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 4월 지가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4월 전국 지가가 전월 대비 0.13% 상승한 가운데, 강남·송파구 등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폭이 확대되었다고 밝혔다.
현 지가는 금융위기 발생 전 고점('08.10월) 대비 0.23% 높은 수준이다.
< 전국 월간 지가변동률 추이(%) >
‘12년
|
‘13년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0.12
|
0.11
|
0.10
|
0.07
|
0.03
|
0.02
|
0.06
|
0.07
|
0.08
|
0.03
|
0.07
|
0.11
|
0.13
|
< 지역별 지가변동률(%) >
구분
|
전국
|
수도권
|
서울
|
인천
|
경기
|
지방
|
'13.4월 지변율
|
0.13
|
0.13
|
0.16
|
0.14
|
0.11
|
0.13
|
고점대비(’08.10)
|
0.23
|
-0.90
|
-2.76
|
0.64
|
0.92
|
2.32
|
[1] 행정구역별
서울은 0.16%를 기록하여 3개월 연속 상승하였으며, 용산(-0.63%), 성동(-0.07%), 중랑(-0.05%), 도봉(-0.03%)을 제외한 21개 자치구가 상승하였다.
* 서울시 지변율(%) : -0.06(’13.1월)→0.06(2월) → 0.11(3월) → 0.16(4월)
세종시는 0.62% 올라, ‘12.3월부터 14개월 연속 전국 1위를 기록하였다.
< 세종시 월간 지가변동률 추이 >

※ ’12.6월까지는 구 연기군 지가변동률(’12.7.1 세종시 출범)
전반적인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중앙행정기관 이전이 진행되고 있는 세종시가 가장 많이 올랐고,
각종 개발사업이 진행중인 하남시와 서울 강남·송파구 등에서도 지가가 상승하였다.
< 지가변동률 상위 5개 지역 >
순위
|
행정구역명
|
변동률(%)
|
변 동 사 유
|
1
|
세종특별자치시
|
0.624
|
중앙행정기관 이전, 영호남 교통물류 분기점으로 접근성 개선 등
|
2
|
경기도 하남시
|
0.440
|
미사 보금자리 개발, 감일 지구 보상예정, 신장동 복합쇼핑센터 개발 등
|
3
|
서울특별시 송파구
|
0.365
|
제2롯데월드 건축공사, 동남권유통단지 및 문정도시개발사업 영향 등
|
4
|
서울특별시 강남구
|
0.327
|
상업지역 활성화, KTX 수서역 개발, 보금자리주택지구 개발 등
|
5
|
경기도 부천 원미구
|
0.255
|
상동 지역 등의 지하철 7호선 개통으로 인한 영향 등
|
반면, 국제업무지구 개발이 무산된 서울 용산구 등은 하락하였다.
< 지가변동률 하위 5개 지역 >
순위
|
행정구역명
|
변동률(%)
|
변 동 사 유
|
1
|
서울특별시 용산구
|
-0.626
|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무산에 따른 가격수준 하락 등
|
2
|
서울특별시 성동구
|
-0.069
|
단독주택 수요감소, 수익성 악화에 따른 상업용부동산 가격하락 등
|
3
|
인천광역시 옹진군
|
-0.057
|
대북관계 등으로 인한 접경지역의 부동산 경기악화 등
|
4
|
서울특별시 중랑구
|
-0.053
|
양원보금자리주택지구 규모 축소 및 노후 단독주택 거래 감소 전망 등
|
5
|
인천광역시 강화군
|
-0.051
|
대북관계 등으로 인한 접경지역의 부동산 경기악화 등
|
[2] 용도지역·이용상황별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0.16%), 상업지역(0.11%), 생산관리지역(0.10%)등은 전월보다 상승폭이 확대되었고, 계획관리지역(0.14%) 등은 전월 보다 상승폭이 감소하였다.
<용도지역별 지가 동향(전월대비, %) >
구 분
|
도시지역
|
非도시지역
|
주거
|
상업
|
공업
|
녹지
|
관리
|
농림
|
자연환경
|
보전
|
생산
|
계획
|
‘13.2월
|
0.05
|
0.08
|
0.10
|
0.08
|
0.03
|
0.05
|
0.11
|
0.05
|
0.02
|
3월
|
0.11
|
0.08
|
0.10
|
0.11
|
0.04
|
0.07
|
0.18
|
0.07
|
0.04
|
4월
|
0.16
|
0.11
|
0.12
|
0.09
|
0.06
|
0.10
|
0.14
|
0.05
|
0.07
|
이용상황별로는 공장용지(0.19%), 주거용(0.15%) 등은 전월보다 상승폭이 확대되었고, 임야(0.04%) 등은 상승폭이 감소하였다.
< 이용상황별(지목별) 지가 동향(전월대비, %) >
구 분
|
농지
|
대지
|
임야
|
공장
용지
|
기타
|
전
|
답
|
주거용
|
상업용
|
‘13.2월
|
0.07
|
0.06
|
0.01
|
0.10
|
0.04
|
0.10
|
0.03
|
3월
|
0.13
|
0.09
|
0.09
|
0.09
|
0.08
|
0.13
|
0.08
|
4월
|
0.10
|
0.07
|
0.15
|
0.11
|
0.04
|
0.19
|
-0.10
|
’13.4월 토지거래량
전체 토지거래량은 총 205,942필지, 177,598천㎡로 전년 동월(182,381필지, 184,232천㎡) 대비 (1) 필지수 12.9% 증가, (2) 면적 3.6% 감소하였으며,
전월 대비 필지수 13.9%, 면적 1.5% 증가하였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총 86,010필지, 166,358천㎡로 전년 동월(81,896필지, 174,907천㎡) 대비 (1) 필지수 5.0% 증가, (2) 면적 4.9% 감소하였으며,
* 순수토지란 건축물 부속토지 거래를 제외한 토지만으로 거래되는 토지를 의미하며, 4월 전체 토지거래량의 필지수 41.8%, 면적 93.7%를 차지
전월 대비 필지수 5.1%, 면적 0.2% 증가하였다.
< 월간 토지거래량 추이(필지수 기준) >

《 붙임 》 1. ’13.4월 참고 그래프
2. ’13.4월 지가동향
3. ’13.4월 토지거래량
4. ’13.4월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증감률 색인도
☞ 지가변동률과 토지거래량에 대한 상세한 자료는 ‘온나라 부동산정보 통합포털’(www.onnara.go.kr), ‘국토교통 통계누리’(stat.molit.go.kr) 또는 ‘R-ONE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one.co.kr)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