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1월 ''컨’ 물동량, 2.8% 증가한 1,840천TEU 전망
기관
등록 2013/02/07 (목)
파일 130208(조간) '13년 1월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항만물류기획과).hwp
내용




 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는 전국 항만의 1월 컨테이너 물동량(추정)이 지난해 같은달(1,791천TEU)에 비해 2.8% 증가한 1,840천TEU*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 수출입화물 1,076천(2.4%↑), 환적화물 728천(5.3%↑), 연안화물 35천TEU(26.9%↓)



  이는 미국·중국 등 주요 시장에 대한 수출* 증가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 1월 수출입 실적 : 수출 461억불, 11.8%↑, 수입 452억불 3.9%↑(지식경제부)
   * 전년대비 누계증가율 : 4.5('12.8) → 4.9('12..9) → 4.4('12..10) → 4.4('12..11) → 4.1('12..12) → 2..8('13.1)


 

<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처리실적 (1월) >

(단위 : 천TEU, %) 

구 분

'11. 1

'12. 1

'12.11

최근 3개월

'13.11

(추정)

'12.11

'12.12

'13. 1

(추정)

총 물 동 량

1,690

1,791

1,791

1,888

1,893

1,840

1,840

전년동기 대비

13.0

6.0

6.0

3.5

0.6

2.8

2.8

 

수출입

1,072

1,051

1,051

1,152

1,136

1,076

1,076

 

환 적

570

692

692

709

728

728

728

 

연 안

47.8

47.9

47.9

27.8

29.2

35.0

35.0


 수출입화물(1,076천TEU)은 전년 동월(1,051천TEU) 대비 소폭 증가(25천TEU↑, 2.4%↑)할 것으로 예상되며, 환적화물(728천TEU)도 지난해 11월(692천TEU) 대비 5.3%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되었으나, 그 증가세는 둔화되고 있다 

 부산항은 지난 해 같은 달보다 1.7% 증가한 1,388천TEU를, 환적화물*은 692천TEU(3.4%↑)를 처리할 것으로 보인다.


   * 부산항 1월 환적 물동량은 '12년 월 평균(677천TEU)대비 2.2% 증가한 수준


  다만, 세계경기 회복세 및 국내·외 경제전망*을 고려할 때, ‘13년 수출입·환적물 전망은 ’12년도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 '13년 세계 경제성장 전망 : (IMF) 3.6%, (OECD) 3.4%

   * '13년 국내 경제성장 전망 : (IMF) 3.6%, (OECD) 3.1%, (한국은행) 3.2%, (KDI) 3.0%


 광양항은 지난 해 같은 달보다 2.6% 증가한 173천TEU를 처리하였으며, 환적화물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71.8% 증가한 35천TEU를 처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인천항은 중국, 베트남 및 태국 등 주요 교역국과의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대비 14.6% 증가한 171천TEU를 처리한 것으로 전망된다. 
 

< 주요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 현황(11월) >

(단위 : 천TEU, %) 

구 분

'11. 1

'12. 1

'12.11

최근 3개월

'13.11

(추정)

'12.11

'12.12

'13. 1

(추정)

부산항

1,236

1,365

1,365

1,390

1,422

1,388 (1.7)

1,388 (1.7)

광양항

172

169

169

189

181

173 (2.6)

173 (2.6)

인천항

166

149

149

184

173

171 (14.6)

171(14.6)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13년 국내·외 경제 전망을 고려할 때, '11년도와 같은 물동량 증가세를 기대하기는 힘들 것으로 전망하였으나,

  “글로벌 항만 동향, 해운·항만 여건변화를 지속 점검하고, 부산항 환적경쟁력 강화, 항만배후단지 활성화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물량을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