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12년 8월 전국 항만 물동량 전년동기 대비 7.2% 감소
기관
등록 2012/09/27 (목)
파일 (붙임) 2012. 8월 항만물동량 처리실적.xls
120928(조간) 2012. 8월 항만물동량 처리실적(항만운영과,항만물류기획과).hwp
내용




 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에 따르면, 2012년 8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물동량은 총 9,947만 톤으로 전년 동기(1억 717만 톤) 대비 7.2% 감소했다고 밝혔다.

  글로벌금융위기로 인한 물동량 감소 추세를 극복(2009년 10월)한 이후 월간 항만 물동량이 감소된 것은 34개월 만에 처음으로,

  - 유럽재정위기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와 최근 중국의 경제 성장률 둔화 등으로 인한 수출입물량 감소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한편, 2012년 8월까지 누적 항만물동량은 총 8억 8,104만 톤으로 전년동기(8억 6,458만 톤) 대비 1.9% 증가하였다.
 

  < 전국 무역항 항만물동량>

 (단위 : 천톤, %)

 

‘10.8

‘11.8

‘11.18

최근 3개월

‘12.18

‘12.6

‘12.7

‘12.8

총물동량

98,033

107,174

864,575

109,494

113,223

99,466

881,043

전년동기 대비

9.0

9.3

8.8

3.5

1.4

7.2

1.9

 

수 출 입

79,694

88,091

705,470

89,711

93,451

83,224

728,235

 

연 안

18,339

19,083

159,105

19,783

19,772

16,242

152,808



 ‘12년 8월 항만물동량을 항만별로 살펴보면, 울산항과 평택․당진항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3%, 2.1% 증가했으나, 다른 항만은 대부분 물동량이 감소하였다. 

  부산항과 인천항은 각각 3.0%, 5.8%로 비교적 소폭 감소했으나, 대산항과 포항항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3%, 26.6%로 크게 감소하였다.

  - 대산항은 석유화학제품 생산량 감축에 따른 수출입물량 감소가, 포항항은 국제가격 변동에 따른 포스코의 원료 수입물량 감소가 각각 물동량 감소의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 '12년 8월 주요 항만별 물동량 >

 (단위 : 천톤, %)

구 분

부산항

광양항

울산항

인천항

평택당진항

대산항

포항항

기타

총물동량

24,337

17,356

15,335

10,126

7,461

5,022

4,306

15,523

전년동기 대비

3.0

8.2

5.3

5.8

2.1

19.3

26.6

15.9


  품목별로도 기계류 및 화공품은 수출입 물량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9.6%, 0.7% 증가한 반면, 다른 품목은 대부분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를 보였다.

 

 < '12년 8월 주요 품목별 물동량 >

 (단위: 천톤, %)

품목별

유류

유연탄

광석

철재

기계류

화공품

자동차

모래

시멘트

기타

총물동량

29,075

9,339

9,205

7,262

6,913

4,670

3,437

2,933

2,762

23,870

전년동기 대비

3.9

15.0

13.9

1.2

9.6

0.7

19.0

21.9

15.3

7.2



 한편, 국토해양부는 전국 항만의 8월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난해 같은 달(1,801천TEU)에 비해 3.2%(8월까지 누계 4.4% 증가) 감소한 174만 4천TEU*를 처리했다고 밝혔다.

  컨테이너 총 물동량은 ‘09.10월 이후 34개월 만에 처음으로 월별 물동량 증가율이 감소세로 전환되었으며, 환적화물은 ’10.10월 이후 22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한 것이다.


 * 수출입화물 1,060천(1.8%↓), 환적화물 663천(3.1%↓), 연안화물 21천TEU(44.5%↓)

 

 <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처리실적 (8월) >

 (단위 : 천TEU, %)

구 분

'10. 8

'11. 8

'11.18

최근 3개월

‘12.18

'12.6

'12.7

'12.8

총 물 동 량

1,667

1,801

14,246

1,861

1,914

1,744

14,870

전년동기 대비

19.9

8.1

10.9

4.2

0.8

3.2

4.4

 

수출입

1,057

1,079

8,888

1,135

1,189

1,060

9,008

 

환 적

583

684

5,052

702

698

663

5,600

 

연 안

27.3

37.6

306.3

23.0

26.0

21.0

262



 이 같은 물동량 감소는 세계경제 침체의 영향으로 대내외 경기가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8월말 한반도를 강타한 태풍 볼라벤의 영향으로 전국 항만이 약 2일간 입출항이 통제되면서, 항만운영 및 하역작업 중단 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 2일간 입출항 통제 및 하역작업 중단에 따른 물량은 약 10~12만TEU로 추정


  수출입화물(1,060천TEU)은 중국경제의 위축, 내수부진 등으로 수출입 실적*이 저하된 가운데, 전년 동월(1,060천TEU) 대비 소폭 하락(18천TEU↓, 1.8%↓) 하였다.


