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실내공간정보와 실내위치측정 기술을활용하여 국민의 안전과 복지를 증진하고, 다양한 신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 마련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금년부터 2016년까지 3D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하고, 이를 초정밀(3m 이하의 측정오차) 실내위치 측정기술과 융·복합하여 실내경로 안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선, 금년 상반기 중 서울 지하철 시청역사에 대해 다양한 실내경로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평상시에는 시청역의 1·2호선 환승경로와 원하는 출구로 가는 최적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각장애인 등 교통약자에게는 실내경로 음성안내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화재 발생시에는 시민들에게 안전한 대피경로를 안내해 주고 소방관들에게는 신속한 화재진압경로 등을 제공해 주며,
범죄발생시에는 지하공간에서도 정확한 실내위치를 제공하여 경찰 등 유관기관에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준다.
그리고, 금년 하반기에는 강남역, 인천공항, KAIST 캠퍼스 내 건물을 대상으로 실내공간정보 활용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시청역 1호선 10번출구 방향 개찰구》 《시청역 1호선·2호선 환승통로 계단》
 
국토해양부는 금년도 시범사업을 완료한 이후 주요 대도시권의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다양한 실내공간정보 활용서비스 개발을 2016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① 우선, 주요 대도시권의 지하철·공항·관공서 등을 대상으로 3D 기반의 「실내공간정보 맵」을 구축한다.
- 이는 2차원 기반의 실내지도를 제공하는 외국과 달리, 복잡한 실내구조를 현실과 동일하게 재현한 3D 지도까지 구현한다는 점과 모바일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경량화한다는 특징이 있다.
② 또한, 국내연구진이 최근 개발한 실내위치 측정기술을 상용화하기 위해 대도시권 주요지역에 대한 「실내위치정보 DB」를 구축한다.
- 이는 WiFi 신호 등을 활용하여 실내위치정보를 DB화하는 것으로, 현재의 국내 기술은 3~5m의 정확도를 보이고 있으며, 금년 하반기에는 WiFi 보다 더 정밀한 기술이 개발될 예정이다.
- 특히, 그동안 실외의 위치측정 기술은 GPS 등 해외기술에 의존해 왔지만, 실내위치측정은 독자기술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국토해양부 송석준 국토정보정책관은 “향후 세계 공간정보 시장의 점유율을 최대 10%까지 확보할 경우, 2015년에는 약 15조원 규모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세계 공간정보시장은 ’15년 약 150조원 규모로 전망(’09년 美 Daratech)되며 이 중 실내공간정보 시장은 약 30조원으로 추정
또한, 공간정보를 활용한 스마트 쇼핑, 모바일 광고, Door to Door 네비게이션, 위치기반 게임, 기업의 물류 및 재고관리, 실내 위치기반 SNS 등 응용산업의 무한한 발전도 기대된다.
특히, 실내공간정보를 융·복합하여 국내 건설산업과 로봇산업, 선박산업 등의 경쟁력도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3D 실내공간정보와 실내위치측정기술을 융복합하여 건물 및 선박의 경제적 가치를 상승시키고, 대부분 실내에서 작동되어 indoor map이 필요한 ‘서비스 로봇산업’의 성장에도 기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