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는 경포대 해수욕장에 대한 모니터링 분석결과 6월 25일부터 7월 2일까지 침식으로 유실되었던 백사장이 그동안 지자체의 복구 노력과 자연에 의한 복원력으로 점차 예전의 모습으로 회복되어 가고 있다”고 발표했다.
경포대 해수욕장은 지난 7월, 개장 10여 일을 앞두고 지속적인 이상 고파랑에 의해 남단구역에서 침식이 발생하여 20m 가량 백사장이 후퇴하고 모래절벽이 생겼으며, 산책용 목재데크 시설까지 붕괴위험에 처한 적이 있었다.
금번 모니터링 분석 결과에 따르면, 경포대 해수욕장 지역의 연안은 겨울철에서 봄ㆍ여름철로 가면서 침식이 진행되고, 여름철을 지나 가을ㆍ겨울철로 갈수록 퇴적되는 계절적 변동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금년 여름에는 계절적 요인에 의한 남동계열의 고파랑과 6월 20일 일본 열도를 통과한 제4호 태풍(구촐)의 후속 파랑 영향으로 침식피해가 예년에 비해 크게 발생하였으며,
비디오 모니터링 판독 결과 침식이 발생하기 전인 6월 12일 백사장 면적은 7,245㎡ 이였으나, 침식이 발생한 7월 1일의 면적은 4,045㎡로 3,200㎡가 감소하였으며, 해수욕장 남단 250m 구간에서 모래 유실 피해가 더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후, 강릉시에서 복구한 양빈 모래(2,862㎥:덤프트럭 500대 분량)의 영향과 가을철로 접어들면서 우세하게 일기 시작한 북동계열 파랑에 의한 자연적 퇴적현상으로 경포대 해수욕장의 백사장은 침식발생 이전인 6월의 수준으로 점차 원상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해양부는 금년도 말까지 전국 주요 105개 연안에 대한 기본 모니터링과 26개의 백사장에 대한 비디오 모니터링을 실시한 다음, 그 결과를 내년도 2월에 발표할 계획으로 있으며,
모니터링 결과 침식상태가 우려되거나 심각하여 시급히 복원할 필요가 있는 지역에 대하여는 연안정비기본계획에 반영하고, 적기에 예산을 투입하여 정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첨부] 경포대 해수욕장 연안침식 비디오 모니터링 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