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지난해 주택인허가 11년(55만호)보다 6.8% 증가한 58.7만호 기록
기관
등록 2013/01/27 (일)
파일 130128(조간) '12년 주택 건설 공급동향(주택건설공급과)(1).hwp
(붙임2)12년 주택 착공 및 준공실적.xls
(붙임3)12.12월 분양(승인)실적 및 1월계획.xls
내용




 ◈ (총괄) 지난해 주택건설 인허가(+6.8%), 착공(+13.4%), 공동주택 분양(+4.6%) 및 주택 준공(+7.7%)은 ‘11년 대비 실적이 모두 증가

  다만, 지난해 하반기는 주택경기 침체가 본격화되면서 주택건설 활동이 전년동기대비 전반적으로 위축

  < 주택 건설·공급 추이(호수, 전년(동기)대비(%) > 

 ◈ (인허가) 지난해 58.7만호로 도시형생활주택 및 지방 위주로 공급이 증가하면서 최근 5년 평균(44.9만호)대비 30.7% 증가


   * (‘07년) 55만호 → (’08) 37 → (‘09) 38 → (’10) 39 → (‘11) 55 → (‘12) 59



  도시형생활주택은 전세난 지속, 저금리 건설자금 지원 등의 영향으로 ‘11년(8.4만호)대비 47.8% 증가한 12.3만호 인허가


   *도시형 인허가 실적(호) : (‘09) 1,688 → (’10) 20,529→ (‘11) 83,859 → (’12) 123,494



  지방은 지난해 상반기까지 주택시장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11년(27.7만호)대비 14.5% 증가한 31.7만호 인허가(수도권 ’11년 대비 △1.1%)

   - 다만, 하반기 이후 지방 주택경기 위축으로 감소세로 전환


   * 지방 인허가(전년동월比, %) : (‘12.1~6월) +63.8 → (7~9) △2.4 → (10~12) △10.0



 ◈ (착공) 지난해 48.1만호로 ‘11년(42.4만호) 대비 13.4% 증가

  수도권은 경기지역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 착공에도 불구, 전국 평균보다 낮은 6.4% 증가한 반면, 지방은 아파트 위주의 실적이 증가하면서 19.4% 증가


   * 하남미사(9,376호), 화성동탄2(8,975), 안양덕천(재개발, 4,250), 양주옥정(4,080) 등



 ◈ (분양) 지난해 29.8만호로 세종시, 혁신도시 등 지방을 중심으로 실적이 증가하면서 ‘11년(28.5만호)대비 4.6% 증가

  분양 22.2만호(+10.7%), 임대 5.1만호(△9.4%), 조합 2.5만호(△11.3%) 공급 

 ◈ (준공) 지난해 36.5만호로 LH 통합 영향으로 인한 ‘10년 공공부문 착공물량(1.6만호) 감소로 아파트는 감소(△10.7%)하였으나, 아파트외 주택은 증가(+40.4%)하여 ‘11년(33.9만호)대비 7.7% 증가 

 ◈ (입주예정) 향후 3개월(‘13.2~4)간 전국 3.6만호, 수도권 2.1만호, 지방 1.5만호 아파트 입주 예정 

 ◈ (보금자리주택) 하남감북, 고덕강일 등에서의 사업승인 연기 등으로 ‘11년(13만호) 대비 19.8% 감소한 10.1만호 공급

   - 착공은 5.0만호로 ‘11년(4만호)대비 14.3% 증가하면서 본격화

   - 입주는 0.6만호로 수도권 신규 GB지구(강남, 서초) 0.2만호 입주 등으로 ’11년(0.4만호) 대비 47.7% 증가 

1. 인허가 실적 

 지난해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은 전국 58.7만호로 ’11년(55.0만호) 대비 6.8%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 평균(44.9만호)대비로는 30.7% 증가하여 ‘02년(66만호)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는 아파트 건설실적이 감소하면서 ‘11년(27.2만호) 대비 1.1% 감소한 26.9만호가 인허가 되었으나, (최근 5년 평균 25.5만호 대비로는 5.4% 증가)

  지방은 ‘11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주택시장 상승세가 이어져 ‘11년(27.7만호) 대비 14.5% 증가한 31.8만호가 인허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5년 평균 19.3만호 대비로는 64.2% 증가)

   - 다만, 지방 주택경기도 지난해 하반기 이후에는 위축되면서 인허가 실적이 감소세로 전환되었고, 감소 폭도 확대되었다.


