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터널 900m 구간에서 하루 34,000명의 승객이 수송되고 총연장 88㎞ 길이의 컨베이어를 통해 시간당 56,000개 수하물이 처리되는 인천공항 자동여객수송시설과 수하물 처리시스템에 화재가 나거나 전산장애가 발생하면 어떤 상황이 벌어질까.
인천공항을 세계 최고의 안전 공항으로 거듭나게 하기 위한 실전을 방불케 하는 대규모 비상훈련이 30일 한밤중에 실시됐다.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와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채욱)는 인천공항 자동여객터미널과 수하물처리시설에서 공항 시설별 긴급상황 대비 합동훈련을 실시했다.
공항 시설별 긴급상황 대비 훈련내용
훈련장소
|
사고내용
|
대응조치
|
자동여객터미널
|
수송차량의 전기배선 과열로 차량내부에 화재발생
|
o 상황전파ㆍ승객대피ㆍ화재진압ㆍ대체차량 투입 등
|
수하물처리시설 운영센터
|
전산서버 장애로 수하물 운송 제어 및 처리불능으로 업무마비
|
o 상황전파ㆍ정체수하물 긴급 처리 대응ㆍ장애원인 조사 및 해결 등
|
* 자동여객수송시설((IAT : Intra Airport Transit)은 공항의 출발ㆍ도착ㆍ환승 여객을 수송하기 위해 지하터널 900m 구간을 무인으로 운행하는 승객 수송시설로서 매일 400회 왕복운행으로 일평균 약 34,000명을 수송하고 있다.
* 수하물 처리시스템(BHS : Baggage Handling System)은 공항의 위탁수하물을 자동으로 인식해 출발ㆍ도착수하물을 항공편별로 수취대까지 신속․정확하게 운송하는 첨단복합 자동물류 처리시스템. 길이는 88㎞이며, 시간당 56,000개 수하물을 처리한다.
이번 비상 훈련은 공항 이용객을 수송하는 열차 운행 중 화재발생 상황과 수하물처리시설의 전산장애 발생으로 위탁수하물이 정체되는 가상의 긴급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와 유사한 조건으로 설정해 실시됐다.
화재진압ㆍ사고수습 인력 등 약 200여명이 참가하고, 소방ㆍ의료ㆍ전동차 등 40여대 장비가 동원된 가운데 대규모 입체훈련으로 진행됐다.
열차화재 및 수하물시설 전산장애 발생 비상훈련 결과,
자동여객터미널 훈련에서는 자동여객수송열차 운행 중 전기배선과열로 발생된 화재의 최초발견자가 상황전파․보고, 승객대피, 응급환자 이송, 화재진압 등 비상대응체계에 따라 관련 기관과 유기적으로 협조하며 신속히 화재를 진압해 한 명의 인명피해도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수하물처리시설 운송시스템의 전산장애 상황에서는 수하물이 정체되는 등 긴급상황의 최초발견자가 상황전파, 비상인력지원요청 및 원인진단․복구조치 등을 훈련 참여자들과 함께 일사분란하고 신속하게 조치해 인천공항이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공항임을 입증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 (수하물시설 사고수습내용) 전산장애로 인해 컨베이어 라인 상에 정체된 400여개의 수하물을 100명의 비상인원이 지휘센터의 통제에 따라 차량과 인력을 동원해 수동으로 이송 조치하는 한편, 시스템 정상화를 위해 전산서버 복구 및 현장 상황 정리 등을 장애대응 체크리스트에 따라 체계적으로 수행.
특히, 이번 비상훈련은 공항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긴급상황에 대비해 관련기관․부서 및 유지보수협력업체와의 유기적인 공조체계와 대응능력을 점검하고, 신속한 사고수습과 시설 정상화로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됐다.
이를 통해 긴급사고 발생시 상황전파, 현장통제, 사고수습 등 기관․부서별 임무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위기 대응능력을 강화했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이번에 실시된 비상훈련 전 과정에 대한 사고 대응시간․절차 등 수습체계를 종합적으로 진단․평가해 새롭게 보완된 비상사태 대응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공항은 긴급상황 발생 시 항공기 운항지연 등 운영에 미치는 파급효과 큰 점을 감안해 사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돌발 비상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다양한 비상 시나리오를 마련해 지속적으로 비상훈련을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 (비상 시나리오) 공항내 화재발생(열차.승강장 등), 운행장애발생, 위험물사고, 폭발물위협, 하차거부, 비상응급환자 발생, 비공공지역 침입, 승강장 혼잡 등
* (공항관리 우수내용) 공항 수하물처리시설(BHS)의 정밀도를 가늠할 수 있는 수하물 미탑재율 부분에서 인천공항은 지난 해 수하물 10만개 당 3.9개로 유럽공항 평균 19.8개, 미국공항 평균 6.8개 등 해외공항과의 비교에서도 월등한 성과를 자랑하고 있다.
<참고> 1. 긴급상황 발생 대비 비상훈련 개요 1부.
2. 자동여객수송시설(IAT) 및 수하물처리시설(BHS) 현황 1부.
3. 긴급상황 대응 훈련 전경사진(훈련사진) 1부.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