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에 따르면, 2012년 5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물동량은 총 1억 1,394만 톤으로 전년동월(1억 1,215만 톤) 대비 1.6% 소폭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2012년 5월까지 누적 항만물동량은 총 5억 5,637만 톤으로 전년동기(5억 3,987만 톤) 대비 3.1% 증가하였다.
< 전국 무역항 항만물동량>
(단위 : 천톤, %)
|
‘10.5월
|
‘11.5월
|
‘11.1~5월
|
최근 3개월
|
‘12.1~5월
|
‘12.3월
|
‘12.4월
|
‘12.5월
|
총물동량
|
106,588
|
112,152
|
539,874
|
113,539
|
111,085
|
113,942
|
556,369
|
전년동기 대비
|
17.4
|
5.2
|
9.1
|
△0.5
|
0.5
|
1.6
|
3.1
|
|
수 출 입
|
83,934
|
90,063
|
439,793
|
94,614
|
91,060
|
93,741
|
460,144
|
|
연 안
|
22,654
|
22,089
|
100,081
|
18,925
|
20,025
|
20,201
|
96,225
|
‘12년 5월 항만물동량을 항만별로 살펴보면, 부산항은 기계류 및 화공품 등 수출입 증가로 전년동기 대비 9.3% 증가했고 광양항은 유류 및 자동차 등 수출입 증가로 전년동기 대비 6.5% 증가하였다.
인천항은 모래 및 양곡 등 수출입 감소로 전년동기 대비 14.0% 감소했고 울산항은 자동차 등 수출입 감소로 전년동기 대비 0.4% 감소하였다.
< '12년 5월 주요 항만별 물동량 >
(단위 : 천톤, %)
구 분
|
부산항
|
광양항
|
울산항
|
인천항
|
평택․당진항
|
대산항
|
포항항
|
기타
|
총물동량
|
27,919
|
20,129
|
16,165
|
11,501
|
8,254
|
6,530
|
5,862
|
17,582
|
전년동기 대비
|
9.3
|
6.5
|
△0.4
|
△14.0
|
4.1
|
16.9
|
23.8
|
△11.5
|
품목별로는 광석 및 기계류는 수출입 물량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12.0%, 26.7% 각각 증가한 반면, 유류와 유연탄은 전년 대비 1.8%, 8.8% 각각 감소하였다.
< '12년 5월 주요 품목별 물동량 >
(단위: 천톤, %)
품목별
|
유류
|
광석
|
유연탄
|
철재
|
기계류
|
자동차
|
화공품
|
모래
|
시멘트
|
기타
|
총물동량
|
31,956
|
10,239
|
8,730
|
9,141
|
7,839
|
5,116
|
5,028
|
5,104
|
3,908
|
26,881
|
전년동기 대비
|
△1.8
|
12.0
|
△8.8
|
△3.0
|
26.7
|
7.6
|
9.8
|
△2.1
|
8.5
|
△0.9
|
한편 전국 항만의 5월 컨테이너 물동량(확정)이 지난해 같은 달(187만TEU)에 비해 7.3%(6월 누계 6.3%) 증가한 200만TEU*를 기록하였다.
* 수출입화물 1,190천(3.1%↑), 환적화물 784천(16.8%↑), 연안화물 28.2천TEU(31.1%↓)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은 사상 처음으로 월 200만TEU 이상, 환적화물은 3개월 연속 역대 월간 최대 처리실적을 기록하게 된 것이다.
특히, 환적화물(78만TEU)은 글로벌 선사의 부산항 환적거점이 확대․유지되면서 전년 동월(67만TEU) 대비 16.8% 증가하며, ‘11년 3월 이후 15개월 연속으로 두 자리수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처리실적 (5월) >
(단위 : 천TEU, %)
구 분
|
'10. 5월
|
'11. 5월
|
'11.1~ 5월
|
최근 3개월
|
‘12.1~ 5월
|
'12.3월
|
'12.4월
|
'12.5월
|
총 물 동 량
|
1,719
|
1,867
|
8,761
|
1,959
|
1,923
|
2,002
|
9,316
|
전년동기 대비
|
28.9
|
8.6
|
11.8
|
3.5
|
3.9
|
7.3
|
6.3
|
|
수출입
|
1,089
|
1,154
|
5,542
|
1,179
|
1,139
|
1,190
|
5,594
|
|
환 적
|
602
|
671
|
3,029
|
739
|
748
|
784
|
3,532
|
|
연 안
|
27.7
|
40.9
|
191
|
40.7
|
36.0
|
28.2
|
191
|
국내 최대 항만인 부산항의 환적화물은 지난 3월 처음으로 월별 환적화물 70만TEU를 돌파한데 이어 3개월 연속 월간 최대 실적(708→716→756천TEU)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양항은 개장 이래 3번째로 높은 월간 처리 물량인 19만TEU를 처리하여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0.1% 증가하였으며, 인천항은 전년 동월대비 0.6% 증가한 17만TEU를 처리하였다.
< 주요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 현황(5월) >
(단위 : 천TEU, %)
구 분
|
'10. 5월
|
'11. 5월
|
'11.1~5월
|
최근 3개월
|
'12.1~5월
|
'12. 3월
|
'12. 4월
|
'12. 5월
|
부산항
|
1,264
|
1,415
|
6,514
|
1,486
|
1,475
|
1,537(8.6)
|
7,101 (9.0)
|
광양항
|
183
|
172
|
904
|
183
|
175
|
190(10.1)
|
890 (△1.5)
|
인천항
|
173
|
169
|
807
|
173
|
166
|
170(0.6)
|
789 (△2.2)
|
세계 10대 항만의 5월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동월대비(1,646만TEU) 3.4% 증가한 1,702만TEU를 처리하였으며, 상하이항은 3.6% 증가한 288만TEU를 처리하여 세계 1위 자리를 지켰다.
부산항은 전년 동기대비 8.6% 증가한 154만TEU를 처리, 4위인 선전항(194만TEU, 3.3%↑)과의 격차(2,173→1,795천TEU)를 좁히며, 세계 5위를 유지하였으며,
- 닝보-저우산항은 전년 동기보다 15.4% 증가하며, 부산항과의 격차를 소폭 줄이며(631→469천TEU), 6위를 차지하였다.
한편, 중국 상위 7개 항만은 전년 동월대비(1,135만TEU) 5.9% 증가한 1,202만TEU를 처리하여, 세계 10대 항만 평균증가율(3.4%)보다 높은 증가세를 기록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