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괄) 금년 5월 주택 인허가(△22.9%), 착공(△35.8%), 공동주택 분양
(△21.5%), 준공(△1.7%) 실적 모두 전년동월대비 감소
* 수도권 : 인허가(△4.4%), 착공(△30.7%), 분양 (△3.4%), 준공(△7.3%) 모두 감소
* 지 방 : 인허가(△34.1%), 착공(△38.5%), 분양(△31.2%) 감소, 준공 (+5.1%) 증가
◈ (인허가) 5월 35천호로, 수도권 및 지방 실적이 모두 감소하면서 전년동월
(46천호)대비 22.9% 감소(금년들어 5개월 연속 감소)
- 수도권 아파트는 서울, 인천에서의 재개발·재건축 등으로 27.6% 증가
도시형생활주택은 9,926호로, 전년동월대비 15.7% 감소(금년들어 5개월 연속 감소, 감소 폭은 축소되는 추세)
* 도시형(전년동월比, %) : (‘13.1) △41 → (2) △46 → (3) △45 → (4) △38 → (5) △16
◈ (착공) 5월 30천호로, 아파트(수도권 △44.8%, 지방 △49.8%) 물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전년동월(46천호) 대비 35.8% 감소
* 비아파트 물량도 수도권(△22.1%), 지방(△20.4%) 모두 감소
◈ (분양) 5월 29천호로, 지방(△31.2%) 위주로 실적이 크게 감소하여
전년동월 (37천호)대비 21.5% 감소(수도권 △3.4% 감소)
◈ (준공) 5월 31천호로, 비 아파트(수도권 △12.3%, 지방 △12.5%) 실적 감소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1.7% 감소
* 아파트의 경우, 수도권(△3.3%)은 소폭 감소하였으나 지방(+20.0%)은 증가
◈ (입주예정) 향후 3개월(‘13.7~9)간 입주예정 아파트는 총 32천호
[1.인허가 실적]
금년 5월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은 전국 35,546호(수도권 16,645호, 지방 18,901호)로 전년동월대비 22.9% 감소하여 금년들어 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 및 추이〉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5월
|
1~5월
|
4월
|
5월
|
1-5월
|
인허가실적(호)
|
549,594
|
586,884
|
46,087
|
187,932
|
30,915
|
35,546
|
142,055
|
전년(동월)비(%)
|
+42.2%
|
+6.8%
|
+40.9%
|
+30.1%
|
△26.7%
|
△22.9%
|
△24.4%
|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서울 및 인천지역이 재개발·재건축 영향으로 실적이 증가하였으나, 경기지역 실적이 감소하면서 전년동월대비 4.4% 감소하였고, 지방도 34.1%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5월 지역별 인허가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5월
|
1~5월
|
|
|
|
|
5월
|
전년동월비
|
1~5월
|
전년동기비
|
전 국
|
549,594
|
586,884
|
46,086
|
187,931
|
35,546
|
△22.9%
|
142,055
|
△24.4%
|
수도권
|
272,156
|
269,290
|
17,408
|
76,336
|
16,645
|
△4.4%
|
57,409
|
△24.8%
|
(서울)
|
88,060
|
86,123
|
5,980
|
29,439
|
6,206
|
3.8%
|
22,526
|
△23.5%
|
(인천)
|
35,905
|
32,132
|
1,936
|
9,335
|
4,718
|
143.7%
|
6,896
|
△26.1%
|
(경기)
|
148,191
|
151,035
|
9,492
|
37,562
|
5,721
|
△39.7%
|
27,987
|
△25.5%
|
지 방
|
277,438
|
317,594
|
28,678
|
111,595
|
18,901
|
△34.1%
|
84,646
|
△24.1%
|
* 지역‧유형‧사업주체‧규모별 인허가 실적은 <붙임1> 참고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16,984호(전체물량의 47.8%)로 전년동월대비 20.0% 감소하였으며, 아파트외 주택(18,562호)도 25.4% 감소하였다.
- 도시형생활주택은 전국 9,926호가 인허가 되어, 전년동월(11,774호) 대비 15.7% 감소하여 금년들어 5개월 연속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금년 1~5월 누계기준으로도 35.4%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체별로는, 민간은 33,288호로 전년동월대비 23.0% 감소하였고, 공공도 2,258호 21.6% 감소하였다.
