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괄) 금년 1월 주택 인허가(△18.6%), 착공(△18.5%), 공동주택 분양(△36.5%), 준공(△4.9%)실적은 전년동월대비 모두 크게 감소
* 수도권 : 인허가(△26.5%), 착공(△38.3%), 분양(△21.2%), 준공(△31.2%) 실적 모두 감소
* 지방 : 인허가(△11.2%), 분양(△37.4%) 실적 감소, 착공(+3.0%), 준공(+25.5%) 실적 증가
◈(인허가) 1월 24천호로, 수도권 및 지방 모두 실적이 감소하면서 전년동월(29천호)대비 18.6% 감소
도시형생활주택은 4,378호로 원룸형 우대 금리지원 종료(‘12.12월) 영향 등으로 전년동월대비 41.2% 감소(’09.5월 제도 도입 이후 처음으로 감소 전환)
*도시형 실적(전년동월比) : (’11.12)305%→ (‘12.6)53%→ (’12.12)6% → (‘13.1)△41%
◈(착공) 1월 17천호로, 주로 수도권내의 아파트(△46.1%)·비아파트(△28.8%) 실적 감소 영향으로 전년동월(21천호) 대비 18.5% 감소
*지방은 전년동월대비 아파트 23.6% 증가, 비아파트 △18.3% 감소
◈(분양) 1월 3.7천호로, 수도권 및 지방 모두 실적이 감소하면서 전년동월(5.8천호)대비 36.5% 감소
◈(준공) 1월 25천호로, 수도권내의 아파트 실적(△56.2%)이 크게 감소하면서 전년동월(26천호)대비 4.9% 감소
◈(입주예정) 향후 3개월(‘13.3~5)간 입주예정 아파트는 총 35천호
1. 인허가 실적
금년 1월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은 전국 23,952호(수도권 10,445호, 지방 13,507호)로 전년동월대비 18.6% 감소하였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서울 및 인천지역 실적감소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26.5% 감소하였고, 지방도 1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1월 주택건설 인허가실적(전년동월대비) >
(단위 : 호, %)
구 분
|
’11.1월
|
’12.1월(A)
|
’13.1월(B)
|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B/A)
|
전 국
|
18,500
|
29,411
|
23,952
|
△18.6%
|
수도권
|
10,895
|
14,208
|
10,445
|
△26.5%
|
|
(서울)
|
4,907
|
4,428
|
3,789
|
△14.4%
|
|
(인천)
|
2,007
|
3,772
|
402
|
△89.3%
|
|
(경기)
|
3,981
|
6,008
|
6,254
|
4.1%
|
지 방
|
7,605
|
15,203
|
13,507
|
△11.2%
|
* 지역‧유형‧사업주체‧규모별 인허가 실적은 <붙임1> 참고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15,407호(전체물량의 65.0%)로 전년동월대비 9.2% 감소하였으며, 아파트외 주택(8,545호)도 31.3% 감소하였다.
도시형생활주택은 전국 4,378호가 인허가 되어, 전년동월(7,444호) 대비 41.2%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체별로는, 공공은 570호로 61.4% 전년동월대비 감소하였고, 민간도 23,382호가 인허가되어 16.3% 감소하였다.
< 유형별·주체별 인허가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11.1월
|
’12.1월(A)
|
’13.1월(B)
|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B/A)
|
전 국
|
18,500
|
29,411
|
23,952
|
△18.6%
|
유형별
|
아파트
|
9,710
|
16,965
|
15,407
|
△9.2%
|
아파트외
|
8,790
|
12,446
|
8,545
|
△31.3%
|
주체별
|
공공
|
80
|
1,477
|
570
|
△61.4%
|
민간
|
18,420
|
27,934
|
23,382
|
△16.3%
|
* 아파트 외 : 단독·다가구·연립·다세대 등
2. 착공 실적
금년 1월 주택 착공실적은 전국 16,926호(수도권 6,669호, 지방 10,257호)로서, 전년동월대비 18.5% 감소하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서울 및 인천지역 착공실적 감소로 전년동월대비 38.3% 감소하였으나, 지방은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1월 주택건설 착공실적(전년동월대비) >
(단위 : 호, %)
구 분
|
’11.1월
|
’12.1월(A)
|
’13.1월(B)
|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B/A)
|
전 국
|
10,036
|
20,765
|
16,926
|
△18.5%
|
수도권
|
3,496
|
10,810
|
6,669
|
△38.3%
|
|
(서울)
|
1,091
|
5,486
|
1,900
|
△65.4%
|
|
(인천)
|
917
|
1,940
|
388
|
△80.0%
|
|
(경기)
|
1,488
|
3,384
|
4,381
|
29.5%
|
지 방
|
6,540
|
9,955
|
10,257
|
3.0%
|
* 지역‧유형‧사업주체‧규모별 착공 실적은 <붙임1> 참고
유형별로는, 아파트는 9,469호로 전년동월대비 14.0% 감소, 아파트외 주택도 7,457호로 전년동월대비 23.5% 감소하였다.
