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1월 전국 땅값 0.03% 올라 안정세 지속
기관
등록 2013/02/25 (월)
파일 130225(석간) '13년 1월 지가동향 및 토지거래량(토지정책과).hwp
내용




 【 지가 】 


 ◈ (전국) 전월比 0.03% 상승하여 안정세 지속, 상승률 소폭 감소 
 

< 전국 월간 지가변동률 추이 > 

‘12

‘1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

0.09%

0.09%

0.12%

0.12%

0.11%

0.10%

0.07%

0.03%

0.02%

0.06%

0.07%

0.08%

0.03%



 ◈ (서울) 0.06% 하락하여 4개월 만에 하락세로 전환

  * -0.06%(9월)→0.01%(10월)→0.03%(11월)→0.05%(12월)→-0.06%(‘13.1월) 


 ◈ (세종) 작년 3월부터 11개월 연속 상승률 1위, 상승률 소폭 증가 
 

< 세종시 월간 지가변동률 추이 >



 【 토지거래량 】 


 ◈ 1월에 전국적으로 140,857필지, 144,655천㎡가 거래되어,전년 동월(’12.1)比 필지수 9.0% 증가, 면적 10.2% 증가


  * 전월(’12.12)比 필지수 37.1% 감소, 면적 3.5% 감소



 ’13.1월 지가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1월 전국 지가가 전월 대비 0.03% 상승하여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現 지가는 금융위기 발생 전 고점('08.10월) 대비 0.08% 낮은 수준이다. 
 

지역별 지가변동률

구분

전국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지방

'13.1월 지변율

0.03%

-0.01%

-0.06%

0.01%

0.04%

0.11%

고점대비(’08.10)

-0.08%

-1.18%

-3.07%

0.30%

0.68%

1.95%



 1. 행정구역별 


 서울은 -0.06%를 기록하여 작년 9월 이후 4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으며, 강남(0.03%), 서초(0.02%)를 제외한 23개 자치구가 하락하였다.

 세종시는 0.66% 상승하여, 작년 3월부터 11개월 연속 상승률 전국 1위를 기록하였다. 
 

세종시 ’13년 월간 지가변동률 추이

  ※ ’12.1~6월은 구 연기군 지가변동률(’12.7.1 세종시 출범)



 전국적으로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중앙행정기관 이전이 진행 중인 세종시와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이 들어설 인천 연수구 등에서 국지적으로 지가가 상승하였으며,

  도심 주택 개발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서울 강서·양천구 등은 지가가 하락하였다. 
 

지가변동률 상위 5개 지역 

순위

행정구역명

변동률(%)

변 동 사 유

1

세종특별자치시

0.658

중앙행정기관 이전, 신규 도로개설로 인한 접근성 개선 등

2

인천광역시 연수구

0.250

GCF 사무국 유치, 글로벌국제대학 개교, 쇼핑몰 조성사업 등

3

강원도 평창군

0.222

동계올림픽 개최로 인한 기대감, 아트밸리 조성 지형도면 승인고시 등

4

경상북도 예천군

0.191

경북도청 이전신도시 착공, 2농공단지 사업 등

5

경기도 하남시

0.180

미사 보금자리 개발, 감일 지구 사업추진, 신장동 복합쇼핑센터 개발 등


 

지가변동률 하위 5개 지역

순위

행정구역명

변동률(%)

변 동 사 유

1

서울특별시 강서구

-0.181

마곡지구 개발사업, 화곡3지구 재건축 정비사업 부진 등

2

서울특별시 양천구

-0.178

신월, 신정 뉴타운 사업의 지연으로 하락세 유지

3

서울특별시 도봉구

-0.152

무수골 주거환경개선사업, 방학동 일대 경전철 사업의 부진

4

서울특별시 노원구

-0.145

월계동 재개발사업의 부진, 공릉동 북부지방법원의 이전

5

서울특별시 강북구

-0.138

미아, 수유동 주택정비사업 지연으로 하락세 유지



 2. 용도지역·이용상황별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0.01%)은 4개월 만에 소폭 하락하였으며,

  농림(0.10%), 자연환경보전(0.07%) 등은 전월 보다 상승폭이 확대되었고, 상업(0.09%), 녹지(0.06%), 공업(0.03%) 등은 감소하였다. 


 이용상황별로는 기타(-0.37%)는 전월 대비 소폭 하락하였으며,

  답(0.10%), 임야(0.05%) 등은 전월 보다 상승폭이 확대되었고,주거용(-0.04%), 상업용(0.07%), 공장용(0.05%) 등은 감소하였다. 


 ’13.1월 토지거래량 


 전체 토지거래량은 총 140,857필지, 144,655천㎡로 전년 동월(129,192필지, 131,273천㎡) 대비 ① 필지수 9.0% 증가, ② 면적 10.2% 증가하였으며,

  최근 3년간 1월 평균 거래량(15만1천 필지) 대비 7.2% 감소하였다. 
 

   * 전월(’12.12월) 대비 필지수 37.1% 감소, 면적 3.5% 감소



 순수토지*거래량은 총 75,206필지, 137,431천㎡로 전년 동월(67,558필지, 124,771천㎡) 대비 ① 필지수 11.3% 증가, ② 면적 10.1% 증가하였으며,


  ※ 순수토지란 건축물 부속토지 거래를 제외한 토지만으로 거래되는 토지를 의미하며, 1월 전체 토지거래량의 필지수 53.4%, 면적 95.0%를 차지



  최근 3년간 1월 평균 거래량(6만9천 필지) 대비 8.0% 증가하였다.


   * 전월(’12.12월) 대비 필지수 0.9% 증가, 면적 0.8% 증가

 

월간 토지거래량 추이(필지수 기준)

 


  [붙임1]’13.1월 참고 그래프

  [붙임2]’13.1월 지가동향

  [붙임3]’13.1월 토지거래량

  [붙임4]’13.1월 시군구별 지가변동률 분포도

 

 ☞ 지가변동률과 토지거래량에 대한 상세한 자료는 ‘온나라 부동산정보 통합포털’(www.onnara.go.kr), ‘국토해양 통계누리’(stat.mltm.go.kr) 또는 ‘R-ONE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one.co.kr)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