   * 지방 인허가(전년동월比, %) : (‘12.1~6월) +63.8 → (7~9월) △2.4 → (10~12월) △10.0


 

〈 주택건설 인허가 현황 및 추이〉

(단위 : 호, %) 

구 분

12

11

11년대비 증감률

최근5년평균

(‘07’11)

5년평균대비 증감률

전 국

586,884

549,594

6.8%

449,000

30.7%

(아파트)

376,086

356,762

5.4%

334,110

12.6%

(아파트외)

210,798

192,832

9.3%

114,890

83.5%

수도권

269,290

272,156

1.1%

255,533

5.4%

(아파트)

163,498

176,236

7.2%

197,052

17.0%

(아파트외)

105,792

95,920

10.3%

58,481

80.9%

지 방

317,594

277,438

14.5%

193,467

64.2%

(아파트)

212,588

180,526

17.8%

137,058

55.1%

(아파트외)

105,006

96,912

8.4%

56,409

86.2%


 주체별로는, 공공은 ‘11년(11.5만호) 대비 5.0% 감소한 11.0만호, 민간은 ‘11년(43.4만호) 대비 9.9% 증가한 47.7만호가 인허가 되었다. 
 

< 주체별 인허가실적 >

(단위 : 호, %) 

구 분

2012

2011

11년대비 증감률

최근5년평균

(‘07’11)

5년평균대비 증감률

공 공

109,609

115,349

5.0%

144,023

23.9%

민 간

477,275

434,245

9.9%

304,977

56.5%


 유형별로는, 아파트 37.6만호(전체물량의 64.1%)로 ‘11년(35.7만호)대비 5.4% 증가되었고, 비 아파트는 수도권에서의 도시형 생활주택 인허가가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11년(19.3만호)대비 9.3% 증가하였다.

  특히, 도시형생활주택은 전세난 지속, 저금리 건설자금 지원 등의 영향으로 전국 12.4만호가 인허가 되어 ‘11년 대비 47.8% 증가하였다. 
 

< 도시형생활주택 인허가실적 >

(단위 : 호, %) 

구 분

 

 

 

 

 

 

증감률

‘12

원룸형

단지형

‘11

원룸형

단지형

전 국

123,949

102,554

21,395

83,859

72,361

11,498

47.8%

수도권

74,476

60,912

13,564

49,066

41,276

7,790

51.8%

지 방

49,473

41,642

7,831

34,793

31,085

3,708

42.2%


 면적별로는, 85㎡이하 중소형주택이 48.4만호로 ‘11년(44.6만호)대비 8.6% 증가하면서 전체물량의 82.5%를 차지하였고,

  85㎡초과 중대형주택은 10.3만호(전체의 17.5%)로 수도권 아파트를 중심으로 실적이 부진하여 ‘11년(10.4만호)대비 1.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면적별 인허가실적 >

(단위 : 호, %) 

구 분

2012

2011

‘11년대비 증감률

최근5년평균

(‘07’11)

5년평균대비증감률

전 국

586,884

549,594

6.8%

449,000

30.7%

(85이하)

484,241

445,920

8.6%

317,539

52.5%

(85초과)

102,643

103,674

1.0%

131,461

21.9%

수도권

269,290

272,156

1.1%

255,533

5.4%

(85이하)

231,246

231,803

0.2%

188,873

22.4%


2. 착공 실적 

 지난해 주택 착공실적은 전국 48.1만호로 ‘11년(42.4만호)대비 13.4% 증가하였다.