주체별로는, 공공은 822호로 전년동월대비 80.6% 감소하였으며, 민간도 16,104호가 착공되어, 전년동월대비 2.5% 감소하였다.
< 유형별·주체별 착공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11.1월
|
’12.1월(A)
|
’13.1월(B)
|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B/A)
|
전 국
|
10,036
|
20,765
|
16,926
|
△18.5%
|
유형별
|
아파트
|
4,332
|
11,013
|
9,469
|
△14.0%
|
아파트외
|
5,704
|
9,752
|
7,457
|
△23.5%
|
주체별
|
공공
|
639
|
4,245
|
822
|
△80.6%
|
민간
|
9,397
|
16,520
|
16,104
|
△2.5%
|
* 아파트 외 : 단독·다가구·연립·다세대 등
3. 분양(승인) 실적
금년 1월 공동주택 분양실적은 전국 3,697호(수도권 278호, 지방 3,419호)로 전년동월대비 36.5% 감소하였다.
지역별로는, 전년동월대비 수도권 21.2%, 지방 37.4%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1월 주택건설 분양(승인)실적(전년동월대비) >
(단위 : 호, %)
구 분
|
’11.1월
|
’12.1월(A)
|
’13.1월(B)
|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B/A)
|
전 국
|
3,627
|
5,818
|
3,697
|
△36.5%
|
수도권
|
2,064
|
353
|
278
|
△21.2%
|
|
(서울)
|
966
|
78
|
202
|
159.0%
|
|
(인천)
|
0
|
126
|
40
|
△68.3%
|
|
(경기)
|
1,098
|
149
|
36
|
△75.8%
|
지 방
|
1,563
|
5,465
|
3,419
|
△37.4%
|
유형별로는, 분양 2,770호, 임대 927호로 집계되어, 전년동월대비 각각 25.4%, 49.6% 감소하였다.
주체별로는 민간은 3,697호로 전년동월대비 36.5% 감소하였으며, 공공은 분양실적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유형별·주체별 분양(승인)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11.1월
|
’12.1월(A)
|
’13.1월(B)
|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B/A)
|
전 국
|
3,627
|
5,818
|
3,697
|
△36.5%
|
유형별
|
분양
|
2,690
|
3,714
|
2,770
|
△25.4%
|
임대
|
937
|
1,840
|
927
|
△49.6%
|
조합
|
0
|
264
|
0
|
순감
|
주체별
|
공공
|
1,656
|
0
|
0
|
-
|
민간
|
1,971
|
5,818
|
3,697
|
△36.5%
|
4. 준공 실적
금년 1월 주택 준공실적은 전국 25,339호(수도권 9,825호, 지방 15,514호)로서, 전년동월대비 4.9% 감소하였다.
지역별로는 전년동월대비 수도권 31.2% 감소한 반면, 지방은 25.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1월 주택 준공실적(전년동월대비) >
(단위 : 호, %)
구 분
|
’11.1월
|
’12.1월(A)
|
’13.1월(B)
|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B/A)
|
전 국
|
22,704
|
26,653
|
25,339
|
△4.9%
|
수도권
|
12,180
|
14,288
|
9,825
|
△31.2%
|
|
(서울)
|
7,033
|
5,944
|
5,724
|
△3.7%
|
|
(인천)
|
585
|
883
|
367
|
△58.4%
|
|
(경기)
|
4,562
|
7,461
|
3,734
|
△50.0%
|
지 방
|
10,524
|
12,365
|
15,514
|
25.5%
|
* 지역‧유형‧사업주체‧규모별 준공 실적은 <붙임3> 참고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11,986호로 전년동월대비 17.7% 감소하였으나, 아파트 외 주택은 13,353호로 전년동월대비 10.5% 증가하였다.
