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에 따르면, 2012년 10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물동량은 총 1억 1,192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1,544만 톤) 대비 3.0%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월간 항만 물동량은 9월에는 전년대비 8.9% 증가했었으나, 1개월 만에 다시 감소세로 전환되었다.
한편, 2012년 10월까지 누적 항만물동량은 총 11억 861만 톤으로 전년동기(10억 8,379만 톤) 대비 2.3% 증가하였다.
< 전국 무역항 항만물동량>
(단위 : 천톤, %)
|
‘10.10월
|
‘11.10월
|
‘11.1~10월
|
최근 3개월
|
‘12.1~10월
|
‘12.8월
|
‘12.9월
|
‘12.10월
|
총물동량
|
102,996
|
115,438
|
1,083,789
|
99,466
|
113,035
|
111,924
|
1,108,613
|
전년동기 대비
|
3.6
|
12.1
|
9.1
|
△7.2
|
8.9
|
△3.0
|
2.3
|
|
수 출 입
|
82,156
|
92,743
|
884,025
|
83,224
|
95,459
|
93,066
|
918,105
|
|
연 안
|
20,840
|
22,695
|
199,764
|
16,242
|
17,576
|
18,858
|
190,508
|
항만별로 살펴보면, 부산항과 광양항은 기계류 및 유류 등 수출입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3.5%, 10.4%, 증가했으나,
울산항과 평택․당진항은 유류 및 화공품 등 수출입 물량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7.9%, 3.6% 감소하였다.
< '12년 10월 주요 항만별 물동량 >
(단위 : 천톤, %)
구 분
|
부산항
|
광양항
|
울산항
|
인천항
|
평택․당진항
|
대산항
|
포항항
|
기타
|
총물동량
|
26,613
|
20,836
|
14,870
|
12,488
|
7,792
|
5,590
|
5,187
|
18,548
|
전년동기 대비
|
3.5
|
10.4
|
△7.9
|
0.0
|
△3.6
|
△0.7
|
△1.5
|
△20.0
|
품목별로는 광석 및 기계류는 수출입 물량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2%, 13.0% 증가한 반면, 다른 품목들은 대부분 감소하였다.
< '12년 10월 주요 품목별 물동량 >
(단위: 천톤, %)
품목별
|
유류
|
광석
|
유연탄
|
철재
|
기계류
|
자동차
|
화공품
|
모래
|
시멘트
|
기타
|
총물동량
|
32,395
|
11,198
|
9,370
|
8,169
|
7,414
|
4,776
|
4,910
|
3,827
|
3,469
|
26,396
|
전년동기 대비
|
△4.1
|
2.2
|
△9.1
|
△1.3
|
13.0
|
△8.8
|
△2.1
|
△19.9
|
△9.6
|
△1.1
|
한편, 전국 항만의 10월 컨테이너 물동량은 지난해 같은 달(1,898천TEU)에 비해 0.2%(10월까지 누계 4.4% 증가) 증가한 1,902천TEU*를 처리하였다고 밝혔다.
이는 세계경기 위축, 내부수진 등의 국내외 경제 여건에 따라 수출입 물동량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환적화물의 증가 영향으로 전년도 동기 수준의 물동량을 처리한 것이다.
* 수출입화물 1,145천(2.6%↓), 환적화물 722천(5.7%↑), 연안화물 35천TEU(15.4%↓)
<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처리실적 (10월) >
(단위 : 천TEU, %)
구 분
|
'10. 10월
|
'11. 10월
|
'11.1~10월
|
최근 3개월
|
‘12.1~ 10월
|
'12.8월
|
'12.9월
|
'12.10월
|
총 물 동 량
|
1,625
|
1,898
|
17,904
|
1,744
|
1,903
|
1,902
|
18,686
|
전년동기 대비
|
9.6
|
16.8
|
11.6
|
△3.2
|
8.1
|
0.2
|
4.4
|
|
수출입
|
1,069
|
1,175
|
11,156
|
1,060
|
1,169
|
1,145
|
11,332
|
|
환 적
|
523
|
683
|
6,368
|
663
|
709
|
722
|
7,033
|
|
연 안
|
33.0
|
39.9
|
380.2
|
20.9
|
24.2
|
34.6
|
321.6
|
수출입화물(1,145천TEU)은 세계경기 위축, 내수 부진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1,175천TEU) 대비 소폭 감소(30천TEU↓, 2.6%↓)하였다.
다만, 환적화물(722천TEU)은 부산항의 미국(6.4%↑), 일본(11.7%↑), 중국(5.3%↑) 환적물량 증가의 영향으로 지난해 10월(683천TEU) 대비 5.7% 증가하였으나, 그 증가세는 둔화되고 있다.
