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는 전국 항만의 6월 컨테이너 물동량(추정)이 지난해 같은 달(1,785천TEU)에 비해 4.7%(6월 누계 6.1%) 증가한 1,869천TEU*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 수출입화물 1,145천(4.1%↑), 환적화물 690천(7.2%↑), 연안화물 34천TEU(19.2%↓)
< 6월중(‘07~'12) 전국 컨테이너 물동량 추이 >
(단위 : 천TEU, %)
구 분
|
‘07. 6
|
‘08. 6
|
‘09. 6
|
‘10. 6
|
‘11. 6
|
‘12. 6(추정)
|
합계
|
1.506
|
1,475
|
1,345
|
1,668
|
1,785
|
1,870
|
전년 동월대비 증가율
|
13.6
|
△2.1
|
△8.8
|
24.0
|
7.1
|
4.7
|
수출입화물(1,145천TEU)은 세계경제의 불확실성과 중국 경제 성장둔화로 회복이 지연되는 가운데, 지난해 같은 달(1,100천TEU) 보다 소폭 증가(45천TEU↑, 4.1%↑)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환적화물(690천TEU)은 글로벌 선사들이 부산항을 환적거점으로 이용하고 있는 가운데, 전년 동월(644천TEU) 대비 7.2% 증가하였으나,
- 유럽발 경기침체에 따른 중국 물동량 감소 등의 영향으로 ‘11.2월 이후 15개월만에 한 자리수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처리실적 (6월) >
(단위 : 천TEU, %)
구 분
|
'10. 6월
|
'11. 6월
|
'11.1~ 6월
|
최근 3개월
|
‘12.1~ 6월
(추정)
|
'12.4월
|
'12.5월
|
'12.6월
(추정)
|
총 물 동 량
|
1,668
|
1,785
|
10,546
|
1,923
|
2,002
|
1,869
|
11,186
|
전년동기 대비
|
24.0
|
7.1
|
11.0
|
3.9
|
7.3
|
4.7
|
6.1
|
|
수출입
|
1,063
|
1,100
|
6,641
|
1,139
|
1,190
|
1,145
|
6,739
|
|
환 적
|
577
|
644
|
3,672
|
748
|
784
|
690
|
4,222
|
|
연 안
|
27.2
|
42.1
|
233
|
36.0
|
28.2
|
34.0
|
225
|
국내 최대 항만인 부산항은 전년 동월보다 5.3% 증가한 1,429천TEU를, 환적화물은 662천TEU(7.0%↑)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으로의 직기항 항로 개설 및 부산항 항로서비스 축소 등의 움직임은 없는 가운데, 부산항을 거쳐 미주․구주로 수출입되던 북중국항만(천진, 대련 등)의 물동량 감소와 선사들의 선대교체(Phase in & out) 물량 감소 등에 따라 부산항 환적화물의 증가세가 둔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 미국 : (‘12.5) 11.0%↑⇒(’12.6) 0.0%, 유럽 : (‘12.5) 3.8%↑⇒(’12.6) 10.2%↓,
일본 : (‘12.5) 21.8%↑⇒(’12.6) 10.9%↑
** 선대교체는 항로투입 선박교체, 수리 등의 사유로 기존 선박의 화물을 모두 하역, 다른 선박에 싣는 것을 의미하며, 4월 35천, 5월 29천→6월 4천TEU
광양항은 주요 교역국인 중국(20천→27천TEU)과 미국(24천→32천TEU), 러시아(6.6천→10.5천TEU)의 수출입물량 증가 및 국적선사인 H사의 환적처리 증대(1.4천→7.1천TEU) 등에 힘입어,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8.8% 증가한 172천TEU를 처리한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인천항은 대만, 필리핀 등 동남아 국가와의 교역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중국(0.2%↓), 일본(7.9%↓) 등 주요 교역국과의 물동량 감소로 전년 동월대비 0.5% 감소한 162천TEU를 처리한 것으로 예상된다.
< 주요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 현황(6월) >
(단위 : 천TEU, %)
구 분
|
'10. 6월
|
'11. 6월
|
'11.1~6월
|
최근 3개월
|
'12.1~6월
(추정)
|
'12. 4월
|
'12. 5월
|
'12. 6월
(추정)
|
부산항
|
1,227
|
1,357
|
7,871
|
1,475
|
1,537
|
1,429(5.3)
|
8,523 (8.4)
|
광양항
|
174
|
158
|
1,062
|
175
|
190
|
172(8.8)
|
1,062 (0.0)
|
인천항
|
169
|
163
|
969
|
166
|
170
|
162(△0.5)
|
951 (△1.9)
|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세계경기 침체로 인해 환적화물의 증가세가 둔화됨에 따라, 중국 등 주변 항만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해운․항만여건 변화에 적극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글로벌 물류기업 유치, 항만배후단지 활성화를 통한 물량 창출 등 항만 활성화를 위해 지속 노력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