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2012년 건축허가와 관련, 면적은 ‘11년보다 1.8% 증가한 143,671천㎡, 동수는 2.2% 감소한 231,952동으로 조사되었다고 밝혔다. [참고1,2]
《 연도별 건축허가 현황 》
(단위 : 동, 1,000㎡)
구 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전 국
|
동수
|
200,444
|
220,041
|
237,139
|
231,952
|
연면적
|
98,567
|
119,301
|
141,197
|
143,671
|
수도권
|
동수
|
62,525
|
68,552
|
70,607
|
70,361
|
연면적
|
46,766
|
55,370
|
57,694
|
62,918
|
지 방
|
동수
|
137,919
|
151,489
|
166,532
|
161,591
|
연면적
|
51,801
|
63,931
|
83,503
|
80,753
|
(단위 : 1,000㎡)

착공 면적은 0.6% 감소한 102,398천㎡, 동수는 4.4% 감소한 191,664동이며,
준공 면적은 7.0% 증가한 111,931천㎡, 동수는 2.1% 증가한 190,383동으로 파악되었다.
◈ 건축허가 통계 : 건설투자 선행지표(건축부문)로서 건설동향, 주택수급동향 등의 진단 및 건축자재 수급ㆍ생산 예측을 위한 기초 통계
◈ 건축물 착공 통계 : 건설경기 동행지표로서 공사가 실제로 착수된 면적을 집계한 수치
◈ 건축물 준공 통계 : 건축공사가 완료되어 입주가 가능한 건축물의 면적을 집계한 수치
다만, ‘12년도 4/4분기만을 살펴보면 전년 동기 대비 허가, 착공, 준공 면적 및 동수가 모두 감소하였다.
구분
|
면적
|
증감
|
동수
|
증감
|
11분기
|
12년
|
11년
|
12년
|
허가
|
40,107,201.1
|
38,758,480.2
|
감 3.4%
|
62,271
|
54,885
|
감 11.9%
|
착공
|
30,863,739.7
|
24,644,126.4
|
감 20.2%
|
51,646
|
44,250
|
감 14.3%
|
준공
|
33,304,573.6
|
31,644,360.1
|
감 5.0%
|
59,685
|
52,702
|
감 11.7%
|
‘11년 대비 ’12년의 건축물 용도별 증감 현황을 살펴보면
주거용 건축물의 경우 건축허가 면적이 4.2% 증가한 59,527천㎡로 전체 허가면적의 41.4%를 차지하였으며, 수도권과 지방이 각각 5.0%, 3.6% 증가하였다.
- 상업용은 전년 대비 큰 변동이 없었으며, 공업용과 교육․사회용은 각각 9.6%, 3.9% 감소하였다.[참고3,4]
《 용도별 건축허가 현황 》
(단위 : 동, 1,000㎡)
구분
|
합계
|
주거용
|
상업용
|
공업용
|
교육․사회용
|
기타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11년
|
전국
|
237,139
|
141,197
|
102,995
|
57,139
|
62,314
|
31,685
|
22,811
|
17,586
|
11,589
|
11,143
|
37,430
|
23,643
|
수도권
|
70,607
|
57,694
|
29,825
|
23,729
|
22,604
|
14,696
|
6,998
|
5,313
|
3,771
|
4,818
|
7,409
|
9,138
|
지방
|
166,532
|
83,503
|
73,170
|
33,410
|
39,710
|
16,990
|
15,813
|
12,273
|
7,818
|
6,325
|
30,021
|
14,506
|
'12년
|
전국
|
231,952
|
143,671
|
104,284
|
59,527
|
62,401
|
31,682
|
21,408
|
15,905
|
10,800
|
10,713
|
33,059
|
25,845
|
수도권
|
70,361
|
62,918
|
30,647
|
24,915
|
21,820
|
15,628
|
6,610
|
5,541
|
3,806
|
4,803
|
7,478
|
12,032
|
지방
|
161,591
|
80,753
|
73,637
|
34,612
|
40,581
|
16,054
|
14,798
|
10,364
|
6,994
|
5,910
|
25,581
|
13,813
|
착공 면적은 주거용이 1.5% 증가한 39,112천㎡로 전체 물량의 38.2%를 차지하였고,
- 상업용, 공업용은 각각 1.1%, 13.3% 감소한 반면, 교육․사회용은 1.6% 증가하였다.
