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12년 4월 전국 항만물동량 전년동기 대비 0.5% 증가
기관
등록 2012/05/28 (월)
파일 120529(조간)_2012년4월_항만물동량_처리실적(참고).xls
120529(조간)_2012년4월_항만물동량_처리실적_분석(항만운영과).hwp
내용




 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에 따르면, 2012년 4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물동량은 총 1억 1,109만 톤으로 전년동월(1억 1,054만 톤) 대비 0.5% 소폭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2012년 4월까지 누적 항만물동량은 총 4억 4,243만 톤으로 전년동기(4억 2,772만 톤) 대비 3.4% 증가하였다.
 

  < 전국 무역항 항만물동량(단위:천톤,%) >

 

‘10.4

‘11.4

‘11.14

최근 3개월

‘12.14

‘12.2

‘12.3

‘12.4

총물동량

99,902

110,539

427,722

101,959

113,539

111,085

442,428

전년동기 대비

16.3

10.6

10.1

7.6

0.5

0.5

3.4

 

수 출 입

78,804

89,433

349,730

84,897

94,614

91,060

366,403

 

연 안

21,098

21,106

77,992

17,062

18,925

20,025

76,025


 ‘12년 4월 항만물동량을 항만별로 살펴보면, 부산항은 목재 및 기계류 등 수출입 증가로 전년동기 대비 9.4% 증가했고 광양항은 유류 및 자동차 등 수출입 증가로 전년동기 대비 7.5% 증가하였다.

  인천항은 모래 및 섬유류 등 수출입 감소로 전년동기 대비 5.3% 감소했고 포항항은 철광석 등 수출입 감소로 전년동기 대비 25.6% 감소하였다.
 

 < '12년 4월 주요 항만별 물동량(단위 : 천톤, %) >

구 분

부산항

광양항

울산항

인천항

평택당진항

대산항

포항항

기타

총물동량

27,257

20,469

15,885

12,127

7,958

5,144

4,567

17,678

전년동기 대비

9.4

7.5

4.9

5.3

8.4

3.6

25.6

5.2


 품목별로는 기계류 및 자동차는 수출입 물량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18.0%, 27.7% 각각 증가한 반면, 광석과 유연탄은 전년 대비 5.2%, 16.0% 각각 감소하였다.
 

 < '12년 4월 주요 품목별 물동량(단위: 천톤, %) >

품목별

유류

광석

유연탄

철재

기계류

자동차

화공품

모래

시멘트

기타

총물동량

31,126

9,562

8,475

8,739

7,259

5,743

4,481

4,810

3,680

27,210

전년동기 대비

0.1

5.2

16.0

2.7

18.0

27.7

1.8

2.2

12.2

0.3


 한편, 전국 항만의 4월 컨테이너 물동량(확정)이 지난해 같은 달(185만TEU)에 비해 3.9%(4월 누계 6.1%) 증가한 192만TEU*를 기록하였다.


 * 수출입화물 1,139천(2.7%↓), 환적화물 748천(16.7%↑), 연안화물 36천TEU(7.3%↓)


 이는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은 지난 3월에 이어 2개월 연속 월 190만TEU 이상, 환적화물은 역대 월간 최대 처리실적(748천TEU)을 기록하게 된 것이다.

  특히, 환적화물(748천TEU)은 전년 동월(641천TEU) 대비 16.7% 증가하며, ‘11년 3월 이후 14개월 연속으로 두 자리수 증가율을 기록 중으로, 전국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처리실적 (4월) >

 (단위 : 천TEU, %)

구 분

'10. 4

'11. 4

'11.14

최근 3개월

‘12.14

'12.2

'12.3

'12.4

총 물 동 량

1,652

1,850

6,895

1,641

1,959

1,923

7,314

전년동기 대비

22.7

12.0

12.7

12.4

3.5

3.9

6.1

 

수출입

1,047

1,171

4,388

1,029

1,179

1,139

4,404

 

환 적

575

641

2,357

575

739

748

2,748

 

연 안

30.5

38.9

150

37.9

40.7

36.0

162


 한편, 부산항은 지난 3월 처음으로 월별 환적화물 70만TEU를 돌파한데 이어 4월에 다시 월간 최대 실적인 71만6천TEU를 기록하면서 지난 해 같은 달보다 7.7% 증가한 147만5천TEU를 처리하였다.