< 5월 유형별·주체별 인허가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5월
|
1~5월
|
|
|
|
|
5월
|
전년동월비
|
1~5월
|
전년동기비
|
전 국
|
549,594
|
586,884
|
46,086
|
187,931
|
35,546
|
△22.9%
|
142,055
|
△24.4%
|
유
형
별
|
아파트
|
356,762
|
376,086
|
21,217
|
96,786
|
16,984
|
△20.0%
|
77,222
|
△20.2%
|
아파트외
|
192,832
|
210,798
|
24,869
|
91,145
|
18,562
|
△25.4%
|
64,833
|
△28.9%
|
주
체
별
|
공공
|
115,349
|
109,609
|
2,880
|
7,652
|
2,258
|
△21.6%
|
6,213
|
△18.8%
|
민간
|
434,245
|
477,275
|
43,206
|
180,279
|
33,288
|
△23.0%
|
135,842
|
△24.6%
|
* 아파트 외 : 단독·다가구·연립·다세대 등
[2.착공 실적]
금년 5월 주택 착공실적은 전국 29,677호(수도권 11,106호, 지방 18,571호)로서, 전년동월대비 35.8% 감소하면서 4월 증가세에서 다시 감소세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주택건설 착공 실적 및 추이〉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5월
|
1~5월
|
4월
|
5월
|
1-5월
|
착공실적(호)
|
424,269
|
480,995
|
46,243
|
171,797
|
35,651
|
29,677
|
147,751
|
전년(동월)비(%)
|
+106.9%
|
+13.4%
|
+41.5%
|
+30.6%
|
+13.1%
|
△35.8%
|
△14.0%
|
* 착공실적은 2011년부터 통계자료 생산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11,106호로 전년동월대비 30.7% 감소하였고, 지방도 38.5% 감소한 18,571호가 착공된 것으로 나타났다.
< 5월 지역별 착공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5월
|
1~5월
|
|
|
|
|
5월
|
전년동월비
|
1~5월
|
전년동기비
|
전 국
|
424,269
|
480,995
|
46,243
|
171,797
|
29,677
|
△35.8%
|
147,751
|
△14.0%
|
수도권
|
196,515
|
209,033
|
16,036
|
70,969
|
11,106
|
△30.7%
|
59,873
|
△15.6%
|
(서울)
|
77,657
|
73,274
|
8,727
|
35,014
|
4,283
|
△50.9%
|
19,017
|
△45.7%
|
(인천)
|
20,795
|
14,464
|
708
|
6,038
|
852
|
20.3%
|
2,751
|
△54.4%
|
(경기)
|
98,063
|
121,295
|
6,601
|
29,917
|
5,971
|
△9.5%
|
38,105
|
27.4%
|
지 방
|
227,754
|
271,962
|
30,207
|
100,828
|
18,571
|
△38.5%
|
87,878
|
△12.8%
|
* 지역‧유형‧사업주체‧규모별 착공 실적은 <붙임3> 참고
유형별로는, 아파트는 12,706호로 전년동월대비 48.6% 감소하였고, 아파트외 주택도 21.2% 감소한 16,971호가 착공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체별로는, 민간은 29,586호가 착공되어, 전년동월대비 34.6% 감소하였고, 공공은 전년동월대비 90.8% 감소한 91호가 착공되어, 공공에서 착공실적은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5월 유형별·주체별 착공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5월
|
1~5월
|
|
|
|
|
5월
|
전년동월비
|
1~5월
|
전년동기비
|
전 국
|
424,269
|
480,995
|
46,243
|
171,797
|
29,677
|
△35.8%
|
147,751
|
△14.0%
|
유
형
별
|
아파트
|
252,495
|
287,727
|
24,705
|
88,276
|
12,706
|
△48.6%
|
83,405
|
△5.5%
|
아파트외
|
171,774
|
193,268
|
21,538
|
83,521
|
16,971
|
△21.2%
|
64,346
|
△23.0%
|
주
체
별
|
공공
|
86,715
|
97,761
|
985
|
11,761
|
91
|
△90.8%
|
19,768
|
68.1%
|
민간
|
337,554
|
383,234
|
45,258
|
160,036
|
29,586
|
△34.6%
|
127,983
|
△20.0%
|
* 아파트 외 : 단독·다가구·연립·다세대 등
[3.분양(승인) 실적]
금년 4월 공동주택 분양(승인)실적은 전국 29,236호(수도권 12,561호, 지방 16,675호)로 전년동월대비 21.5% 감소하면서 금년들어 5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공동주택 분양(승인) 실적 및 추이〉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5월
|
1~5월
|
4월
|
5월
|
1-5월
|
분양실적(호)
|
284,923
|
297,964
|
37,254
|
113,438
|
16,182
|
29,236
|
86,168
|
전년(동월)비(%)
|
+41.8%
|
+4.6%
|
+5.4%
|
+17.7%
|
△38.4%
|
△21.5%
|
△24.0%
|
지역별로, 수도권은 12,561호로 전년동월대비 3.4% 감소하였고, 지방도 16,675호로 3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5월 지역별 공동주택 분양(승인)실적>
(단위 : 호, %)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5월
|
1~5월
|
|
|
|
|
5월
|
전년동월비
|
1~5월
|
전년동기비
|
전 국
|
284,923
|
297,964
|
37,254
|
113,438
|
29,236
|
△21.5%
|
86,168
|
△24.0%
|
수도권
|
120,415
|
103,602
|
13,002
|
37,735
|
12,561
|
△3.4%
|
29,243
|
△26.4%
|
(서울)
|
38,390
|
29,686
|
4,442
|
16,165
|
926
|
△79.2%
|
2,281
|
△85.9%
|
(인천)
|
10,620
|
17,582
|
2,864
|
6,974
|
1,071
|
△62.6%
|
2,224
|
△68.1%
|
(경기)
|
71,405
|
56,334
|
5,696
|
16,596
|
10,564
|
85.5%
|
24,738
|
49.1%
|
지 방
|
164,508
|
194,362
|
24,252
|
73,703
|
16,675
|
△31.2%
|
56,925
|
△22.8%
|
유형별로는, 분양 18,701호, 조합 2,603호로 전년동월대비 각각 32.4%, 38.6% 각각 감소한 반면, 임대(7,932호)는 48.5% 증가하였다.