《 용도별 건축물 착공 현황 》
(단위 : 동,1,000㎡)
구분
|
합계
|
주거용
|
상업용
|
공업용
|
교육․사회용
|
기타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11년
|
전국
|
200,465
|
103,025
|
91,838
|
38,533
|
44,850
|
23,650
|
21,969
|
16,790
|
7,288
|
7,693
|
34,520
|
16,359
|
수도권
|
56,193
|
37,152
|
25,721
|
12,798
|
15,296
|
11,289
|
6,730
|
4,987
|
1,985
|
3,404
|
6,461
|
4,675
|
지방
|
144,272
|
65,873
|
66,117
|
25,735
|
29,554
|
12,361
|
15,239
|
11,803
|
5,303
|
4,289
|
28,059
|
11,685
|
'12년
|
전국
|
191,664
|
102,398
|
91,454
|
39,112
|
43,444
|
23,394
|
19,748
|
14,564
|
7,564
|
7,814
|
29,454
|
17,514
|
수도권
|
53,194
|
37,069
|
25,768
|
13,042
|
13,754
|
10,932
|
5,806
|
4,904
|
2,001
|
3,118
|
5,865
|
5,074
|
지방
|
138,470
|
65,328
|
65,686
|
26,070
|
29,690
|
12,462
|
13,942
|
9,660
|
5,563
|
4,696
|
23,589
|
12,440
|
준공 면적은 주거용이 0.5% 증가한 36,246천㎡로, 전체 물량의 32.3%를 차지하였고,
- 상업용, 공업용, 교육․사회용이 각각 4.3%, 26.2%, 20.9% 증가하였다.
《 용도별 건축물 준공 현황 》
(단위 : 동,1,000㎡)
구분
|
합계
|
주거용
|
상업용
|
공업용
|
교육․사회용
|
기타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11년
|
전국
|
186,391
|
104,560
|
75,621
|
36,070
|
46,865
|
24,524
|
21,548
|
17,170
|
9,695
|
9,426
|
32,662
|
17,370
|
수도권
|
53,744
|
43,533
|
21,525
|
15,630
|
16,692
|
12,407
|
6,656
|
5,110
|
3,211
|
4,298
|
5,660
|
6,089
|
지방
|
132,647
|
61,027
|
54,096
|
20,440
|
30,173
|
12,118
|
14,892
|
12,060
|
6,484
|
5,127
|
27,002
|
11,281
|
'12년
|
전국
|
190,383
|
111,931
|
82,530
|
36,246
|
48,497
|
25,578
|
20,931
|
21,668
|
9,571
|
11,396
|
28,854
|
17,043
|
수도권
|
55,127
|
49,959
|
23,133
|
15,832
|
16,451
|
12,456
|
6,458
|
10,109
|
3,210
|
5,036
|
5,875
|
6,525
|
지방
|
135,256
|
61,972
|
59,397
|
20,414
|
32,046
|
13,122
|
14,473
|
11,559
|
6,361
|
6,359
|
22,979
|
10,518
|
[용도별 건축물 분류(통계용)]
․ 주거용 : 단독주택(단독, 다가구, 다중주택), 공동주택(연립, 다세대, 아파트)
․ 상업용 : 상가, 오피스텔, 호텔 등 ․ 공업용 : 공장
․ 교육․사회용 : 의료시설, 문화시설(극장 등)
․ 기타 : 농수산용(축사, 온실), 공공용(공공청사, 방송국)
* '12년 용도별 건축허가, 착공, 준공 세부현황은 붙임참조
2012년 건축허가, 착공 및 준공의 주요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오피스텔은 허가, 착공, 준공 실적이 모두 증가하였다. 이는 주거용 오피스텔의 공급 활성화를 위한 세제 혜택 및 건설 기준의 완화(‘11년 8.18 전월세 대책)와 1~2인 가구 증가에 따른 소형 주택 수요 증가 등에 따른 것으로 파악된다.
- 오피스텔 건축허가 면적은 '11년 2,875천㎡에서 '12년 4,332천㎡로 50.7%, 착공 면적은 '11년 2,304천㎡에서 '12년 3,336천㎡로 44.8%, 준공 면적은 '11년 1,082천㎡에서 '12년 1,234천㎡로 14.8% 증가 하였다.