부산항은 지난 해 같은 달보다 1.9% 증가한 1,441천TEU를, 환적화물*은 696천TEU(7.3%↑)를 기록하였다.
* 부산항 10월 환적 물동량은 '11년 월 평균(613천TEU)대비 13.5% 증가한 수준
다만, 향후 부산항 환적화물 증가여부는 중국 및 글로벌 경기 회복 등 복합적인 요인에 좌우될 것으로 예상된다.
광양항은 지난 해 같은 달보다 5.3% 감소한 176천TEU를 처리하였으며, 환적물동량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23.5% 감소한 24천TEU를 처리하였다.
수출입화물은 주요 수출물량인 자동차(러시아), 석유화학(중국 및 동남아)화물의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도 같은 달 수준인 151천TEU를 처리하였다.
한편, 인천항은 對 중국 교역량 감소로 전년 동월대비 5.6% 감소한 169천TEU를 처리하였다.
< 주요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 현황(10월) >
(단위 : 천TEU, %)
구 분
|
'10.10월
|
'11.10월
|
'11.1~10월
|
최근 3개월
|
'12.1~10월
|
'12. 8월
|
'12. 9월
|
'12. 10월
|
부산항
|
1,178
|
1,414
|
13,415
|
1,334
|
1,435
|
1,441 (1.9)
|
14,202 (5.9)
|
광양항
|
180
|
186
|
1,751
|
162
|
191
|
176 (△5.3)
|
1,776 (1.4)
|
인천항
|
164
|
179
|
1,650
|
151
|
169
|
169 (△5.6)
|
1,614 (△2.2)
|
한편, 세계 10대항만 1~10월까지 처리실적은 전년 동기대비(15,598만TEU) 3.8% 증가한 16,191만TEU를 처리하였다.
부산항은 세계 경기 침체 기조 속에서도 증가율(5.9%)을 기록하며 5위 유지를 유지하였으며, 닝보-저우산항은 9.6% 증가한 1,355만TEU를 처리하며 6위 차지하였다.
환적 비중이 높은 싱가폴항(6.5%, 2,644만TEU)과 홍콩항(△4.4%, 1,943만TEU)은 2위, 3위를 기록하였으나 홍콩항은 10대 항만 중 유일하게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를 보였다.
< ‘12년 10월 세계 10대 항만 컨테이너 처리실적 >
(단위 : 천TEU, %)
순위
|
항 만
|
‘11년
|
‘11.10월
|
‘11.1-10월
|
‘12.10월
|
‘12.1-10월
|
전년대비
|
‘12.10월
|
‘11년
|
동월
|
누계
|
합 계
|
188,019
|
16,084
|
155,984
|
16,294
|
161,910
|
1.3
|
3.8
|
1
|
1
|
상하이(中)
|
31,700
|
2,650
|
26,350
|
2,700
|
26,923
|
1.9
|
2.2
|
2
|
2
|
싱가폴
|
29,938
|
2,569
|
24,826
|
2,675
|
26,439
|
4.1
|
6.5
|
3
|
3
|
홍 콩(中)
|
24,384
|
2,098
|
20,320
|
1,891
|
19,432
|
△9.9
|
△4.4
|
4
|
4
|
선 전(中)
|
22,570
|
1,961
|
18,736
|
1,934
|
19,064
|
△1.4
|
1.8
|
5
|
5
|
부 산
|
16,185
|
1,414
|
13,415
|
1,441
|
14,202
|
1.9
|
5.9
|
6
|
6
|
닝보-저우산(中)
|
14,686
|
1,198
|
12,367
|
1,328
|
13,551
|
10.9
|
9.6
|
7
|
8
|
칭다오(中)
|
13,020
|
1,080
|
11,054
|
1,209
|
12,096
|
11.9
|
9.4
|
8
|
7
|
광저우(中)
|
14,400
|
1,266
|
11,341
|
1,161
|
11,760
|
△8.3
|
3.7
|
9
|
9
|
텐 진(中)
|
11,500
|
1,020
|
9,583
|
1,080
|
10,238
|
5.9
|
6.8
|
10
|
10
|
카오슝
|
9,636
|
828
|
7,992
|
875
|
8,205
|
5.7
|
2.7
|
중국계(홍콩 포함)
|
132,260
|
11,273
|
109,751
|
11,303
|
113,064
|
0.3
|
3.0
|
* 항만당국 홈페이지 참조 (싱가폴 및 중국항만은 추정치이므로 변동 가능)
* 두바이항, 로테르담항은 공식통계 미발표
- ‘11년 기준, 두바이 9위(13,000천TEU) 로테르담 10위(11,900천TEU) 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