 * 한국 경제의 성장을 이끌었던 수출은 8월에 전년동기 대비 6.2% 감소하였으며 수입도 9.8% 감소해 부진한 내수 경기를 반영(지식경제부, ‘12.9)


  특히, 환적화물(663천TEU)은 글로벌 경기침체와 북중국 환적화물 감소 등 복합적인 요인에 따라 증가세는 다소 둔화되어 지난 해 8월(684천TEU) 대비 3.1%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되었다. 


 부산항은 지난 해 같은 달보다 2.5% 감소한 133만 4천TEU를, 환적화물*은 63만 7천TEU(2.7%↓)를 기록하였으며,


 * 부산항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감소를 기록하였지만 ‘11년 월 평균(613천TEU)대비 3.9% 증가한 수준임


  그 중 부산항 환적화물의 증가세가 둔화된 것은 글로벌 경기침체와 부산항을 거쳐 미주․구주로 수출입되던 북중국항만의 환적대상 물량 감소 등 복합적인 요인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광양항은 1.3% 감소하였고, 중국의 석유화학제품의 재고 소진에 따른 對 중국 수출 증가 등에 힘입어 수출입화물은 1.7% 증가한 반면, 환적화물의 감소(5.5%↓)에 기인한다. 


 인천항은 對 중국 교역량 감소로 전년 동월대비 6.0% 감소한 15만 1천TEU를 처리하였다.
 

  < 주요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 현황(8월) >

 (단위 : 천TEU, %)

구 분

'10. 8

'11. 8

'11.18

최근 3개월

'12.18

'12. 6

'12. 7

'12. 8

부산항

1,226

1,368

10,680

1,421

1,455

1,334(2.5)

11,321 (6.0)

광양항

192

164

1,401

166

184

162(1.3)

1,406 (0.4)

인천항

154

161

1,301

166

165

151(6.0)

1,274 (2.1)



 한편, 세계 10대항만은 전년 동기대비(12,421만TEU) 3.7% 증가한 1억2,845만TEU를 처리하였다.

  부산항은 세계 경기 침체 기조 속에서도 증가율(6.0%)을 기록하며 5위 유지를 유지하였으며, 닝보-저우산항은 8.8% 증가한 1,080만TEU를 처리하며 6위 차지하였다.

  환적 비중이 높은 싱가폴항(6.6%, 2,116만TEU)과 홍콩항(△3.7%, 1,563만TEU)은 2위, 3위를 기록하였으나 홍콩항은 10대 항만 중 유일하게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를 보였다.

 

  < ‘12년 8월 세계 10대 항만 컨테이너 처리실적 >

  (단위 : 천TEU, %)

순위

항 만

‘11

‘11.8

‘11.1-8

‘12.8

‘12.1-7

전년대비

‘12.7

‘11

동월

누계

합 계

188,019

16,552

124,211

16,477

128,848

0.45

3.73

1

1

상하이()

31,700

2,770

20,982

2,600

21,308

6.14

1.55

2

2

싱가폴

29,938

2,626

19,847

2,745

21,155

4.53

6.59

3

3

홍 콩()

24,384

2,143

16,229

1,946

15,628

9.19

3.7

4

4

선 전()

22,570

2,123

14,840

2,203

15,051

3.77

1.42

5

5

부 산

16,185

1,368

10,680

1,334

11,321

2.49

6.00

6

6

닝보-저우산()

14,686

1,348

9,926

1,309

10,796

2.89

8.76

7

8

칭다오()

13,020

1,297

9,075

1,209

9,671

6.78

6.57

8

7

광저우()

14,400

1,086

8,696

1,229

9,376

13.17

7.82

9

9

텐 진()

11,500

988

7,539

1,090

8,023

10.32

6.42

10

10

카오슝

9,636

803

6,397

812

6,519

1.12

1.91

중국계(홍콩 포함)

132,260

11,755

87,287

11,586

89,853

1.44

2.94

 * 두바이항, 로테르담항은 공식통계 미발표
    - ‘11년 기준, 두바이 9위(13,000천TEU) 로테르담 10위(11,900천TEU)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