  수도권은 경기도에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착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 및 인천의 상대적 부진으로 ‘11년(19.6만호)대비 6.4% 증가한 20.9만호가 착공된 반면,


   * 하남미사(9,376호), 화성동탄2(8,975), 안양덕천(재개발, 4,250), 양주옥정(4,080) 등



  지방은 아파트 위주로 실적이 증가하면서 ‘11년 22.8만호에 비해 19.4% 증가한 27.2만호가 착공된 것으로 집계되었다. 
 

< 2012년도 착공실적>

(단위 : 호, %) 

구 분

 

 

 

 

 

 

증감률

‘12

상반기

하반기

‘11

상반기

하반기

전 국

480,995

225,273

255,722

424,269

160,808

263,461

13.4%

수도권

209,033

97,484

111,549

196,515

77,307

119,208

6.4%

(서울)

73,274

39,308

33,966

77,657

31,741

45,916

5.6%

(인천)

14,464

6,823

7,641

20,795

9,943

10,852

30.4%

(경기)

121,295

51,353

69,942

98,063

35,623

62,440

23.7%

지 방

271,962

127,789

144,173

227,754

83,501

144,253

19.4%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 28.8만호, 아파트 외 19.3만호로 ‘11년 대비 각각 14.0%, 12.5% 증가하였으며,

  주체별로는, 공공 9.8만호, 민간 38.3만호로 ‘11년 대비 각각 12.7%, 13.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 유형별·주체별 착공실적>

(단위 : 호, %)

구 분

 

 

 

 

 

 

증감률

‘12

상반기

하반기

‘11

상반기

하반기

전 국

480,995

225,273

255,722

424,269

160,808

263,461

13.4%

유형별

아파트

287,727

122,674

165,053

252,495

82,856

169,639

14.0%

아파트외

193,268

102,599

90,669

171,774

77,952

93,822

12.5%

주체별

공공

97,761

33,180

64,581

86,715

19,394

67,321

12.7%

민간

383,234

192,093

191,141

337,554

141,414

196,140

13.5%


3. 공동주택 분양(승인) 실적 

 지난해 공동주택 분양실적은 전국 29.8만호로 ‘11년(28.5만호) 대비 4.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수도권은 서울 및 경기지역 실적 부진으로 ‘11년(12.0만호)대비 14.0% 감소한 10.4만호가 분양되었으나,

  지방은 세종시(1.8만호), 혁신도시(1.1만호) 등을 중심으로 실적이 크게 증가하여 ‘11년(16.4만호) 대비 18.1% 증가한 19.4만호가 분양된 것으로 나타났다. 
 

< 2012년도 공동주택 분양(승인) 실적>

(단위 : 호, %)

구 분

 

 

 

 

 

 

증감률

‘12

상반기

하반기

‘11

상반기

하반기

전 국

297,964

145,519

152,445

284,923

121,900

163,023

4.6%

수도권

103,602

49,938

53,664

120,415

55,236

65,179

14.0%

(서울)

29,686

19,113

10,573

38,390

17,552

20,838

22.7%

(인천)

17,582

7,864

9,718

10,620

3,809

6,811

65.6%

(경기)

56,334

22,961

33,373

71,405

33,875

37,530

21.1%

지 방

194,362

95,581

98,781

164,508

66,664

97,844

18.1%


 유형별로는, 분양 22.2만호로 ‘11년 대비 10.7% 증가한 반면, 임대 5.1만호, 조합 2.5만호로 집계되어, 각각 9.4%, 11.3% 감소하였다.

  주체별로는, 공공 7.2만호로 10.2% 감소하였으나, 민간 22.6만호로 10.3% 증가하였다. 
 

