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2012년 3분기 건축허가면적은 ‘11년 3분기보다 7.6% 감소한 33,305천㎡(54,437동), 착공면적은 7.8% 증가한 25,042천㎡(45,126동), 준공면적은 21.9% 증가한 30,296천㎡(53,000동)라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의 허가, 착공, 준공면적이 각각 1,837천㎡(14.0%), 1,143천㎡(14.7%), 4,780천㎡(46.5%) 증가한 반면, 지방의 허가는 4,557천㎡(20%) 감소하였고, 착공과 준공은 각각 668천㎡(4.3%), 662천㎡(4.6%) 증가하였다.
< 건축허가 추이(3/4분기) >
(단위 : 1,000㎡)
(단위 : 동, 1,000㎡)
분기
|
’09년
|
’10년
|
’11년
|
’12년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동수
|
39,086
|
54,057
|
52,292
|
55,204
|
46,235
|
64,840
|
51,704
|
58,055
|
49,648
|
68,173
|
57,558
|
62,966
|
53,244
|
69,031
|
54,437
|
연면적
|
17,993
|
22,145
|
25,613
|
32,547
|
25,524
|
37,076
|
25,162
|
31,972
|
28,388
|
36,677
|
36,025
|
40,158
|
29,891
|
36,764
|
33,305
|
< 건축물 착공 추이(3/4분기) >
(단위 : 1,000㎡)
(단위 : 1,000㎡, 동)
분기
|
’09년
|
’10년
|
’11년
|
’12년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동수
|
30,592
|
47,352
|
43,319
|
46,118
|
36,554
|
57,029
|
45,055
|
49,714
|
40,533
|
59,820
|
48,535
|
51,607
|
43,431
|
58,364
|
45,126
|
연면적
|
13,165
|
18,852
|
18,702
|
23,757
|
19,512
|
27,398
|
21,188
|
20,582
|
20,270
|
28,570
|
23,232
|
30,773
|
23,298
|
28,536
|
25,042
|
< 건축물 준공 추이(3/4분기) >
(단위 : 1,000㎡)
(단위 : 1,000㎡, 동)
분기
|
’09년
|
’10년
|
’11년
|
’12년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동수
|
35,806
|
39,779
|
45,714
|
49,179
|
34,468
|
42,414
|
49,270
|
55,655
|
34,675
|
44,126
|
48,070
|
59,756
|
40,757
|
44,910
|
53,000
|
연면적
|
28,207
|
26,759
|
27,914
|
31,040
|
26,228
|
28,441
|
31,363
|
33,267
|
20,779
|
25,947
|
24,853
|
33,415
|
25,630
|
26,459
|
30,296
|
전년 동기대비 건축물 용도별 허가, 착공 및 준공 현황은
건축허가의 경우 주거용이 2,279천㎡(14.1%), 공업용이 477천㎡(10.8%) 감소한 반면, 교육․사회용이 152천㎡(6.3%) 증가하였고,
- 착공은 주거용이 1,082천㎡(12.7%), 상업용이 270천㎡(4.9%), 교육․사회용이 316천㎡(18.7%) 증가한 반면, 공업용이 847천㎡(20.3%) 감소하였다.
준공은 주거용이 322천㎡(3.7%), 상업용이 1,105천㎡(18.1%), 공업용이 2.601천㎡(64.5%), 교육․사회용이 1,292천㎡(63%) 등 모두 증가하였다.
[용도별 건축물 분류(통계용)]
․ 주거용 : 단독, 다가구, 다중주택, 연립, 다세대, 아파트
․ 상업용 : 근린생활, 자동차관련, 판매, 운수, 숙박, 업무시설 등
․ 공업용 : 공장
․ 교육․사회용 : 의료시설, 문화시설(극장 등)
․ 기타 : 농수산용(축사, 온실), 공공용(공공청사, 방송국) 등
2012년 3/4분기 주요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금년 1, 2분기와는 대조적으로 수도권의 허가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반면, 지방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수도권의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허가는 각각 6.1%, 5.5%, 27.4% 증가한 반면, 지방은 24.5%, 5.4%, 24.7% 감소하였다.
< 전년동기 대비 용도별 허가 현황 >
(단위 : 1,000㎡)
구분
|
합계
|
주거용
|
상업용
|
공업용
|
교육.사회용
|
기타
|
전국
|
차이
|
-2,720
|
-2,279
|
0
|
-477
|
152
|
-115
|
증감율(%)
|
-7.6
|
-14.1
|
0.0
|
-10.8
|
6.3
|
-2.2
|
수도권
|
차이
|
1,837
|
337
|
211
|
325
|
89
|
875
|
증감율(%)
|
14.0
|
6.1
|
5.5
|
27.4
|
8.3
|
56.4
|
지방
|
차이
|
-4,557
|
-2,616
|
-211
|
-802
|
63
|
-990
|
증감율(%)
|
-19.9
|
-24.5
|
-5.4
|
-24.7
|
4.7
|
-26.8
|
- 특히, 주거용의 경우 아파트와 단독주택은 각각 수도권에서 12.2%, 5.5% 증가한 반면, 지방은 26%, 15.8% 감소하였고, 다가구주택, 연립주택은 수도권, 지방 모두 감소하였다.
