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에 따르면, 2012년 11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물동량은 총 1억 977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922만 톤) 대비 0.5%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한편, 2012년 11월까지 누적 항만물동량은 총 12억 2,134만 톤으로 전년동기(11억 9,301만 톤) 대비 2.4% 증가하였다.
< 전국 무역항 항만물동량>
(단위 : 천톤, %)
|
‘10.11월
|
‘11.11월
|
‘11.1~11월
|
최근 3개월
|
‘12.1~11월
|
‘12.9월
|
‘12.10월
|
‘12.11월
|
총물동량
|
108,000
|
109,215
|
1,193,005
|
113,035
|
111,924
|
109,773
|
1,221,342
|
전년동기 대비
|
14.8
|
1.1
|
8.3
|
8.9
|
△3.0
|
0.5
|
2.4
|
|
수 출 입
|
85,988
|
88,238
|
972,265
|
95,459
|
93,066
|
91,497
|
1,011,300
|
|
연 안
|
22,012
|
20,977
|
220,740
|
17,576
|
18,858
|
18,276
|
210,042
|
항만별로 살펴보면, 광양항과 대산항은 유류 및 섬유류 등 수출입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15.7%, 25.0%, 증가했으나,
인천항과 포항항은 모래 및 철광석 등 수출입 물량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2%, 12.3% 감소하였다.
< '12년 11월 주요 항만별 물동량 >
(단위 : 천톤, %)
구 분
|
부산항
|
광양항
|
울산항
|
인천항
|
평택?당진항
|
대산항
|
포항항
|
기타
|
총물동량
|
25,255
|
20,489
|
15,788
|
11,773
|
8,313
|
6,196
|
5,031
|
16,928
|
전년동기 대비
|
3.1
|
15.7
|
△0.6
|
△1.2
|
7.3
|
25.0
|
△12.3
|
△19.5
|
품목별로는 유류 및 기계류는 수출입 물량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0.0%, 17.6% 증가한 반면, 광석 및 유연탄은 수출입물량 감소로 각각 5.8%, 10.6% 감소하였다.
< '12년 11월 주요 품목별 물동량 >
(단위: 천톤, %)
품목별
|
유류
|
광석
|
유연탄
|
철재
|
기계류
|
자동차
|
화공품
|
모래
|
시멘트
|
기타
|
총물동량
|
32,754
|
10,366
|
9,594
|
6,716
|
7,104
|
5,262
|
4,559
|
3,639
|
3,307
|
26,472
|
전년동기 대비
|
10.0
|
△5.8
|
△10.6
|
△15.2
|
17.6
|
4.8
|
4.9
|
△24.8
|
△5.6
|
1.7
|
한편, 전국 항만의 11월 컨테이너 물동량(확정)은 지난해 같은달(1,824천TEU)에 비해 3.5%(11월까지 누계 4.4% 증가) 증가한 1,888천TEU*를 처리하였다고 밝혔다.
* 수출입화물 1,152천(4.0%↑), 환적화물 709천(5.7%↑), 연안화물 28천TEU(39.8%↓)
이는 세계경기 위축, 내수부진 등의 국내외 경제 침체에도 불구하고 증가세를 유지한 결과이나, 그 증가폭은 감소한 것이다.
* 전년대비 누계증가율 : 6.4('12.6) → 5.6('12.7) → 4.5('12.8) → 4.9('12.9) → 4.4('12.10) → 4.4('12.11)
<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처리실적 (11월) >
(단위 : 천TEU, %)
구 분
|
'10. 11월
|
'11. 11월
|
'11.1~ 11월
|
최근 3개월
|
'12.1~ 11월
|
'12.9월
|
'12.10월
|
'12.11월
|
총 물 동 량
|
1,664
|
1,824
|
19,729
|
1,903
|
1,910
|
1,888
|
20,603
|
전년동기 대비
|
11.1
|
9.3
|
11.4
|
8.1
|
0.2
|
3.5
|
4.4
|
|
수출입
|
1,079
|
1,108
|
12,264
|
1,169
|
1,152
|
1,152
|
12,506
|
|
환 적
|
543
|
671
|
7,038
|
709
|
723
|
709
|
7,747
|
|
연 안
|
41.3
|
46.2
|
426.5
|
24.2
|
35.2
|
27.8
|
350.7
|
수출입화물(1,152천TEU)은 전년 동월(1,108천TEU) 대비 소폭 증가(44천TEU↑, 4.0%↑)하였으며, 환적화물(709천TEU)도 지난해 11월(671천TEU) 대비 5.7% 증가하였으나, 그 증가세는 둔화되고 있다.
