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드프로 고객 상담
전화 :
031 628 7891
팩스 :
031 628 7895
평일 9AM ~ 6PM 토/일/휴일 휴무
 
입찰자료 > 기관별 입찰 공지 > 국가기관(보도자료) > 국토교통부  
 
제목 2월 전국 땅값 0.07% 올라 안정세 지속
기관
등록 2013/03/25 (월)
파일 130325(석간) '13년 2월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토지정책과).hwp
내용







 ’13. 2월 지가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2월 전국 지가가 전월 대비 0.07% 상승하여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現 지가는 금융위기 발생 전 고점('08.10월) 대비 0.01% 낮은 수준이다. 
 

  < 전국 월간 지가변동률 추이 >

‘12

‘13

2

3

4

5

6

7

8

9

10

11

12

1

2

0.09%

0.12%

0.12%

0.11%

0.10%

0.07%

0.03%

0.02%

0.06%

0.07%

0.08%

0.03%

0.07%


 

  < 지역별 지가변동률 >

구분

전국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지방

'13.2월 지변율

0.07%

0.05%

0.06%

0.08%

0.03%

0.11%

고점대비(’08.10)

-0.01%

-1.14%

-3.01%

0.38%

0.71%

2.06%



 [1] 행정구역별 

 서울은 0.06%를 기록하여 1개월 만에 다시 소폭 상승하였으며, 강서(-0.05%), 구로(-0.02%), 금천(-0.02%), 영등포(-0.01%), 용산(-0.01%)을 제외한 20개 자치구가 상승하였다.


  * 0.01%(’12.10월)→0.03%(11월)→0.05%(12월)→-0.06%(‘13.1월)→0.06%(’13.2월)



 세종시는 0.63% 올라, 작년 3월부터 12개월 연속 전국 1위를 기록하였다. 
 

  < 세종시 월간 지가변동률 추이 >

 ※ ’12.6월까지는 구 연기군 지가변동률(’12.7.1 세종시 출범)



 전국적으로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중앙행정기관 이전이 진행 중인 세종시와 송도국제도시 활성화가 기대되는 인천 연수구 등에서 국지적으로 지가가 상승하였다. 
 

  < 지가변동률 상위 5개 지역 >

순위

행정구역명

변동률(%)

변 동 사 유

1

세종특별자치시

0.627

중앙행정기관 이전, 영호남 교통물류 분기점으로 접근성 개선 등

2

인천광역시 연수구

0.348

송도국제도시 활성화, GCF 사무국 유치, 글로벌국제대학 개교 등

3

경상북도 예천군

0.214

경북도청 이전신도시 조성, 국립백두대간 테라피단지 조성사업 등

4

경기도 하남시

0.189

미사 보금자리 개발, 감일 지구 사업추진, 신장동 복합쇼핑센터 개발 등

5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0.184

해운대관광리조트 사업으로 외국계 자금 유입 및 동해남부선 복선화 사업 등



 반면, 도심 재개발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수원 팔달구, 영종 하늘신도시 활성화가 불투명한 인천 중구 등은 지가가 하락하였다. 
 

  < 지가변동률 하위 5개 지역 >

순위

행정구역명

변동률(%)

변 동 사 유

1

경기도 수원 팔달구

-0.162

고등지구 재개발사업 부진 및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지체 등

2

인천광역시 중구

-0.092

영종하늘신도시 불투명 및 제3연육교 건설지연 등

3

경기도 군포시

-0.077

뉴타운 사업 진행여부 불투명 및 송정지구 보금자리주택 부진 등

4

경기도 고양 덕양구

-0.074

뉴타운, 재건축 사업의 정체, 택지개발사업의 지연 등

5

경기도 성남 중원구

-0.070

중동 중1구역, 금광 1구역 재개발사업 지체 등


  
 [2] 용도지역·이용상황별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0.05%)은 상승세로 전환되었으며, 공업지역(0.10%), 녹지지역(0.08%)등은 전월보다 상승폭이 확대되었고, 농림(0.05%), 자연환경(0.02%) 등은 감소하였다. 
 

  <용도지역별 지가 동향(전월대비, %) >

구 분

도시지역

도시지역

주거

상업

공업

녹지

관리

농림

자연환경

보전

생산

계획

‘12.12

0.08

0.11

0.05

0.09

0.04

0.06

0.14

0.05

0.06

'13.1

-0.01

0.09

0.03

0.06

0.03

0.08

0.13

0.10

0.07

2

0.05

0.08

0.10

0.08

0.03

0.05

0.11

0.05

0.02

 

 이용상황별로는 기타(0.03%) 및 주거용(0.01%)은 상승세로 전환되었으며, 공장용지(0.10%), 상업용(0.10%) 등은 전월보다 상승폭이 확대되었고, 답(0.06%) 등은 감소하였다. 
 

  < 이용상황별(지목별) 지가 동향(전월대비, %) >

구 분

농지

대지

임야

공장
용지

기타

주거용

상업용

‘12.12

0.11

0.07

0.06

0.09

0.04

0.08

0.11

'13.1

0.09

0.10

-0.04

0.07

0.05

0.05

-0.37

2

0.07

0.06

0.01

0.10

0.04

0.10

0.03

 

 ‘13.2월 토지거래량

 전체 토지거래량은 총 141,684필지, 131,524천㎡로 전년 동월(165,489필지, 161,301천㎡) 대비 ① 필지수 14.4% 감소, ② 면적 18.5% 감소하였으며,

  전월 대비 필지수 0.6% 증가, 면적 9.1% 감소하였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총 64,636필지, 123,925천㎡로 전년 동월(78,592필지, 152,893천㎡) 대비 ① 필지수 17.8% 감소, ② 면적 18.9% 감소하였으며,


  * 순수토지란 건축물 부속토지 거래를 제외한 토지만으로 거래되는 토지를 의미하며, 2월 전체 토지거래량의 필지수 45.6%, 면적 94.2%를 차지


  전월 대비 필지수 14.1% 감소, 면적 9.8% 감소하였다. 
 

 
< 월간 토지거래량 추이(필지수 기준) >



《 붙임 》
  1. ’13.2월 참고 그래프 
  2. ’13.2월 지가동향 
  3. ’13.2월 토지거래량 
  4. ’13.2월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증감률 색인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