주체별로는, 민간은 18,711호로 전년동월대비 32.3% 감소한 반면, 공공은 전년동월대비 9.3% 증가한 10,525호로 집계되었다.
< 5월 유형별·주체별 분양(승인)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5월
|
1~5월
|
|
|
|
|
5월
|
전년동월비
|
1~5월
|
전년동기비
|
전 국
|
284,923
|
297,964
|
37,254
|
113,438
|
29,236
|
△21.5%
|
86,168
|
△24.0%
|
유
형
별
|
분양
|
200,481
|
221,969
|
27,672
|
83,620
|
18,701
|
△32.4%
|
59,237
|
△29.2%
|
임대
|
56,506
|
51,222
|
5,341
|
15,512
|
7,932
|
48.5%
|
21,384
|
37.9%
|
조합
|
27,936
|
24,773
|
4,241
|
14,306
|
2,603
|
△38.6%
|
5,547
|
△61.2%
|
주
체
별
|
공공
|
80,101
|
71,963
|
9,632
|
17,104
|
10,525
|
9.3%
|
23,561
|
37.8%
|
민간
|
204,822
|
226,001
|
27,622
|
96,334
|
18,711
|
△32.3%
|
62,607
|
△35.0%
|
[4.준공 실적]
금년 5월 주택 준공실적은 전국 31,385호(수도권 16,252호, 지방 15,133호)로서, 전년동월대비 1.7% 감소하여 4월 증가세에서 다시 감소세로 전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국 주택 준공실적 및 추이〉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5월
|
1~5월
|
4월
|
5월
|
1-5월
|
준공실적(호)
|
338,813
|
365,053
|
31,920
|
128,863
|
30,161
|
31,385
|
133,444
|
전년(동월)비(%)
|
△2.3%
|
+7.7%
|
+51.1%
|
+17.7%
|
+47.8%
|
△1.7%
|
+3.6%
|
* 준공통계는 2011년부터 생산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서울 및 인천에서의 실적 감소로 전년동월대비 7.3% 감소한 반면, 지방은 전남(1,169호), 경남(2,884호) 등을 중심으로 실적이 증가하면서 전년동월대비 5.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5월 지역별 주택 준공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5월
|
1~5월
|
|
|
|
|
5월
|
전년동월비
|
1~5월
|
전년동기비
|
전 국
|
338,813
|
365,053
|
31,920
|
128,863
|
31,385
|
△1.7%
|
133,444
|
3.6%
|
수도권
|
187,284
|
199,261
|
17,526
|
71,613
|
16,252
|
△7.3%
|
63,574
|
△11.2%
|
(서울)
|
65,093
|
65,115
|
5,562
|
23,506
|
5,401
|
△2.9%
|
22,624
|
△3.8%
|
(인천)
|
29,662
|
30,176
|
3,338
|
14,004
|
824
|
△75.3%
|
3,710
|
△73.5%
|
(경기)
|
92,529
|
103,970
|
8,626
|
34,103
|
10,027
|
16.2%
|
37,240
|
9.2%
|
지 방
|
151,529
|
165,792
|
14,394
|
57,250
|
15,133
|
5.1%
|
69,870
|
22.0%
|
* 지역‧유형‧사업주체‧규모별 준공 실적은 <붙임3> 참고
유형별로는, 아파트는 18,881호로 전년동월대비 7.0% 증가한 반면, 아파트외 주택은 12,504호로 전년동월대비 12.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한편, 도시형생활주택은 전년동월(4,321호) 대비 66.4% 증가한 7,190호로 실적 호조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도시형 준공실적(전년동기(월)比, %) : (‘13.1~2) 130 → (‘13.3~4) 135 → (‘13.5) 66
주체별로는, 공공은 3,216호로 전년동월대비 67.4% 감소하였으나, 민간은 28,169호로 서울 동대문(2,397호, 재개발), 수원 장안(3,498호) 등에서의 실적 증가로 전년동월대비 27.6% 증가하였다.
