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다음달 1일부터 5일까지 영국 런던에서 개최되는 국제해사기구(IMO) 제64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에 선박평형수 및 선박온실가스와 관련한 학계 및 연구기관 등 민․관 전문가 약 30명으로 구성된 대표단을 파견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 최대 쟁점이 되는 것은 2004년 채택된 ‘선박평형수 관리협약’의 발효를 지연시키려는 의제이다.
* ‘12년말 발효요건(30國, 선복량 35%) 충족 후 1년 뒤 발효(現 36國, 29.07%)
선박평형수(선박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선박에 싣는 바닷물)를 통해 외래해양생물체가 다른 나라에 유입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함에 따라 IMO에서는 2004년 2월 13일이를 통제하기 위하여 "선박평형수 관리협약"을 채택한 바 있다.
그 동안 선박평형수처리장치(수중생물 사멸장치)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해 정부주도로 신속하게 대응한 결과 IMO에서 최종승인을 받은 25개 기술 중 우리나라 제품이 9개로 세계 최고의 처리장치 기술 보유국이 되었다.
협약이 발효되면 현존선은 2016년부터 IMO와 정부에서 승인을 받은 평형수처리장치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기술력과 생산능력을 확보한 아국기업은 세계 80조 선박평형수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
그러나, 금번 MEPC에서 일부 IMO 회원국은 평형수처리장치 생산시설 및 설치조선소의 부족을 이유로 협약의 발효를 연기 하자고 강력히 주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협약발효가 지연될 경우 선박에 의무적으로 설치되는 기간도 연기되므로 그동안 약 20~40억을 들여 개발을 주도해온 우리기업은 판매를 하지 못해 재정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에 국토해양부는 금번 회의에서 선박평형수처리장치 산업 발전을 위하여 우리나라의 개발현황, 처리장치 생산능력 및 기술 등을 전 세계 IMO 회원국들에게 소개하고 조속한 시일내 협약이 발효될 수 있도록 총력전을 펼칠 예정이다.
국토해양부는 금번 회의에서 최선의 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계획이며, 회의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의 위상 강화 및 산업계 경쟁력 확보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임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