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10월 전국 땅값 0.06% 상승하여 안정세 지속, 서울시 소폭 상승
기관
등록 2012/11/22 (목)
파일 121122(석간) 2012년 10월 지가동향 및 토지거래량(토지정책과).hwp
내용



【 지가 】

  ◈ (전국) 전월比 0.06% 상승하여 안정세 지속, 상승률은 소폭 증가

 

 < ‘12년 전국 월간 지가변동률 >

1

2

3

4

5

6

7

8

9

10

0.09%

0.09%

0.12%

0.12%

0.11%

0.10%

0.07%

0.03%

0.02%

0.06%


 ◈ (서울) 0.01% 상승하여, 금년 7월 이후 4개월 만에 소폭 상승


   * -0.03%(’12.7월) → -0.06%(8월) → -0.06%(9월) → 0.01%(10월)


 ◈ (세종) 상승폭은 감소했으나, 금년 3월부터 8개월 연속 상승률 1위

 

 < ‘12년 세종시 월간 지가변동률 >



【 토지거래량 】

 ◈ 10월에 전국적으로 172,385필지, 132,035천㎡가 거래되어,전년 동월(’11.10)比 필지수 6.2% 감소, 면적 4.3% 감소


   * 전월(’12.9)比 필지수 29.6% 증가, 면적 14.8% 증가



【 '12.10월 지가동향 】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10월 전국 지가가 전월 대비 0.06% 상승하여,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現 지가는 금융위기 발생 전 고점('08.10월) 대비 0.26% 낮은 수준이다.
 

지역별 지가변동률

구분

전국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지방

'12.10월 지변율

0.06%

0.03%

0.01%

0.03%

0.06%

0.11%

'12년 누적

0.81%

0.58%

0.30%

0.36%

0.91%

1.24%

고점대비(’08.10)

-0.26%

-1.27%

-3.09%

0.19%

0.52%

1.61%



 [1] 행정구역별


 행정구역별로는 서울이 0.01%를 기록하여, 4개월 만에 소폭 상승하였으며,


  * [서울시 지변율] -0.03%(’12.7월)→-0.06%(8월)→-0.06%(9월)→0.01%(10월)


  서대문구(0.06%), 은평구(0.05%) 등 15개 자치구의 지가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는 0.34% 상승(’11.10~’12.10월 1년간 누계:5.22%)하여, 금년 3월부터 8개월 연속으로 상승률 전국 1위를 기록하였다.
 

  세종시 ’12년 월간 지가변동률 추이

  ※ ’12.1~6월은 舊 연기군 지변율(’12.7.1 세종시 출범)



 한편, 전국적인 지가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개발 호재가 있는 세종시, 강원 평창군 등에서 국지적으로 지가가 상승하였으며,

  영종하늘도시 개발이 지연되고 있는 인천 중구, 인천만 조력발전소 건설사업이 중단된 인천 옹진군 등은 하락하였다.
 

  지가변동률 상위 5개 지역

순위

행정구역명

변동률(%)

변 동 사 유

1

세종특별자치시

0.342

국무총리실 등 중앙행정기관 이전 본격화, 접근성 개선(세종로, 세종시-오송역 BRT도로 개통)과 아파트 분양 호조 등

2

강원도 평창군

0.218

동계올림픽 특별법 시행령 제정 및 올림픽특구 지정추진, 원주-강릉 복선전철 착공 등 경기장 건설과 인프라 확충 등

3

대구광역시 달성군

0.196

지하철1호선 연장, 국도5호선 확포장공사, 테크노폴리스 일반산업단지, 옥포보금자리주택지구 지정 영향

4

강원도 춘천시

0.193

서울-춘천고속도로, 강촌 및 남춘천 I.C에서 시내중심가로 접근성 개선으로 관광수요증가

5

부산광역시

기장군

0.185

안평-기장간 도시철도 연장선, 장안산업단지의 준공, 명례산업단지조성 및 동남권 중입자가속기 도입계획 등

 

 지가변동률 하위 5개 지역

순위

행정구역명

변동률(%)

변 동 사 유

1

인천광역시 중구

-0.118

영종하늘도시의 제3연륙교 건설 등 주요개발계획 불투명 및 기반시설 조성 지연의 영향

2

인천광역시 옹진군

-0.088

인천만 조력발전소 건설사업 중단, 실물경기의 악화 등으로 전월대비 거래부진

3

부산광역시 중구

-0.058

부산시청 이전, 상권이 분산됨에 따라 상권 침체가 지속되고 주거환경이 열악

4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0.055

식사동 도시개발사업의 부진, 도시 지역내 주거용상업용 부동산 공급과잉 및 사업지연 등으로 거래부진 지속

5

서울특별시 금천구

-0.055

금천구심 도시개발구역 및 독산1구역 지정해제 등 대규모 사업의 진행가능성 불투명으로 거래부진 지속



 [2] 용도지역․이용상황별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0.03%)은 3개월 만에 상승하였으며,

  상업(0.09%), 계획관리(0.13%), 농림(0.07%) 등은 전월보다 상승폭이 확대되었고, 생산관리(0.07%), 자연환경보전(0.03%) 등은 감소하였다. 


 이용상황별로는 주거용(0.01%)은 4개월 만에 상승하였으며,

  기타(0.09%), 상업용(0.09%) 등은 전월보다 상승폭이 확대되었고,임야(0.04%), 답(0.08%), 공장(0.08%)은 감소하였다. 


 【 '12.10월 토지거래량 】 

 전국 토지거래량은 총 172,385필지, 132,035천㎡로 전년 동월 대비 ① 필지수 6.2% 감소, ② 면적 4.3% 감소하였으며,

  최근 3년간 10월 평균 거래량(18만3천 필지)보다 5.9% 감소하였다.


  * 전월(’12.9월) 대비 필지수 29.6% 증가, 면적 14.8% 증가



 순수토지*거래량은 총 67,494필지, 122,183천㎡로 전년 동월 대비 ① 필지수 8.1% 감소, ② 면적 4.7% 감소하였으며,


  * 순수토지란 건축물 부속토지 거래를 제외한 토지만으로 거래되는 토지를 의미하며, 10월 전체 토지거래량 대비 필지수 39.2%, 면적 92.5%를 차지


  최근 3년간 10월 평균 거래량(7만2천 필지) 대비 7.4% 감소하였다.


  * 전월(’12.9월) 대비 필지수 8.6% 증가, 면적 13.4% 증가
 

’12년 월간 토지거래량 추이(필지수 기준)

 




 《 붙임 》 1. 참고 그래프
                2. ’12.10월 지가동향 
                3. ’12.10월 토지거래량


 

 ☞ 지가변동률과 토지거래량에 대한 상세한 자료는 ‘온나라 부동산정보 통합포털’(www.onnara.go.kr) 또는 ‘국토해양 통계누리’(stat.mltm.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