둘째, 전년대비 건축허가 면적(1.8% 증가) 및 착공 면적(0.6% 감소) 변동 폭과 비교하여 준공 면적(7% 증가)은 상대적으로 큰 폭의 변동을 보였는데, 이는 ’09년부터 꾸준히 증가한 허가물량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 연도별 건축 준공 현황 》
(단위 : 동, 1,000㎡)
구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전국
|
동수
|
170,428
|
181,705
|
186,391
|
190,383
|
연면적
|
113,122
|
119,127
|
104,560
|
111,931
|
수도권
|
동수
|
54,242
|
55,859
|
53,744
|
55,127
|
연면적
|
54,633
|
58,798
|
43,533
|
49,959
|
지방
|
동수
|
116,186
|
125,846
|
132,647
|
135,256
|
연면적
|
58,489
|
60,329
|
61,027
|
61,972
|
《 연도별 건축 준공 증감추이(분기별) 》
(단위 : 1,000㎡)

셋째, 지방의 주거용 건축물의 허가면적 증가가 계속 되었는데, 2011년 지방의 건축허가 면적이 수도권을 추월한 이후 2012년에도 동일한 현상을 보였다.
- 특히, 다가구주택은 줄어든 반면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의 허가 면적은 전년대비 각각 10.5%, 43.4%, 20.2% 증가하였다.
《 주거용 건축물 건축허가 증감 현황(‘11년 대비 ’12년) 》
구분
|
합계
|
단독주택
|
다가구주택
|
아파트
|
연립주택
|
다세대주택
|
기타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증감
(%)
|
전국
|
1.3
|
4.2
|
5.6
|
-0.6
|
-11.3
|
-16.2
|
10.4
|
8.7
|
30.7
|
43.7
|
7.1
|
5.5
|
-33.1
|
-4.6
|
수도권
|
2.8
|
5.0
|
4.9
|
-2.1
|
4.0
|
2.0
|
-2.3
|
6.5
|
33.3
|
44.2
|
2.1
|
-0.1
|
-35.5
|
-2.4
|
지방
|
0.6
|
3.6
|
5.8
|
0.0
|
-16.0
|
-20.8
|
21.0
|
10.5
|
29.7
|
43.4
|
20.8
|
20.2
|
-31.5
|
-5.8
|
그 외, 규모별, 소유주체별 변동 및 멸실 현황을 살펴보면
먼저 규모별로 보면, 건축허가는 연면적 100㎡(30.3평)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2.2%인 97,919동, 100~200㎡ 건축물이 45,357동(19.6%), 300~500㎡ 건축물이 32,905동(14.2%) 순이고,
- 건축물 착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82,309동으로 전체의 42.9%, 100~200㎡ 건축물이 36,238동(18.9%), 300~500㎡ 건축물이 28,577동(14.9%) 순이었으며,
- 준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73,187동으로 전체의 38.4%, 100~200㎡ 건축물이 36,008동(18.9%), 300~500㎡ 건축물이 31,345동(16.5%) 순이었다.[참고6]
소유주체별로 보면, 건축허가 면적은 개인이 전체의 31.3%인 44,941천㎡, 법인이 61,012천㎡(42.5%), 국․공유가 14,870천㎡(10.4%)이고,
- 착공 면적은 개인이 전체의 35.9%인 36,762천㎡, 법인이 48,613천㎡(47.5%), 국․공유가 7,666천㎡(7.5%)이며,
- 준공 면적은 개인이 전체의 33.8%인 37,816천㎡, 법인이 52,137천㎡(46.6%), 국․공유가 8,415천㎡(7.5%)이다. [참고7]
마지막으로 멸실 현황을 용도별로 보면, 주거용과 상업용이 각각 5,025천㎡(42,390동), 3,025천㎡(10,755동) 멸실되었고, 공업용과 교육․사회용이 1,198천㎡(1,834동), 470천㎡(695동) 멸실되었다.
- 주거용 건축물의 멸실 현황을 세분화해 보면 단독주택이 3,389천㎡(37,521동) 멸실되어 전체의 67.4%를 차지하였으며, 다가구주택이 693천㎡(3,406동), 아파트가 401천㎡(147동) 멸실 되었다.
※ 이들 통계에 대한 세부자료는 건축행정시스템(세움터 (http://www.eais.go.kr) 및 국토해양부 홈페이지 (http://www.mltm.go.kr)를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12년 건축허가, 착공, 준공 통계(별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