  광양항은 동남아지역의 수출물량 감소와, 최대 환적선사인 M사의 부산항 환적비중 확대에 따른 물량 감소로 전년 동기보다 6.7% 감소한 17만5천TEU를 처리하였으며,

  인천항은 전체 물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 수출입화물이 감소(△7.8%)하면서 전년 동월대비 8.5% 감소한 16만6천TEU를 기록하였다.
 

  < 주요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 현황(4월) >

 (단위 : 천TEU, %)

구 분

'10. 4

'11. 4

'11.14

최근 3개월

'12.14

'12. 2

'12. 3

'12. 4

부산항

1,205

1,369

5,099

1,242

1,486

1,475(7.7)

5,564 (9.1)

광양항

176

187

732

172

183

175(6.7)

701 (4.3)

인천항

168

182

637

129

173

166(8.5)

619 (2.9)


 세계 10대 항만의 4월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동월대비(1,576만TEU) 3.6% 증가한 1,633만TEU를 처리하였으며, 상하이항은 2.7% 증가한 270만TEU를 처리하여 세계 1위 자리를 지켰다.

  부산항은 전년 동기대비 7.7% 증가한 148만TEU를 처리, 4위인 선전항(181만TEU, 2.1%↑)과의 격차(1,714→1,352천TEU)를 좁히며, 세계 5위를 유지하였으며,

 - 닝보-저우산항은 전년 동기보다 8.2% 증가하며, 부산항과의 격차를 소폭 줄이며(501→450천TEU), 6위를 차지하였다.

  한편, 중국 상위 7개 항만은 전년 동월대비(1,112만TEU) 2.9% 증가한 1,144만TEU를 처리하여, 세계 10대 항만 평균증가율(3.6%)보다 낮은 증가세를 기록하였다.
 

 < ‘12년 4월 세계 10대 항만 컨테이너 처리실적 >

  (단위 : 천TEU, %) 

순위

항 만

‘11

‘11.4

‘11.1-4

‘12.4

‘12.1-4

전년대비

‘12.1-4

’11

동월

누계

합 계

188,019

15,764

58,683

16,334

61,943

3.6

5.6

1

1

상하이()

31,700

2,630

9,908

2,700

10,235

2.7

3.3

2

2

싱가폴

29,938

2,461

9,528

2,600

10,137

5.7

6.4

3

3

홍 콩()

24,384

2,206

7,672

2,114

7,723

4.2

0.7

4

4

선 전()

22,570

1,776

6,813

1,813

6,916

2.1

1.5

5

5

부 산

16,185

1,369

5,099

1,475

5,564

7.7

9.1

6

6

닝보-저우산()

14,686

1,230

4,598

1,331

5,114

8.2

11.2

7

8

칭다오()

13,020

1,190

4,396

1,215

4,728

2.1

7.6

8

7

광저우()

14,400

1,112

3,959

1,240

4,517

11.5

14.1

9

9

텐 진()

11,500

974

3,615

1,031

3,806

5.9

5.3

10

10

카오슝

9,636

816

3,095

815

3,203

0.1

3.5

중국계(홍콩 포함)

132,260

11,118

40,961

11,444

43,039

2.9

5.1

  * 항만당국 홈페이지 참조 (두바이항, 로테르담항은 공식통계 미발표) 
  - ‘11년 기준, 두바이 9위(13,000천TEU) 로테르담 10위(11,900천TEU)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