< 5월 유형별·주체별 준공실적 >
(단위 : 호, %)
구 분
|
2011
|
|
2012
|
2013
|
계
|
5월
|
1~5월
|
|
|
|
|
5월
|
전년동월비
|
1~5월
|
전년동기비
|
전 국
|
338,813
|
365,053
|
31,920
|
128,863
|
31,385
|
△1.7%
|
133,444
|
3.6%
|
유
형
별
|
아파트
|
216,686
|
193,561
|
17,646
|
69,165
|
18,881
|
7.0%
|
75,755
|
9.5%
|
아파트외
|
122,127
|
171,492
|
14,274
|
59,698
|
12,504
|
△12.4%
|
57,689
|
△3.4%
|
주
체
별
|
공공
|
101,856
|
43,715
|
9,850
|
23,393
|
3,216
|
△67.4%
|
19,522
|
△16.5%
|
민간
|
236,957
|
321,338
|
22,070
|
105,470
|
28,169
|
27.6%
|
113,922
|
8.0%
|
[5.입주예정('13.7~9월) 아파트]
금년 7~9월중 전국 입주예정 아파트는 총 31,739호로, 지역별로는 수도권 12,006호(서울 5,059호), 지방 19,733호로 각각 조사되었다.
월별로는 ’13.7월에 8,256호, 8월 9,338호, 9월 14,145호가 각각 입주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별·월별 아파트 입주예정물량(호) >
구 분
|
합계
|
’13.7월
|
8월
|
9월
|
전 국
|
31,739
|
8,256
|
9,338
|
14,145
|
수도권
|
12,006
|
3,385
|
2,938
|
5,683
|
(서 울)
|
5,095
|
1,096
|
1,387
|
2,612
|
지 방
|
19,733
|
4,871
|
6,400
|
8,462
|
* LH, SH 등 공공사업자와 주택협회의 확인을 거쳐 집계한 것으로, 개별사업장의 사정에 따라 입주시기·물량 등이 일부 변경될 수 있음
주택 규모별로는 60㎡이하 10,195호, 60~85㎡ 17,204호, 85㎡초과 4,340호로서, 85㎡ 이하 중소형 주택이 86.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체별로는 공공 4,607호, 민간 27,132호로 각각 집계되었다.
< 주체별·규모별 아파트 입주예정물량(호) >
구 분
|
합 계
|
규모별
|
주체별
|
60㎡이하
|
60~85㎡
|
85㎡초과
|
공공
|
민간
|
전 국
|
31,739
|
10,195
|
17,204
|
4,340
|
4,607
|
27,132
|
수도권
|
12,006
|
5,319
|
4,508
|
2,179
|
3,222
|
8,784
|
(서 울)
|
5,095
|
2,133
|
2,132
|
830
|
330
|
4,765
|
지 방
|
19,733
|
4,876
|
12,696
|
2,161
|
1,385
|
18,348
|
< 주요 지역별 아파트 입주예정물량 >
구분
|
지역명(호수)
|
‘13.7월
|
인천 계양(700호), 오산세교(1,023호), 부산남부민(782호), 대구 수성(832호), 광주(572호), 전남 광양(744호), 세종(511호), 당진대덕(333호), 서울 대림(291호)
|
8월
|
서울 동작(882호), 부산기장(1,638호), 부산사상(517호), 울산(922호), 대전유성(293호), 전북 익산(290호), 경남 김해(306호), 제주(614호)
|
9월
|
서울 은평(938호), 서울 강서(790호), 인천청라(590호), 성남판교(1,869호), 부산 정관(1,028호), 대구(1,915호), 대전(1,053호), 경남 김해(2,675호)
|
아파트 입주단지에 대한 세부정보는 전월세 지원센터 홈페이지(jeonse.lh.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붙임1】’13.5월 주택 건설 인허가 실적
【붙임2】’13.5월 지역별 주택 건설 인허가 실적
【붙임3】’13.5월 주택 착공, 준공실적
【붙임4】’13.5월 분양(승인)실적 및 5월 계획
【붙임5】’13.7월~‘13.9월 입주예정 아파트
【붙임6】공공부문 입주예정 단지별 세부내용
【붙임7】’13.5월 도시형생활주택 인허가 실적
|