
|
0.510
|
행정중심복합도시 접근성 개선(세종로 개통) 및 정부청사(국무총리실 포함) 1단계 1구역 완공(4월5일)등이 지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세종시 내 도시 기반시설(명학산업단지 착공, 간선도로 확충)의 조성에 따른 지가수준은 상승
|
2
|
경기도 하남시
|
0.390
|
보금자리주택 진행, 감일지구의 지구계획승인고시, 감북동 제4차 보금자리주택지구지정, 신장동 현안사업2지구 복합쇼핑센터의 본격적 개발 등 개발사업 영향
|
3
|
전라남도 여수시
|
0.354
|
여수세계박람회 개최에 따른 주변지역의 지가상승과 경도특구개발사업, 해양경찰학교 건립사업으로 지가수준은 상승
|
4
|
충청남도 공주시
|
0.266
|
세종시 건설사업, 호남고속철도 공주역사건설, 탄천지방산업단지 조성사업 추진에 따른 기대감
|
5
|
대구광역시 동구
|
0.254
|
혁신도시, 이시아폴리스 등 개발사업,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개발협약체결에 따른 기대감
|
용도지역별로는 도시지역은 공업지역(0.12%), 녹지지역(0.12%), 비도시지역은 계획관리지역(0.16%) 등 전체적으로 전월과 유사하며,
이용상황별로는 전(0.16%), 답(0.15%), 공장용지(0.12%), 상업용(0.12%), 주거용(0.10%), 임야(0.10%), 기타(0.02%)등 전체 이용상황에서 전월과 유사한 수준의 상승폭으로 나타났다.
《 ’12. 4월 토지거래량(전년동월비 기준) 》
’12. 4월 토지거래량은 총 182,381필지, 184,232천㎡로서 전년 동월과 비교하여 ① 필지수 13.8% 감소, ② 면적 0.2% 증가하였으며, 최근 3년간 동월 평균거래량(197천필지)보다 7.5% 감소한 수준이다.
* 전월(’12.3월)대비 필지수 2.3% 감소, 면적 2.6% 감소
순수토지*거래량은 총 81,896필지, 174,907천㎡로서 전체 거래량 중 필지수 기준 44.9%, 면적 기준 94.9%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년 동월과 비교하여 ① 필지수 4.4% 감소, ② 면적 1.5% 증가, 최근 3년간 동월 평균거래량(85천필지)보다 4.1% 감소한 수준
* 전월(’12.3월)대비 필지수 4.3% 감소, 면적 1.9% 감소
* 순수토지란 건축물 부속토지 거래를 제외한 토지만으로 거래되는 토지
용도지역별로는 용도미지정지역(26.9%), 개발제한구역(17.7%)등의 거래량은 증가하였고, 주거지역(22.1%), 공업지역(21.6%) 등의 거래량은 감소하였다.
이용상황(지목)별로는 공장용지(1.6%)의 거래량은 증가하였고 대지(17.5%), 임야(13.0%)의 거래량은 감소하였다.
《 붙임 》 1. 참고 그래프
2. ’12. 4월 지가동향
3. ’12. 4월 토지거래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