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11월 전국 땅값 0.07% 상승하여 안정세 지속
기관
등록 2012/12/24 (월)
파일 121224(석간) '12년 11월 지가동향 및 토지거래량(토지정책과).hwp
내용

 【 지가 】 

 (전국) 전월比 0.07% 상승하여 안정세 지속, 상승률 소폭 증가
 

  < ‘12년 전국 월간 지가변동률 >

1

2

3

4

5

6

7

8

9

10

11

0.09%

0.09%

0.12%

0.12%

0.11%

0.10%

0.07%

0.03%

0.02%

0.06%

0.07%


 (서울) 0.03% 상승하여, 금년 10월부터 2개월 연속 소폭 상승


   * -0.06%(8월) → -0.06%(9월) → 0.01%(10월) → 0.03%(11월)



 (세종) 금년 3월부터 9개월 연속 상승률 1위, 상승률 소폭 확대
 

  < ‘12년 세종시 월간 지가변동률 >


  【 토지거래량 】 

 11월에 전국적으로 185,469필지, 146,827천㎡가 거래되어,전년 동월(’11.11)比 필지수 4.8% 감소, 면적 9.8% 감소


   * 전월(’12.10)比 필지수 7.6% 증가, 면적 11.2% 증가
 




  【 '12.11월 지가동향 】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11월 전국 지가가 전월 대비 0.07% 상승하여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現 지가는 금융위기 발생 전 고점('08.10월) 대비 0.19% 낮은 수준이다.
 

  지역별 지가변동률

구분

전국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지방

'12.11월 지변율

0.07%

0.04%

0.03%

0.00%

0.06%

0.12%

'12년 누적

0.87%

0.62%

0.33%

0.36%

0.97%

1.35%

고점대비(’08.10)

-0.19%

-1.23%

-3.06%

0.19%

0.57%

1.72%


 
  1. 행정구역별 

 서울은 0.03%를 기록하여 2개월 연속 상승하였으며, 중랑구(-0.016%)를 제외한 24개 자치구의 지가가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 지변율] -0.03%(.7월)→-0.06%(8월)→-0.06%(9월)→0.01%(10월)→0.03%(11월)



 세종시는 0.49% 상승하여(’11.11~’12.11월 1년간 누계:5.61%),금년 3월부터 9개월 연속으로 상승률 전국 1위를 기록하였다.
 

  세종시 ’12년 월간 지가변동률 추이

   ※ ’12.1~6월은 구 연기군 지변율(’12.7.1 세종시 출범)



 전국적으로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중앙행정기관의 이전이 진행 중인 세종시, 동계올림픽 개최 예정지인 평창군 등에서국지적으로 지가가 상승하였으며,

  택지개발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수원 권선구, 산업단지 개발이 부진한 인천 계양구 등은 지가가 하락하였다.
 

  지가변동률 상위 5개 지역

순위

행정구역명

변동률(%)

변 동 사 유

1

세종특별자치시

0.487

중앙행정기관 이전 본격화, 접근성 개선(세종-정안IC간 고속도로, 세종시-오송역 BRT도로 개통)과 아파트 분양 호조 등

2

강원도 평창군

0.230

동계올림픽 특별법 시행령 제정 및 올림픽특구 지정추진, 원주-강릉 복선전철 착공 등 경기장 건설과 인프라 확충 등

3

강원도 춘천시

0.195

서울-춘천고속도로, 강촌 및 남춘천 I.C에서 시내중심가로 접근성 개선으로 관광수요증가

4

경상남도 거제시

0.193

조선업 경기의 회복기대, 거가대교 개통과 접속도로 건설사업의 완공으로 부산광역시와 접근성 개선 및 통합기대 등

5

강원도 강릉시

0.192

동계올림픽 관련한 기반시설의 확충, 강릉 빙상경기장 배치 가확정, 경제자유구역 예비지정, 옥계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의 순조로운 진행

 
지가변동률 하위 5개 지역

순위

행정구역명

변동률(%)

변 동 사 유

1

수원시 권선구

-0.208

택지개발사업(권선지구 및 호매실지구)과 주거환경개선사업 및 산업단지 개발사업의 부진

2

인천광역시 계양구

-0.121

서운일반산업단지의 개발 부진과 경인 아라뱃길 인근의 거래부진 등

3

인천광역시 중구

-0.093

영종하늘도시의 제3연륙교 건설 등 주요 개발계획 불투명 및 기반시설 조성 지연

4

인천광역시 옹진군

-0.047

인천만 조력발전소 건설사업 중단, 실물경기의 악화 등으로 전월대비 거래부진

5

안산시 상록구

-0.047

월피동 일대의 자동차정비공장지역과 팔곡 도금공장지역의 산업경기 침체로 거래부진


 
  2. 용도지역·이용상황별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0.05%)은 2개월 연속 소폭 상승하였으며,

  계획관리(0.15%), 녹지(0.1%), 생산관리(0.08%), 농림(0.08%) 등은 전월 보다 상승폭이 확대되었고, 상업(0.08%), 공업(0.05%) 등은 감소하였다. 

 이용상황별로는 주거용(0.02%)은 2개월 연속 소폭 상승하였으며,

  상업용(0.10%), 답(0.08%), 임야(0.05%) 등은 전월보다 상승폭이 확대되었고, 기타(0.06%)는 감소하였다.

  【 '12.11월 토지거래량 】

  전체 토지거래량은 총 185,469필지, 146,827천㎡로 전년 동월(194,841필지, 162,693천㎡) 대비 ① 필지수 4.8% 감소, ② 면적 9.8% 감소하였으며,

  최근 3년간 11월 평균 거래량(19만1천 필지) 대비 3.0% 감소하였다.


   * 전월(’12.10월) 대비 필지수 7.6% 증가, 면적 11.2% 증가



 순수토지거래량은 총 74,593필지, 137,206천㎡로 전년 동월( 83,055필지, 152,625천㎡) 대비 ① 필지수 10.2% 감소, ② 면적 10.1% 감소하였으며,


   * 순수토지란 건축물 부속토지 거래를 제외한 토지만으로 거래되는 토지를 의미하며, 11월 전체 토지거래량 대비 필지수 40.2%, 면적 93.4%를 차지



  최근 3년간 11월 평균 거래량(7만9천 필지) 대비 5.6% 감소하였다.


   * 전월(’12.10월) 대비 필지수 10.5% 증가, 면적 12.3% 증가


 

  ’12년 월간 토지거래량 추이(필지수 기준)



  《 붙임 》 1. 참고 그래프 
                 2. ’12.11월 지가동향
                 3. ’12.11월 토지거래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