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용수 확보가 어려운 도서․해안 지역에 소규모 지하수댐 건설
기관
등록 2012/12/27 (목)
파일 121228(조간) 제3차 지하수관리 기본계획(2012-2021) 확정(수자원정책과)(1).hwp
내용




 용수확보가 어려운 도서·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지하수 저류를 위한 지하수댐 건설이 추진된다. 전국 10개 지역*을 대상으로 내년부터 기초조사에 착수하여 적게는 하루 500톤부터 많게는 하루 10,000톤 규모로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건설하게 된다.


   * 전남 영광군 안마도, 인천 옹진군 대이작도, 경남 통영시 욕지도, 경북 영덕군 영해면 등 전국 10개 지역



 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는 지하댐 건설을 포함한 제3차 지하수관리기본계획을 중앙하천관리위원회 심의(11.30)를 거쳐 확정했다고 밝혔다.


   * 제3차 지하수관리기본계획은 지하수법에 따라 국토부장관이 10년마다 수립하는 지하수 분야 최상위 국가계획으로 지난 '02년 수립한 2차 계획(2002∼2012)에 이은 계획



  이번 계획은 지하수법 개정 등 제도변화, 제4차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수정('11), 가뭄심화 등 최근의 지하수관리 여건변화를 고려하여 지하수 개발·이용, 보전·관리, 수질관리, 조사·관측·연구개발, 관리기반 분야 등에 대한 향후 10년간 정책방향을 제시하였으며,

  계획의 기조를 기존의 체계적 보전·관리(2차)에서 미래가치 창출을 위한 지하수의 활용과 보전(3차)으로 전환하여 지하수 활용을 강조한 데 특징이 있다. 

 이번 계획의 주요내용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① 지하수 개발·이용 분야

  가뭄 등 재해발생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가뭄대비 지하수지원체계를 구축하고,


   * 가뭄우려지역 60개 시·군 선정, 공공관정 조사 및 진단·보수, 지원계획 수립



  도서·해안 등 물공급 취약지역에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를 위한 지하수자원 확보시설(지하수댐 등) 사업을 추진하며,


   * 전남 영광군 안마도 등 10개 지역



  그 밖에 지하철, 대형건축물 등에서 발생하는 유출지하수의 재이용, 수변지역 지하수 활용, 인공함양 추진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② 보전·관리 분야

  지하수 오염의 대명사인 방치공을 완전히 원상복구하여 지하수 오염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 약 3만여공으로 추정되는 방치공을 '18년까지 원상복구 완료 추진



  수량이 풍부하거나 수질이 양호하여 보전할 가치가 있는 지역, 지하수장해가 우려되는 지역 등 체계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한 지하수 보전구역지정 활성화를 유도할 계획이다.

  ③ 수질관리 분야

  토지이용형태에 따른 오염원 분류 제시 등 지하수오염원 분류체계를 마련하고, 심도별, 대수층별, 지역별 등 다원화된 수질관리 기술 개발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수질측정망을 확대·운영하며,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수질검사 확대 및 검사비용 지원과 오염지하수 정밀조사, 오염지하수 정화산업 활성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④ 조사·관측 및 연구개발 분야

  인프라 구축을 위한 지하수 기초조사를 2021년까지 완료하고, 기 완료 지역에 대해서는 10년 주기 보완조사를 실시하며, 2014년까지 지하수시설 전수조사를 완료하여 미등록 지하수시설을 제도권내로 완전히 편입할 예정이며,


   * 기초조사 : 지질조사·물리탐사 및 지하수 수위조사 등을 통해 전국 지하수에 대한 부존 특성 및 개발가능량 등을 조사하는 것
   ** 시설 전수조사 : 방치공 및 미등록 지하수 시설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



  지하수위·수질의 변동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국가 지하수관측소를 ‘21년까지 530개소로 확대하고, 연구개발을 강화하여 관련 기술의 경쟁력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 올릴 계획이다.


   * 국가지하수관측소 : '11년말까지 530개소중 348개소 완료



  ⑤ 관리기반 분야

  지하수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하수 영향평가제 등 지하수법의 기본법 역할을 강화하고,

  지역특성에 적합한 지역지하수 관리계획 수립을 지원하며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지하수 교육 등 다양한 홍보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계획으로 지하수에 대한 이용이 보다 활성화 되어 기후변화에 대비한 안정적 수자원 확보에 많은 도움이 되고,

  아울러 방치공 문제 해결 및 미등록 시설 양성화로 지하수 오염방지 및 관리 선진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