주체별로는 공공 5,584호로 전년동월대비 574.4% 증가하였으나, 민간 19,755호로 전년동월대비 23.5% 감소하였다.
< 유형별·주체별 준공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11.1월
|
’12.1월(A)
|
’13.1월(B)
|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B/A)
|
전 국
|
22,704
|
26,653
|
25,339
|
△4.9%
|
유형별
|
아파트
|
15,527
|
14,567
|
11,986
|
△17.7%
|
아파트외
|
7,177
|
12,086
|
13,353
|
10.5%
|
주체별
|
공공
|
5,094
|
828
|
5,584
|
574.4%
|
민간
|
17,610
|
25,825
|
19,755
|
△23.5%
|
5. 입주예정(‘13.3~5월) 아파트
내년 3~5월중 전국 입주예정 아파트는 총 35,588호로, 지역별로는 수도권 21,206호(서울 3,862호), 지방 14,382호로 각각 조사되었다
월별로는 ’13.3월에 13,257호, 4월 10,985호, 5월 11,346호가 각각 입주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별·월별 아파트 입주예정물량(호) >
구 분
|
합계
|
’13.3월
|
4월
|
5월
|
전 국
|
35,588
|
13,257
|
10,985
|
11,346
|
수도권
|
21,206
|
7,001
|
6,780
|
7,425
|
(서 울)
|
3,862
|
1,109
|
2,517
|
236
|
지 방
|
14,382
|
6,256
|
4,205
|
3,921
|
* LH, SH 등 공공사업자와 주택협회의 확인을 거쳐 집계한 것으로, 개별사업장의 사정에 따라 입주시기·물량 등이 일부 변경될 수 있음
주택 규모별로는 60㎡이하 11,367호, 60~85㎡ 15,325호, 85㎡초과 8,896호로서, 85㎡ 이하 중소형 주택이 74.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체별로는 공공 5,442호, 민간 30,146호로 각각 집계되었다.
< 주체별·규모별 아파트 입주예정물량(호) >
구 분
|
합 계
|
규모별
|
주체별
|
60㎡이하
|
60~85㎡
|
85㎡초과
|
공공
|
민간
|
전 국
|
35,588
|
11,367
|
15,325
|
8,896
|
5,442
|
30,146
|
수도권
|
21,206
|
7,130
|
8,343
|
5,733
|
3,389
|
17,817
|
(서 울)
|
3,862
|
2,969
|
757
|
136
|
0
|
3,862
|
지 방
|
14,382
|
4,237
|
6,982
|
3,163
|
2,053
|
12,329
|
< 주요 지역별 아파트 입주예정물량 >
구분
|
지역명(호수)
|
'13.3월
|
서울 이수(680호), 인천청라(751호), 경기 부천(1,613호), 김포한강(2,549호), 부산 강서(1,256호), 부산 해운대(1,059호), 충북 청주(903호)
|
4월
|
서울 동대문(2,397호), 인천 서구(766호), 경기 고양(2,700호), 경기 남양주(378호), 대구 달서(1,669호), 대구 삼덕(730호), 충남 서산(458호)
|
5월
|
경기 수원(3,498호), 경기 평택(1,943호), 의왕포일(840호), 부산범천(533호), 대구 달서(797호) 전남 무안(516호), 경남김해(596호), 제주(524호)
|
아파트 입주단지에 대한 세부정보는 전월세 지원센터 홈페이지(jeonse.lh.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붙임1] ’13.1월 주택 건설 인허가 실적
[붙임2] ’13.1월 지역별 주택 건설 인허가 실적
[붙임3] ’13.1월 주택 착공, 준공실적
[붙임4] ’13.1월 분양(승인)실적 및 2월 계획
[붙임5] ’13.3월~‘13.5월 입주예정 아파트
[붙임6] 공공부문 입주예정 단지별 세부내용
[붙임7] ’13.1월 도시형생활주택 인허가 실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