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12.10.30(화) 서울에서 제3차 한‧중 해상육상 복합 화물자동차 운송 협력위원회를 개최하고, 트레일러 운행구역과 적용항구를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는데 양국이 인식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한중 복합운송은 ‘10.12월 인천-위해 항로를 시작으로 하여, 한국의 인천, 평택, 군산항 등 3개 항구와 중국의 위해, 청도, 일조, 석도, 용안, 연태 등 6개 항구에서 총 7개 노선으로 사업이 진행 중이다.
사업이 시작된 이래, 지금까지 총 306대의 트레일러가 상호주행하는 등 사업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이번 회의에서 양국은 복합운송이 조기에 활성화되기 위하여, 관세담보 제도를 개선하고, 화물이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막힘없이 운송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데 입장을 같이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측은 삼성전자, LG전자, 하이닉스 등 우리나라 기업이 많이 진출해있는 강소성, 섬서성과 같은 산동성 이외 지역으로 한국 트레일러의 운행지역을 확대할 것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현재 개통된 산동성 6개 항구에 더하여, 강소성의 연운항과 같이 민간의 수요가 높은 항구를 추가로 개통할 것을 제안하였다.
한국측 제안에 대해, 중국측은 한중 복합운송 사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운행지역과 적용항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에 동감하였다.
이에 공안부 등 관련 부처 및 지방정부와 긴밀히 협조하여, 운행지역을 조속히 확대할 수 있도록 추진할 것임을 밝혔다.
한국 트레일러가 산동성 이외 지역의 목적지까지 원스톱으로 운행하게 되면,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물류비가 크게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환적작업 없이 화물을 운반하여, 반도체 부품과 같이 충격에 약한 화물의 파손 위험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양국은 국장급회의인 협력위원회와는 별도로, 내년 1/4분기 중에 과장급 실무회의를 개최하여 운행지역과 적용항구를 확대하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협의할 예정이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한국 트레일러의 운행구역 확대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오늘 협력위원회의 의미가 매우 크다고 보고,
내년에 있을 과장급 실무회의에서 구체적인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