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년 전체 항공여객은 제주 및 국내외국인 해외 여행수요 증가, 저비용 항공사의 공급력 확대 등으로 ’1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역대 최대 실적인 6,930만명(전년대비 8.2% 증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항공여객 추이 : 5,233만명('08) →5,157만명('09) → 6,028만명('10) → 6,363만명('11) → 6,930만명('12)
* ’09년은 경기침체 및 신종플루 영향으로 일시적 감소
국제선 여객의 경우에는 4,770만명이 이용하여 전년대비 11.9% 증가하였고, 국내선 여객은 2,160만명이 이용하여 전년대비(2,098만명)보다 3.0% 증가하였다.
* 국제여객 추이 : 3,534만명('08) → 3,351만명('09) → 4,006만명('10) → 4,265만명('11) → 4,770만명('12)
* 국내여객 추이 : 1,699만명('08) → 1,806만명('09) → 2,022만명('10) → 2,098만명('11) → 2,160만명('12)
그러나, 항공화물은 347만톤으로 전년보다 1.3% 감소하였다.
* 항공화물 추이 : 314만톤('09) → 359만톤('10) → 352만톤('11) → 347만톤('12)
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에 따르면, 2012년 국제선 여객은 K-Pop 신한류 열풍 등으로 인한 외국인 관광수요 증가 및 주 5일제 수업 전면시행 등에 따른 내국인 해외여행 증가로 인해 일본(11%), 중국(10.9%), 동남아(15.1%) 등 전 지역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본노선은 ‘11년 3월 대지진·원전사고로 인한 기저효과로 3월부터 연속 6개월간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 일본노선 월별 증감률 : 25.5%(3월) → 52.2%(4월) → 35.3%(5월) → 20.5%(6월) → 16.9%(7월) → 16.6%(8월) → 5.9%(9월) → △6.9%(10월)
국제선 여객 분담률의 경우 국적사가 66.7%로 외항사(33.3%)의 2배 수준이었으며,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의 여객 분담률은 7.5%로 전년대비 약 2배 증가하였다.
* LCC 분담률 : 0.03%('08) → 0.5%('09) → 2.3%('10) → 4.3%('11) → 7.5%('12)
인천공항 환승여객은 환승전용 내항기 활성화 등으로 전년대비 21.1% 증가한 686만명을 기록하여 개항 이래 역대 최고치를 달성하였고, 환승률은 17.8%를 기록하여 ’11년 대비 1.4%p 증가하였다.
* 환승여객 : 442만명('08) → 520만명('09) → 519만명('10) → 566만명('11) → 686만명('12) * 환승률 : 14.9%('08) → 18.4%('09) → 15.8%('10) → 16.4%('11) → 17.8%('12)
국내선 여객은 제주여행수요 증가 및 저비용항공사 운항증대로 전년대비 3.0% 증가한 2,160만명을 기록하였다.
특히, KTX에 따른 내륙노선 감소에도 불구하고, 제주노선 비중은 '07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12년에는 전년대비 1.7%p 증가한 79.2%를 나타냈다.
* 제주노선 비중: 67.9%('08) → 71.2%('09) → 73.3%('10) → 77.5%('11)→ 79.2%('12)
또한, 저비용항공사(LCC)의 국내여객 수송량은 947만명으로 전년대비 1.1배 증가하였으며, 여객 분담률도 2.4%p 상승한 43.8%를 기록했다.
* LCC 분담률 : 9.7%('08) → 27.4%('09) → 34.7%('10) → 41.4%('11) → 43.8%('12)
국제항공화물의 경우 세계 경제 침체 및 IT제품의 해외 생산 확대로 인한 수출감소 등으로 전년(324만톤)대비 0.9% 감소한 321만톤을 기록하였으며,
인천공항 환적화물(110만톤)도 전년대비 5.3% 감소하였다.
국토부는 2012년 여수 세계박람회 개최(5.12~8.12), 주 5일 수업제도 전면 시행, K-POP 등 신한류 열풍으로 인한 외국인 관광수요 증가, 일본수요 회복, 저비용항공사 국제선 취항 증가 등에 힘입어, 여객부문은 국제선·국내선 모두 증가하였으며
2013년에도 평창동계스페셜올림픽대회(1.29~2.5) 개최, K-POP 등 신한류 열풍으로 인한 외국인 관광수요의 확대, 저비용항공사 국제선 취항 증가 등에 힘입어, 국제선 여객은 ’12년 수준인 12.0% 증가하여 이용객 5천만 시대 달성이 예상되며, 국내선 여객도 제주노선을 중심으로 4.5%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반면, 항공화물은 IT 주요 수출국인 유럽·미국 등 수출시장 경기회복 지연, 제주노선 기종교체로 인한 공급력감소 등으로 2012년 국제·국내화물 수요는 감소하였으나,
2013년 세계 IT시장의 완만한 회복세와 신흥시장의 스마트폰 보급 확산 등에 따른 수출 증가로 국제선 화물은 전년대비 약 0.9% 소폭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였다.
* 항공수요 예측분석 연구용역 : 한국교통연구원, ’12.7.6~’13.1.1
다만, 미국의 재정절벽, 유로존 재정위기 등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어 증가폭이 둔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