부산항은 지난 해 같은 달보다 1.4% 증가한 1,390천TEU를, 환적화물*은 673천TEU(4.2%↑)를 처리하였다.
* 부산항 11월 환적 물동량은 '11년 월 평균(613천TEU)대비 9.8% 증가한 수준
다만, 향후 부산항 환적화물 증가여부는 중국 및 글로벌 경기 회복 등 복합적인 요인에 좌우될 것으로 예상된다.
광양항은 주요선사의 공컨테이너 물량 증가로 지난 해 같은 달보다 17.7% 증가한 189천TEU를 처리하였으며, 환적물동량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45.9% 증가한 33천TEU를 처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천항은 對 중국 및 동남아 국가와의 교역량 증가로 전년 동월대비 7.5% 증가한 184천TEU를 처리하였다.
< 주요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 현황(11월) >
(단위 : 천TEU, %)
구 분
|
'10. 11월
|
'11. 11월
|
'11.1~11월
|
최근 3개월
|
'12.1~11월
(확정)
|
'12. 9월
|
'12.10월
|
'12. 11월
(확정)
|
부산항
|
1,210
|
1,371
|
14,786
|
1,435
|
1,442
|
1,390 (1.4)
|
15,601 (5.5)
|
광양항
|
161
|
160
|
1,911
|
191
|
176
|
189 (17.7)
|
1,967 (2.9)
|
인천항
|
177
|
171
|
1,821
|
169
|
169
|
184 (7.5)
|
1,799(△1.2)
|
한편, 세계 10대항만 1~11월까지 처리실적은 전년 동기대비(17,168만TEU) 3.7% 증가한 17,799만TEU를 처리하였다.
부산항은 세계 경기 침체 기조 속에서도 5.5%의 증가율(1,560만TEU)을 기록하며 5위 유지를 유지하였으며, 닝보-저우산항은 9.6% 증가한 1,482만TEU를 처리하며 6위 차지하였다.
환적 비중이 높은 싱가폴항(6.3%, 2,903만TEU)과 홍콩항(△4.7%, 2,126만TEU)은 2위, 3위를 기록하였으나 홍콩항은 10대 항만 중 유일하게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를 보였다.
< ‘12년 11월 세계 10대 항만 컨테이너 처리실적 >
(단위 : 천TEU, %)
순위
|
항 만
|
'11년
|
'11.11월
|
'11.1-11월
|
'12.11월
|
'12.1-11월
|
전년대비
|
‘12.10월
|
’11년
|
동월
|
누계
|
합 계
|
188,019
|
15,656
|
171,680
|
16,039
|
177,995
|
2.5
|
3.7
|
1
|
1
|
상하이(中)
|
31,700
|
2,620
|
28,970
|
2,780
|
29,779
|
6.1
|
2.8
|
2
|
2
|
싱가폴
|
29,938
|
2,472
|
27,298
|
2,589
|
29,028
|
4.7
|
6.3
|
3
|
3
|
홍 콩(中)
|
24,384
|
1,955
|
22,315
|
1,870
|
21,264
|
△4.4
|
△4.7
|
4
|
4
|
선 전(中)
|
22,570
|
1,891
|
20,627
|
1,858
|
20,922
|
△1.8
|
1.4
|
5
|
5
|
부 산
|
16,185
|
1,371
|
14,786
|
1,390
|
15,601
|
1.4
|
5.5
|
6
|
6
|
닝보-저우산(中)
|
14,686
|
1,154
|
13,521
|
1,273
|
14,824
|
10.3
|
9.6
|
7
|
8
|
칭다오(中)
|
13,020
|
1,088
|
12,142
|
1,221
|
13,317
|
12.2
|
9.7
|
8
|
7
|
광저우(中)
|
14,400
|
1,276
|
12,617
|
1,225
|
12,985
|
△4.0
|
2.9
|
9
|
9
|
텐 진(中)
|
11,500
|
1,015
|
10,598
|
1,052
|
11,290
|
3.7
|
6.5
|
10
|
10
|
카오슝
|
9,636
|
814
|
8,806
|
781
|
8,985
|
△4.1
|
2.0
|
중국계(홍콩 포함)
|
132,260
|
10,999
|
120,790
|
11,279
|
124,381
|
2.6
|
3.0
|
* 항만당국 홈페이지 참조 (싱가폴 및 중국항만은 추정치이므로 변동 가능)
* 두바이항, 로테르담항은 공식통계 미발표 - ‘11년 기준, 두바이 9위(13,000천TEU) 로테르담 10위(11,900천TEU) 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