< 유형별·주체별 공동주택 분양(승인)실적 >

(단위 : 호, %)

구 분

 

 

 

 

 

 

증감률

‘12

상반기

하반기

‘11

상반기

하반기

전 국

297,964

145,519

152,445

284,923

121,900

163,023

4.6%

유형별

분양

221,969

110,628

111,341

200,481

84,794

115,687

10.7%

임대

51,222

19,296

31,926

56,506

23,540

32,966

9.4%

조합

24,773

15,595

9,178

27,936

13,566

14,370

11.3%

주체별

공공

71,963

25,752

46,211

80,101

34,186

45,915

10.2%

민간

226,001

119,767

106,234

204,822

87,714

117,108

10.3%


4. 준공 실적 

 지난해 주택 준공실적은 전국 36.5만호, 수도권 19.9만호, 지방 16.6만호로 ‘11년 대비 전국 7.7%, 수도권 6.4%, 지방 9.4% 각각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LH 통합 영향으로 ’10년 착공물량(1.6만호)이 감소하여 공공부문 아파트 준공실적이 크게 감소(‘11년 대비 △57.1%)하였으나,

  수도권을 중심으로 아파트 외 주택 실적증가(‘11년 대비 +40.4%)로 전체 준공실적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12년도 준공실적>

(단위 : 호, %) 

구 분

 

 

 

 

 

 

증감률

‘12

상반기

하반기

‘11

상반기

하반기

전 국

365,053

165,464

199,589

338,813

142,887

195,926

7.7%

수도권

199,261

88,865

110,396

187,284

79,162

108,122

6.4%

(서울)

65,115

28,553

36,562

65,093

25,422

39,671

0.0%

(인천)

30,176

15,931

14,245

29,662

14,767

14,895

1.7%

(경기)

103,970

44,381

59,589

92,529

38,973

53,556

12.4%

지 방

165,792

76,599

89,193

151,529

63,725

87,804

9.4%


 유형별로는, 아파트 19.4만호로 ‘11년 대비 10.7% 감소하였으나, 아파트 외 주택은 17.1만호로 ’11년 대비 40.4% 증가하였으며,

  주체별로는, 공공 4.4만호로 ‘11년 대비 57.1% 감소하였으나, 민간은 32.1만호로 ’11년 대비 35.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 유형별·주체별 준공실적>

(단위 : 호, %) 

구 분

 

 

 

 

 

 

증감률

‘12

상반기

하반기

‘11

상반기

하반기

전 국

365,053

165,464

199,589

338,813

142,887

195,926

7.7%

유형별

아파트

193,561

91,150

102,411

216,686

99,396

117,290

10.7%

아파트외

171,492

74,314

97,178

122,127

43,491

78,636

40.4%

주체별

공공

43,715

24,852

18,863

101,856

48,146

53,710

57.1%

민간

321,338

140,612

180,726

236,957

94,741

142,216

35.6%


5. 입주예정(‘13.2~4월) 아파트 

 금년 2~4월중 전국 입주예정 아파트는 총 3.6만호로, 지역별로는 수도권 2.1만호(서울 0.5만호), 지방 1.5만호로 각각 조사되었다 

 월별로는 ’13.2월에 1.2만호, 3월 1.3만호, 4월 1.1만호가 각각 입주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별·월별 아파트 입주예정물량(호) >

구 분

합계

’13.2

3

4

전 국

36,161

12,089

12,638

11,434

수도권

21,063

7,242

7,001

6,820

(서 울)

4,809

873

1,109

2,827

지 방

15,098

4,847

5,637

4,614


   * LH, SH 등 공공사업자와 주택협회의 확인을 거쳐 집계한 것으로, 개별사업장의 사정에 따라 입주시기·물량 등이 일부 변경될 수 있음



 규모별로는 60㎡이하 1.0만호, 60~85㎡ 1.2만호, 85㎡초과 1.4만호로서, 85㎡ 이하 중소형이 60.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체별로는, 공공 0.8만호, 민간 2.8만호로 각각 집계되었다. 
 

