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는 본격적인 가을 단풍여행 및 수학여행을 앞두고 버스 전복사고시에 사망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안전띠 착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국내 처음으로 버스 전복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였다.
버스 전복사고가 발생했을 때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을 경우에 얼마나 위험한지를 확인하기 위한 실제 버스전복시험은 ‘교통안전공단(이사장 : 정일영) 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 실시하였으며,
언덕 위 도로를 시속 25km로 주행하던 버스(승합차)가 6m 언덕 아래로 구를 때 버스 안에 타고 있는 승객이 안전띠를 착용했을 때와 착용하지 않았을 때의 위험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버스 전복시험 결과, 안전띠를 매지 않은 승객(인체모형)은 천정이나 내측 벽, 의자 등에 심하게 부딪쳐 머리나 가슴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상해 가능성이 18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안전띠를 착용한 승객(인체모형)은 버스와 함께 구르면서도 몸이 의자에 고정되어 있어 심하게 흔들리기만 하고 내부의 의자 등 단단한 부위에 부딪치지 않아 부상정도가 경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제 자동차가 전복되어 구르는 과정에서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은 승객이 자동차 밖으로 튕겨나갈 가능성도 매우 높으며, 자동차 사고가 발생되어 차 밖으로 튕겨 나갈 경우 사망할 가능성은 16.8%로, 차 밖으로 튕겨나가지 않는 경우의 사망률 0.7% 보다 2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차외 이탈 및 차내 사망률 통계 >
(출처 : 2011년 경찰청 교통사고통계)
차외 이탈의 경우
|
|
자동차내의 경우
|
사상자(명)
|
사망자(명)사망률(%)
|
부상자(명)부상율(%)
|
|
사상자(명)
|
사망자(명)사망률(%)
|
부상자(명)부상율(%)
|
1,092
|
184
(16.8%)
|
908
(83.2%)
|
|
179,304
|
1,263
(0.70%)
|
178,041
(99.30%)
|
* 사망률 = 사망자수/사상자수(사망자수+부상자수) × 100
* 경주 안강읍에서 발생한 통학버스 전복사고(’12.1.16) 사망자 2명 모두 사고 당시
충격으로 탑승자가 버스 밖으로 튕겨나가 사망
우리나라 승용차 안전띠 착용률은 73.4%(일본 98%, 독일 96%)로 교통안전 선진국과 비교하여 상당히 낮은 수준이며, 특히, 뒷좌석 안전띠 착용률은 5% 수준으로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이다.
또한 고속버스는 66.9%, 시외버스는 18.3%로 안전띠 착용률이 아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전국 5개 도(道)에 소재한 시외버스 404대와 고속버스 309대를 대상으로 운행 중인 버스의 승객 안전띠 실제 착용 조사결과(’10.5~10) 고속버스 안전띠 착용률은 66.9%, 시외버스는 18.3%로 매우 낮은 상태인 것으로 나타남
< 자료제공 : 교통안전공단 >
국토해양부와 교통안전공단 관계자는 자동차가 충돌하거나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되었을 때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을 경우 상해가능성도 18배 이상 높아지지만
차내에서 탑승자 상호간은 물론 차내 의자․내벽․바닥 등에 부딪치면서 입게 되는 부상도 심각하므로 자동차에 탑승할 때는 반드시 안전띠를 착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사고발생시 안전띠 착용이 상해치를 줄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자동차 탑승자 스스로 안전띠가 곧 생명띠 임을 인식하고 자발적인 안전띠 착용을 생활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다시 한 번 안전띠 착용을 당부하였다.
[붙임] 1. 버스 전복시험결과
2. 안전띠 착용 및 미착용별 사망률 비교
3. 국가별 승용차 안전띠 착용률
4. 버스 전복사고 시험사진(버스내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