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국토지리정보원, 최신 ''독도 지형도’ 공개
기관
등록 2012/11/14 (수)
파일 121115(조간) 국토지리정보원, 최신 독도 지형도 공개(국토지리정보원).hwp
내용




 우리 국토의 가장 동쪽에 있는 독도의 지형‧지물과 지명을 가장 정확하게 표현한 ‘수치(디지털) 지형도’가 공개된다.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은 국가기본도(1/5천) 중 울릉도와 독도 일원의 수치지형도(‘11년 항공촬영, 12년 현지조사‧편집)와 항공사진 등을 11월부터 공개한다고 밝혔다.

  - 이번 수치지형도에는 지난 10월 20일 신규 제정된 봉우리(대한봉, 우산봉)와 바위(해녀바위, 전차바위) 명칭 등 총29개 지명도 표기된다.
 



 금번 수치지형도는 ‘11년 9월 촬영한 고해상도(25㎝급) 항공 측량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를 활용, 지금까지 정부 기관에서 제작한 독도 지형도 중 가장 정밀도가 높다.

  ‘45년 광복 이후, 정부가 독도 지형도를 최초로 제작한 것은 ’54년 해군 수로국(현 국립해양조사원)이 1/2천 지형도를, ‘62년 건설부 국립건설연구소(현 국토지리정보원)에서 1/3천 지형도를 제작했다.


  * 당시엔 측량장비 등 기술수준이 낮아 오늘날에 비해 정확도가 낮았음.
 


  ‘80년 건설부 국립지리원(현 국토지리정보원)이 제작한 지형도부터 처음으로 항공사진을 촬영하여 지형도(1/1천, 1/5천)를 제작하였고, ’00년부터는 수치(디지털)지형도를 주기적으로 제작하기 시작했다.


  * ‘00년(1/1천, 1/5천), ’05년(1/5천), ‘08년(1/1천)
 


  아날로그 카메라를 활용한 ‘80년 지형도에 비해,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영상으로 독도 지형을 보다 정밀하게 표현하고 있다.
 

 
 


  - 특히, 항공레이저* 측량으로 디지털 표고데이터를 확보('08)함으로써, 향후 독도의 보전‧관리, 식생 등 연구에 필요한 경사도 및 경사방향 분석이 가능해 졌고,


  * LiDAR(Light Detection & Ranging) 시스템을 항공기에 장착, 레이저 펄스를 지표면에 주사하고 반사 지점의 3차원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첨단 측량기법
 

 


  - 횡단면 분석을 통해 동도의 가운데에 있는 자연동굴인 천장굴의 깊이가 약 90m 정도인 것도 확인할 수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측량을 통해 정확한 독도의 지리정보를 국내‧외에 제공함으로써 독도의 영토주권을 확고히 하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

  이번에 공개되는 독도 수치지형도와 항공사진은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
(www.ngii.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수치지형도 : http://sd.ngii.go.kr:8080/main/main.jsp
  ** 항공사진 : http://air.ngii.go.kr/index.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