< 전년동기 대비 주거용 건축물 건축허가 현황 >
(단위 : 1,000㎡, 동)
구분
|
합계
|
단독주택
|
다가구주택
|
아파트
|
연립주택
|
다세대주택
|
기타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전국
|
차이
|
-1,438
|
-2,279
|
161
|
-157
|
-1,325
|
-624
|
-142
|
-1,400
|
-7
|
-23
|
4
|
-39
|
-129
|
-37
|
증감율(%)
|
-5.7
|
-14.1
|
1.1
|
-10.8
|
-20.4
|
-28.7
|
-8.8
|
-13.0
|
-2.9
|
-7.1
|
0.2
|
-3.0
|
-30.8
|
-25.1
|
수도권
|
차이
|
141
|
337
|
284
|
19
|
-107
|
-42
|
37
|
447
|
-6
|
-17
|
-2
|
-44
|
-65
|
-26
|
증감율(%)
|
1.9
|
6.1
|
9.1
|
5.5
|
-6.7
|
-9.6
|
6.5
|
12.2
|
-11.5
|
-20.4
|
-0.1
|
-4.6
|
-39.6
|
-44.0
|
지방
|
차이
|
-1,579
|
-2,616
|
-123
|
-176
|
-1,218
|
-581
|
-179
|
-1,847
|
-1
|
-6
|
6
|
4
|
-64
|
-11
|
증감율(%)
|
-8.7
|
-24.5
|
-1.1
|
-15.8
|
-24.8
|
-33.5
|
-17.0
|
-26.0
|
-0.5
|
-2.5
|
0.9
|
1.1
|
-25.1
|
-12.4
|
둘째, 오피스텔이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 금년 3분기 오피스텔 허가, 착공, 준공면적이 모두 21.5%, 44.3%, 73.4% 증가하였으며, 수도권보다 지방의 증가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전년동기 대비 오피스텔 건축허가, 착공, 준공 현황 >
(단위 : 1,000㎡, 동)
구분
|
허가
|
착공
|
준공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전국
|
차이
|
90
|
188
|
88
|
268
|
169
|
183
|
증감율(%)
|
28.0
|
21.5
|
32.5
|
44.3
|
134
|
73
|
수도권
|
차이
|
36
|
98
|
5
|
183
|
58
|
70
|
증감율(%)
|
29.3
|
16.4
|
4.8
|
46.3
|
132
|
53
|
지방
|
차이
|
54
|
90
|
83
|
84
|
111
|
112
|
증감율(%)
|
27.3
|
32.6
|
50.0
|
40.6
|
135.4
|
96.3
|
셋째, 수도권의 고층․대형건축물 허가가 증가하였다.
- 수도권의 규모별 건축허가현황을 살펴보면 3천㎡~1만㎡미만이 18.4%, 1만㎡이상이 21.1% 증가하였으며,
- 30층 이상의 고층 건축물과 주상복합건축물의 허가도 각각143%, 16.5% 증가하였다.
그 외, 규모별 변동현황 및 멸실현황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규모별 건축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2.2%인 22,972동, 100~200㎡ 건축물이 10,627동(19.5%), 300~500㎡ 건축물이 7,663동(14.1%) 순으로 나타났다.
- 건축물 착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19,345동으로 전체의 35.5%, 100~200㎡ 건축물이 8,261동(15.2%), 300~500㎡ 건축물이 6,920동(12.7%) 순이었다.
멸실현황을 용도별로 보면 주거용과 상업용이 각각 1,361천㎡(11,193동), 674천㎡(2,191동) 멸실되었고, 그밖에 공업용과 교육사회용이 230천㎡(306동), 101천㎡(138동) 멸실되었다.
- 주거용 건축물의 멸실현황을 세분화해 보면 유형별로는 아파트, 다세대주택이 각각 100%, 10.7%로 많이 증가하였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20.4% 증가한 반면, 지방이 16.1% 감소하였다.
※ 이들 통계에 대한 지역별, 용도별 세부자료는 건축행정시스템-세움터
(http://www.eais.go.kr) 및 국토해양부 홈페이지 (http://www.mltm.go.kr)를 통해 조회할 수 있으며, ‘13년 1월부터는 세움터 포털에서 통계지도 및 차트제공 등 다양한 통계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통계 정보 서비스 제공 예시화면]
< 참고자료 > '12년 3분기 건축허가, 착공, 준공 현황 통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