< 주체별·규모별 아파트 입주예정물량(호) > 

구 분

합 계

규모별

주체별

60이하

6085

85초과

공공

민간

전 국

36,161

10,315

11,716

14,130

8,323

27,838

수도권

21,063

6,064

7,399

7,600

4,828

16,235

(서 울)

4,809

3,459

1,025

325

382

4,427

지 방

15,098

4,251

4,317

6,530

3,495

11,603


< 주요 지역별 아파트 입주예정물량 >

구분

지역명(호수)

'13.2

인천 계양(715), 인천청라(828), 김포한강(976), 수원 장안(947), 성남여수(1,039), 세종(983), 전남여수(1,442), 청주성화(533),

3

서울 이수(680), 인천청라(751), 김포한강(2,549), 경기 부천(1,613), 부산 명지(1,256), 부산 해운대(1,059), 충북 청주(903)

4

인천 서구(766), 경기 고양(2,700), 대구 달서(1,669), 대구 삼덕청아람(730), 충남 서산(458), 경주외동(499)




 아파트 입주단지에 대한 세부정보는 전월세 지원센터 홈페이지(jeonse.lh.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보금자리주택 추진실적 

 지난해 보금자리주택은 신규사업승인 8.4만호, 매입 1.7만호 등 총 10.1만호 공급되어 ‘11년 대비(12.6만호) 약 19.8% 감소하였다.


   * ‘09~’12년간 보금자리주택 공급현황 : 53.8만호(해당기간 목표의 88%)



  이는 부동산경기 침체, 공공사업시행자 재무여건 악화 등으로 인해 하남감북, 고덕강일 등 기 지정 보금자리지구에서 사업승인이 연기되고, 민간신축 다세대 매입사업 등이 부진한데 기인하였다.

  유형별로는, 분양 4.5만호, 임대 5.6만호가 공급되었다. 
 

〈‘12년도 보금자리주택 공급실적〉

(단위 : 호) 

구분

지역명(호수)

'13.2

인천 계양(715), 인천청라(828), 김포한강(976), 수원 장안(947), 성남여수(1,039), 세종(983), 전남여수(1,442), 청주성화(533),

3

서울 이수(680), 인천청라(751), 김포한강(2,549), 경기 부천(1,613), 부산 명지(1,256), 부산 해운대(1,059), 충북 청주(903)

4

인천 서구(766), 경기 고양(2,700), 대구 달서(1,669), 대구 삼덕청아람(730), 충남 서산(458), 경주외동(499)


 반면, 사업승인과는 달리, 지난해에는 지장물 철거, 문화재 조사 등의 사전절차를 거치고 착공이 본격화되면서 5.0만호를 착공하여 ‘11년(4.4만호) 대비 14.3% 증가하였으며,

  입주는 수도권 신규 GB지구(강남, 서초)에서 최초로 2천호가 입주하는 등 총 6천호가 입주, ’11년(0.4만호) 대비 47.7% 증가하였다.


   * ‘12년 전체 공공주택(’09년 이전 사업승인받은 국민임대 등 포함) 착공 및 입주 실적 : 착공 8.2만호, 입주 4.2만호


 

〈‘12년도 보금자리주택 착공 및 입주 실적〉

(단위 : 호)

착공

입주

유형별

지역별

유형별

지역별

임대

분양

수도권

지방

임대

분양

수도권

지방

50,195

25,810

24,385

25,248

24,947

6,240

2,326

3,914

3,176

3,064


 
  [붙임1] ’12년 주택 건설 인허가 실적 

  [붙임2] ’12년 주택 착공, 준공실적

  [붙임3] ’12.12월 분양(승인)실적 및 ‘13.1월 계획

  [붙임4] ’13.2월~‘13.4월 입주예정 아파트

  [붙임5] 공공부문 입주예정 단지별 세부내용

  [붙임6] ’12년 도시형생활주택 인허가 실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